목차
1. 혁신도시란--------------------------------------------------1
1) 혁신도시 개념----------------------------------------------1
2) 혁신도시의 구성요소-----------------------------------------1
3) 혁신도시의 개발방안-----------------------------------------1
4) 혁신도시 입지 선정------------------------------------------2
5) 혁신도시 주요 정책 추진 일정----------------------------------2
2. 혁신도시의 추진배경-------------------------------------------2
3. 혁신도시의 전개과정 및 향후 추진 계획-----------------------------3
4. 공공 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대 효과-----------------------------4
5. 이전 대상 공공기관 배치표--------------------------------------5
6. 혁신도시 건설의 문제점-----------------------------------------6
1) 혁신도시 건설로 인한 수도권 집중화 현상 해소문제------------------6
2) 공공기관들의 이전에 대한 반발---------------------------------6
3) 인위적 분산으로 인한 업무의 비효율성과 집적효과 반감의 문제 --------6
4) 공공기관 이전도시 선정과정에서의 문제점과 지역갈등의 문제-----------6
5) 비용의 문제------------------------------------------------7
6) 지가상승--------------------------------------------------7
7) 지방 특색에 맞는 현실적인 계획인가의 문제------------------------7
8) 지속적으로 일관성 유지 가능한 정책인가의 문제 --------------------7
7. 해 외 사 례-------- -----------------------------------------8
1) 혁신도시 해외 유사사례----------------------------------------8
2) 시스타 ----------------------------------------------------9
1) 혁신도시 개념----------------------------------------------1
2) 혁신도시의 구성요소-----------------------------------------1
3) 혁신도시의 개발방안-----------------------------------------1
4) 혁신도시 입지 선정------------------------------------------2
5) 혁신도시 주요 정책 추진 일정----------------------------------2
2. 혁신도시의 추진배경-------------------------------------------2
3. 혁신도시의 전개과정 및 향후 추진 계획-----------------------------3
4. 공공 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기대 효과-----------------------------4
5. 이전 대상 공공기관 배치표--------------------------------------5
6. 혁신도시 건설의 문제점-----------------------------------------6
1) 혁신도시 건설로 인한 수도권 집중화 현상 해소문제------------------6
2) 공공기관들의 이전에 대한 반발---------------------------------6
3) 인위적 분산으로 인한 업무의 비효율성과 집적효과 반감의 문제 --------6
4) 공공기관 이전도시 선정과정에서의 문제점과 지역갈등의 문제-----------6
5) 비용의 문제------------------------------------------------7
6) 지가상승--------------------------------------------------7
7) 지방 특색에 맞는 현실적인 계획인가의 문제------------------------7
8) 지속적으로 일관성 유지 가능한 정책인가의 문제 --------------------7
7. 해 외 사 례-------- -----------------------------------------8
1) 혁신도시 해외 유사사례----------------------------------------8
2) 시스타 ----------------------------------------------------9
본문내용
?
-이 계획은 개발을 시작해 성숙기에 이르러 성과가 나타나기 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단기간의 성과 보다는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일관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정권교체에 의해 국가정책이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가시적인 성과가 없는 정책의 경우 지속되기 힘든 정치적 여건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혼란과 문제점 등이 사업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장기적으로 사업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정부의 사업 추진 능력과 확실한 체계가 필수적이다.
7. 해외사례
1) 혁신도시 해외 유사사례
국
명
지명
공공기관이전관련(기관명)
면적규모
신도시, 신시가지
기능
주거기능
포함여부
스
웨
덴
웁살라
-
약 100만평
연구개발,대학,기업등
-
시스타
-
66만평
대학, 연구기관, 기업, 지원기관, 주택
주거지역
프
랑
스
테크노잡
마르세이유
국립행정학교, 수학, 정보센터, 비평형 연구소등 다수
54만명
기업, 대학, 엔지니어학교, 6개 연구기관, 초등학교 , 주거
주택
1,000호
테크노플
낭시부라보아
CNRS(국립과학 연구소),
INRIA, INSERM, INRA,
INPL(국립폴리테크닉) 등
150만명
기술산업지역, 주거지역, 경마장, 호텔, 여가시설 등
주거지역
테크노플
메쯔
ENSAM(국립예술직업학교)
ENIM(기술학교)등
1단계:54만평
2단계:120만평
산업, 녹지, 연구, 대학, 골프장 등 녹지비중 46.5%
-
테크로플
스트라스부르
일키르크
CNRS, INSERM, ENSPS,
ESBS 등
51만평
국제항공대학, 국립연구소, 기업 호텔, 골프장 등 입지
-
리옹
테크노플(7개지구로 구성)
Porte
des
Ales
-
423.5만평
대학, 기업, 연구기관, 주거지구 등
주거지는
423.5천평
내에 위치
La
Doua
INSA(국립과학학교), INSERM, CNR 등 대학, 연구소 다수
30만평
대학, 연구소, 기업
리옹과학기술의 40%
차지
기숙사만
있음
핀란드
헬싱키
아비아폴리스
-
1,270만평
연구개발, 기업, 주거
물류, 문화, 유치원
주거지구
미국
리서치
트라이앵글파크
연방정부, 주정부 산하 연구기관 다수
초기490만평
현재817만평
연구개발, 기업, 생산
지원시설 등
-
일
본
하리마
테크노폴리스
이화학연구소(하리마)
원자력연구소(관서)등
605만평
기업, 대학, 연구소, 주거, 초중학교, 여가
50ha
1,800호
5,100명 수용
독
일
위스타
사이언스파크
홈볼트대학 등 12개 대학과
연구소
127만평
기업, 대학, 연구소, 주거지구, 여가문화지구
주거지구
스
페
인
안달루시아
-
51만평
기업, 대학, 연구소, 여가스포츠 지구 등
-
2) 혁신도시 해외 유사사례 - 시스타
현황 및 개요
-위치 : 스톡홀름시 북서쪽 20km
-면적 : 약 200ha
-인구 : 35,000명 (고용인구 : 27,000명)
-진출기업수 : 700여 개의 회사가 입주
-고용인구의 2/3가 IT관련 기업에 종사
개발배경
-스톡홀름시 인구과밀로 인한 도시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자족기능의 신도시 개발
-스톡홀름시 북서쪽 20km에 위치하며, 공항까지 20km, 고속도로와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다양한 대중교통 시설을 이용한 접근성 용이
-인근에 최고의 명문대학인 스톡홀름대학과 스웨덴왕립공대가 위치하여 우수한 인력유치 용이
-IT관련 대기업의 경제기반 형성
개발과정
-개발주체
- 스톡홀름 토지 기업입지회사 : 기업의 이전 방지와 기업유치를 위해 스톡홀름시가 설립한 신도시 건설주도 회사
- HSM : 스웨덴의 공공주택부문 대기업으로 시스타지역에 주거단지 건설
-개발과정
단계
태동기
형성기
시기
1961년
1976년
80년대 말
성격
부지매입조성
에릭슨 주도
클러스터 골격 형성
-개발과정
단계
정착기
확장기
시기
90년대 중반
2010년
성격
생태계 완성
자급자족형 복합 클러스터로 확장 계획
진출기관 및 업체
벤처기업
다국적 기업
연구소
ITeogkr
벤처캐피탈
산학협동센터
지역단체(스톡홀름시 등)와 IT대학 주도
시스타사이언스타워 및 시스타 갤러리아 건설
IT대학 확장
혁신환경과 도시발전
혁신환경
- 과학기술을 높이 평가하는 스웨덴의 사회적 분위기 조성
- 기존의 발전 도시(스톡홀름시)와 근접한 입지에 따른 도시인프라 활용 용이
- 녹지공간과 함께 주거시설, 연구시설 등을 조성하고 교통시설 주변에 생활편익시설, 연구소, 기업 등을 배치하여 우수한 주거 연구환경 조성
- 기존 도시와 접근이 용이한 다양한 대중교통시설 확충
- 인근의 우수대학 및 산학협력을 통한 우수 연구인력 확보
-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높은 교육투자
- 시스타지역 내의 기업들과 스웨덴왕립공대의 주도하에 설립된 일렉트룸이 설립되어 산학연 협력네트워크의 중심기구 역할 수행
시스타의 혁신주체들과 역할
공공기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IT산업 인프라 구축
입주업체에 저렴한 장소제공 및 창업지원, 자금지원
유망업체 입주시 각종 인허가, 건축허가 등 신속히 처리
통신산업의 국제 표준화 및 연구개발 지원
우수한 사업제안 개발 활성화를 위한 행사 개최
대학
스톡홀름대학, 스웨덴왕립공대
IT대학 공동운영
세계 정상급 기업들과 산학협동 및 연구인력 배출
연구기관
국책연구소
세계적 수전의 기술력 축적, 산업지원
에릭슨, IBM, 노키아, 컴팩, 인텔, 모토로라, 오라클 등
R&D 네트워크 중심축 역할
세계적인 우수 기업들의 무선통신 연구소 입주
350여 종 이상의 세계적인 기술 개발 및 확보
도시발전
- 스톡홀름의 인구과밀로 인한 도시개발 정책 및 자족기능의 신도시 개발의 성공사례
- 실리콘 밸리에 이은 세계 2위의 정보기술(IT) 산업단지로 발전
- 공공기관과 산학연의 협력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성공 사례
- 스웨덴 기반산업의 변화 유도 : 부동산금융부문(‘80년대)-정보통신(IT)부문
성공요인 및 시사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경영 정책의 변화 : 기업경영 마인드로의 전환
지자체와 산학연의 협력체계 구축 : 계획부터 진행까지 전 과정에서 상호 협력 및 지원
도시계획, 자족적 신도시 및 첨단산업단지 개발의 복합체
-이 계획은 개발을 시작해 성숙기에 이르러 성과가 나타나기 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단기간의 성과 보다는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일관된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정권교체에 의해 국가정책이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가시적인 성과가 없는 정책의 경우 지속되기 힘든 정치적 여건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나타나는 혼란과 문제점 등이 사업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장기적으로 사업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정부의 사업 추진 능력과 확실한 체계가 필수적이다.
7. 해외사례
1) 혁신도시 해외 유사사례
국
명
지명
공공기관이전관련(기관명)
면적규모
신도시, 신시가지
기능
주거기능
포함여부
스
웨
덴
웁살라
-
약 100만평
연구개발,대학,기업등
-
시스타
-
66만평
대학, 연구기관, 기업, 지원기관, 주택
주거지역
프
랑
스
테크노잡
마르세이유
국립행정학교, 수학, 정보센터, 비평형 연구소등 다수
54만명
기업, 대학, 엔지니어학교, 6개 연구기관, 초등학교 , 주거
주택
1,000호
테크노플
낭시부라보아
CNRS(국립과학 연구소),
INRIA, INSERM, INRA,
INPL(국립폴리테크닉) 등
150만명
기술산업지역, 주거지역, 경마장, 호텔, 여가시설 등
주거지역
테크노플
메쯔
ENSAM(국립예술직업학교)
ENIM(기술학교)등
1단계:54만평
2단계:120만평
산업, 녹지, 연구, 대학, 골프장 등 녹지비중 46.5%
-
테크로플
스트라스부르
일키르크
CNRS, INSERM, ENSPS,
ESBS 등
51만평
국제항공대학, 국립연구소, 기업 호텔, 골프장 등 입지
-
리옹
테크노플(7개지구로 구성)
Porte
des
Ales
-
423.5만평
대학, 기업, 연구기관, 주거지구 등
주거지는
423.5천평
내에 위치
La
Doua
INSA(국립과학학교), INSERM, CNR 등 대학, 연구소 다수
30만평
대학, 연구소, 기업
리옹과학기술의 40%
차지
기숙사만
있음
핀란드
헬싱키
아비아폴리스
-
1,270만평
연구개발, 기업, 주거
물류, 문화, 유치원
주거지구
미국
리서치
트라이앵글파크
연방정부, 주정부 산하 연구기관 다수
초기490만평
현재817만평
연구개발, 기업, 생산
지원시설 등
-
일
본
하리마
테크노폴리스
이화학연구소(하리마)
원자력연구소(관서)등
605만평
기업, 대학, 연구소, 주거, 초중학교, 여가
50ha
1,800호
5,100명 수용
독
일
위스타
사이언스파크
홈볼트대학 등 12개 대학과
연구소
127만평
기업, 대학, 연구소, 주거지구, 여가문화지구
주거지구
스
페
인
안달루시아
-
51만평
기업, 대학, 연구소, 여가스포츠 지구 등
-
2) 혁신도시 해외 유사사례 - 시스타
현황 및 개요
-위치 : 스톡홀름시 북서쪽 20km
-면적 : 약 200ha
-인구 : 35,000명 (고용인구 : 27,000명)
-진출기업수 : 700여 개의 회사가 입주
-고용인구의 2/3가 IT관련 기업에 종사
개발배경
-스톡홀름시 인구과밀로 인한 도시개발 정책의 일환으로 자족기능의 신도시 개발
-스톡홀름시 북서쪽 20km에 위치하며, 공항까지 20km, 고속도로와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다양한 대중교통 시설을 이용한 접근성 용이
-인근에 최고의 명문대학인 스톡홀름대학과 스웨덴왕립공대가 위치하여 우수한 인력유치 용이
-IT관련 대기업의 경제기반 형성
개발과정
-개발주체
- 스톡홀름 토지 기업입지회사 : 기업의 이전 방지와 기업유치를 위해 스톡홀름시가 설립한 신도시 건설주도 회사
- HSM : 스웨덴의 공공주택부문 대기업으로 시스타지역에 주거단지 건설
-개발과정
단계
태동기
형성기
시기
1961년
1976년
80년대 말
성격
부지매입조성
에릭슨 주도
클러스터 골격 형성
-개발과정
단계
정착기
확장기
시기
90년대 중반
2010년
성격
생태계 완성
자급자족형 복합 클러스터로 확장 계획
진출기관 및 업체
벤처기업
다국적 기업
연구소
ITeogkr
벤처캐피탈
산학협동센터
지역단체(스톡홀름시 등)와 IT대학 주도
시스타사이언스타워 및 시스타 갤러리아 건설
IT대학 확장
혁신환경과 도시발전
혁신환경
- 과학기술을 높이 평가하는 스웨덴의 사회적 분위기 조성
- 기존의 발전 도시(스톡홀름시)와 근접한 입지에 따른 도시인프라 활용 용이
- 녹지공간과 함께 주거시설, 연구시설 등을 조성하고 교통시설 주변에 생활편익시설, 연구소, 기업 등을 배치하여 우수한 주거 연구환경 조성
- 기존 도시와 접근이 용이한 다양한 대중교통시설 확충
- 인근의 우수대학 및 산학협력을 통한 우수 연구인력 확보
-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높은 교육투자
- 시스타지역 내의 기업들과 스웨덴왕립공대의 주도하에 설립된 일렉트룸이 설립되어 산학연 협력네트워크의 중심기구 역할 수행
시스타의 혁신주체들과 역할
공공기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IT산업 인프라 구축
입주업체에 저렴한 장소제공 및 창업지원, 자금지원
유망업체 입주시 각종 인허가, 건축허가 등 신속히 처리
통신산업의 국제 표준화 및 연구개발 지원
우수한 사업제안 개발 활성화를 위한 행사 개최
대학
스톡홀름대학, 스웨덴왕립공대
IT대학 공동운영
세계 정상급 기업들과 산학협동 및 연구인력 배출
연구기관
국책연구소
세계적 수전의 기술력 축적, 산업지원
에릭슨, IBM, 노키아, 컴팩, 인텔, 모토로라, 오라클 등
R&D 네트워크 중심축 역할
세계적인 우수 기업들의 무선통신 연구소 입주
350여 종 이상의 세계적인 기술 개발 및 확보
도시발전
- 스톡홀름의 인구과밀로 인한 도시개발 정책 및 자족기능의 신도시 개발의 성공사례
- 실리콘 밸리에 이은 세계 2위의 정보기술(IT) 산업단지로 발전
- 공공기관과 산학연의 협력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성공 사례
- 스웨덴 기반산업의 변화 유도 : 부동산금융부문(‘80년대)-정보통신(IT)부문
성공요인 및 시사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경영 정책의 변화 : 기업경영 마인드로의 전환
지자체와 산학연의 협력체계 구축 : 계획부터 진행까지 전 과정에서 상호 협력 및 지원
도시계획, 자족적 신도시 및 첨단산업단지 개발의 복합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