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미국의 교육문화
1. 문화적 성향
2. 학급 통제방식의 차이
Ⅱ. 미국의 영화문화
Ⅲ. 미국의 자동차문화
Ⅳ. 미국의 결혼문화
1. 약혼기간
2. 결혼
3. 오늘날 미국인의 결혼생활
Ⅴ. 미국의 스포츠문화
1. NFL(National Football league)
2. MLB(Major league baseball)
3. NBA(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4. NHL(National Hocky League)
참고문헌
1. 문화적 성향
2. 학급 통제방식의 차이
Ⅱ. 미국의 영화문화
Ⅲ. 미국의 자동차문화
Ⅳ. 미국의 결혼문화
1. 약혼기간
2. 결혼
3. 오늘날 미국인의 결혼생활
Ⅴ. 미국의 스포츠문화
1. NFL(National Football league)
2. MLB(Major league baseball)
3. NBA(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
4. NHL(National Hocky League)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으로 빨리 가려는 성향이 있고 이에 비해 자가용 운전자는 사고를 내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사고원인이 비정상적인 난폭운전에 기인하고 있는 만큼 선진국처럼 직업운전자의 비율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자가용 운전자들 중 특히 초보운전자들은 대개 직업운전자를 모방하려는 데에서 사고가 많다. 처음 차를 타는 단계에서의 우쭐대는 태도와 쓸데없는 치장 등 안전을 저해하는 요소는 삼가해야 할 것이다.
좁은 도로상황에서 자동차는 날로 증가하고, 짧은 운전문화에 물든 운전자들의 경쟁적 성향이 문제가 되고 있다. 당연히 차가 밀리는 상황에서 짜증을 내고 난폭운전을 하기도 한다. 사고 낸 자가 더 말이 많고 미안함을 모를 때가 있다. 어떻게 보면 상황이 잘못되어 발생한 사고인데도 사고 낸 한 사람만 공공재판식으로 몰아세우고 있다.
문제의 해결책은 사고발생시 불평보다는 어떻게 상황을 직시하고 받아들이는가 하는 자세에 있다. 이같은 태도를 합리적 정신이라고 말한다. 미국의 교통문화라고 해서 다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100년 이상의 전통 속에서 다듬어진 합리주의가 스며있음은 틀림없다. 제도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이 제도를 만든다고 한다. 따지고 보면 문화란 개개인 공동의 결실인 것이다.
참고로 미국의 제도가 왜 우리의 경우보다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야 하는가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몇 가지 필연적인 이유가 있다. 좁은 공간에서 자동차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넓은 대륙의 개척과 더불어 자동차가 늘어났고, 교통상황에 따라 합당한 건설을 시행한 것이다. 신대륙이라는 백지 위에서 민주주의를 먼저 도입하고 평등한 바탕 하에 제도를 발전시켜온 미국과 불평등한 체제에서 벗어나 평등을 만들어 가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출발부터가 차이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주어진 제도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그 나라 국민들이 어떻게 자기 앞에 놓여진 현실을 인식하고 스스로 과제를 극복해 나가느냐는 문화적 풍토와 국민정신에 더욱 가치가 있다. 이는 역사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가는 것이라는 웅변과 다를 바 없다.
결론적으로 요즘 \'총체적\'이란 용어가 유행하고 있듯이 교통문제 해결은 개별적인 요령보다는 국민 전체의 총체적 의지와 실천에 달려 있다고 보겠다. 비록 부분적으로는 짜증스럽고 개인적으로 위협받는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맞대응 비난보다는 일부 감내하고, 사고를 피해나가는 정신이 중요하다. 양보를 미덕으로 삼는 여유와 다소의 희생정신이야말로 현실적으로 문제해결에 동참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다시 한번 토크빌 선생과 미국의 이야기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주었으면 한다.
Ⅳ. 미국의 결혼문화
1. 약혼기간
남녀가 서로 결혼을 약속하면, 그들은 인생에서 아주 흥미롭고 바쁜 시기로 돌입한다. 이 때 남자는 약혼녀에게 선물과 다이아몬드 약혼반지를 주는 것이 전통적이다. 약혼기간에 그들은 서로의 친척들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결혼 계획을 세우고 살 집을 임대하거나 장만한다. 미국에서는 신혼부부가 부모님과 함께 살며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일이 거의 전무(全無)하다. 약혼 및 결혼 선물은 커플들이 그들의 새 집 살림을 장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약혼커플들은 일반적으로 백화점 혼수매장에 가서, 접시류(類)나 은그릇 제품, 유리그릇 류, 조리기구, 가전제품, 침구류와 같은 받고 싶은 품목의 목록을 작성한다. 결혼식에 초대받은 손님들은 결혼식 전에 이 목록에서 선물을 골라 예비부부에게 우편으로 부쳐주기도 한다. 결혼선물에다 shower gift(집들이 선물)도 받는다. shower는 손님들이 예비신부에게 새집에 유용한 것들을 주는 파티이다.
2. 결혼
오늘날 미국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결혼 관습은 다른 나라에서 이미 수세기 전에 시작된 것들이다. 어떤 것은 부부에게 행운과 다산(多産)을 가져온다는 오래 된 미신에 기초하고, 다른 것들은 평생 봉헌(奉獻)에 대한 결혼생활의 약속을 상징한다.
전통적인 미국의 신부들은 길고 흰 드레스를 입고 면사포를 쓴다. 일찍이 사람들은 면사포가 악령으로부터 신부를 보호해 준다고 생각했다. 하얀 드레스와 면사포는 순결을 상징한다. 신랑은 나비넥타이에 정장 턱시도를 입는데, 대개 결혼식을 위해 빌려 입는다. 전통에 따르면, 신랑은 결혼식 전에 신부의 드레스를 보아서는 안 되고, 식이 거행되기 전까지 신랑과 신부는 서로 만나지 않기로 되어있다.
결혼식은 교회나 집, 호텔, 야외에서 거행된다. 손님들은 한가운데 통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앉는다. 의식은 통로를 따라 신부가 행진을 하면서 시작된다. 행진하는 동안 연주되는 전통적인 음악은 바그너의 오페라 ‘Lohengrin\'의 결혼행진곡과 멘델스죤의 ’한 여름 밤의 꿈“에 나오는 관현악곡이다. 하지만 오늘날의 많은 커플들은 다른 음악을 고른다. 피로연에는 신부와 신랑, 그들의 절친한 친척과 친구들이 참석한다. 결혼식에는 신랑과 신부 들러리들이 있다. 신부 앞에는 어린 화동이 걸어가면서 밀짚바구니에서 꽃잎을 꺼내 뿌린다. 아버지나 부모님이 신부와 함께 통로를 따라 걸어가 신랑에게 신부를 인계한다. 그러고 나서 신부와 신랑은 주례를 보고 서게 되며, 그 밖의 의식 내용은 커플들의 종교에 따라 달라지게된다.
결혼식에서 신부와 신랑은 꼭 같은 결혼반지를 교환한다. 반지의 원은 시작도 끝도 없는 끝없는 사랑과 충실함을 상징한다. 반지는 왼쪽 손의 네 번째 손가락에 끼워주는데, 이 손가락의 혈관과 신경이 심장까지 직접 연결된다는 오래된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결혼식의 말미에 신랑과 신부는 남편과 아내가 되었음을 알리며 서로 키스한다. 그리고 나서 왔던 길을 거슬러 행진해 나간다. 손님들은 장미 꽃잎이나 색종이 가루, 쌀을 뿌리기도 하는데,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쌀은 부부가 아이를 갖는데 도움이 된다고 전해진다. 커플의 자동차는 “막 결혼했음”을 표시하는 주석 캔이나 리본, 낡은 신발로 장식되고, 주석 캔과 신발은 그 소음으로 악마를 쫓아내고 행운을 불러온다는 오래된 속설을 반영한다.
결혼식 후에는 음식과 음료, 춤이 있는 파티, 피로연이 열린다. 대개 하얀 설탕을 입힌 대형 웨딩 케
좁은 도로상황에서 자동차는 날로 증가하고, 짧은 운전문화에 물든 운전자들의 경쟁적 성향이 문제가 되고 있다. 당연히 차가 밀리는 상황에서 짜증을 내고 난폭운전을 하기도 한다. 사고 낸 자가 더 말이 많고 미안함을 모를 때가 있다. 어떻게 보면 상황이 잘못되어 발생한 사고인데도 사고 낸 한 사람만 공공재판식으로 몰아세우고 있다.
문제의 해결책은 사고발생시 불평보다는 어떻게 상황을 직시하고 받아들이는가 하는 자세에 있다. 이같은 태도를 합리적 정신이라고 말한다. 미국의 교통문화라고 해서 다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100년 이상의 전통 속에서 다듬어진 합리주의가 스며있음은 틀림없다. 제도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이 제도를 만든다고 한다. 따지고 보면 문화란 개개인 공동의 결실인 것이다.
참고로 미국의 제도가 왜 우리의 경우보다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야 하는가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몇 가지 필연적인 이유가 있다. 좁은 공간에서 자동차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넓은 대륙의 개척과 더불어 자동차가 늘어났고, 교통상황에 따라 합당한 건설을 시행한 것이다. 신대륙이라는 백지 위에서 민주주의를 먼저 도입하고 평등한 바탕 하에 제도를 발전시켜온 미국과 불평등한 체제에서 벗어나 평등을 만들어 가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출발부터가 차이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주어진 제도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그 나라 국민들이 어떻게 자기 앞에 놓여진 현실을 인식하고 스스로 과제를 극복해 나가느냐는 문화적 풍토와 국민정신에 더욱 가치가 있다. 이는 역사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가는 것이라는 웅변과 다를 바 없다.
결론적으로 요즘 \'총체적\'이란 용어가 유행하고 있듯이 교통문제 해결은 개별적인 요령보다는 국민 전체의 총체적 의지와 실천에 달려 있다고 보겠다. 비록 부분적으로는 짜증스럽고 개인적으로 위협받는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맞대응 비난보다는 일부 감내하고, 사고를 피해나가는 정신이 중요하다. 양보를 미덕으로 삼는 여유와 다소의 희생정신이야말로 현실적으로 문제해결에 동참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다시 한번 토크빌 선생과 미국의 이야기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주었으면 한다.
Ⅳ. 미국의 결혼문화
1. 약혼기간
남녀가 서로 결혼을 약속하면, 그들은 인생에서 아주 흥미롭고 바쁜 시기로 돌입한다. 이 때 남자는 약혼녀에게 선물과 다이아몬드 약혼반지를 주는 것이 전통적이다. 약혼기간에 그들은 서로의 친척들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결혼 계획을 세우고 살 집을 임대하거나 장만한다. 미국에서는 신혼부부가 부모님과 함께 살며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일이 거의 전무(全無)하다. 약혼 및 결혼 선물은 커플들이 그들의 새 집 살림을 장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약혼커플들은 일반적으로 백화점 혼수매장에 가서, 접시류(類)나 은그릇 제품, 유리그릇 류, 조리기구, 가전제품, 침구류와 같은 받고 싶은 품목의 목록을 작성한다. 결혼식에 초대받은 손님들은 결혼식 전에 이 목록에서 선물을 골라 예비부부에게 우편으로 부쳐주기도 한다. 결혼선물에다 shower gift(집들이 선물)도 받는다. shower는 손님들이 예비신부에게 새집에 유용한 것들을 주는 파티이다.
2. 결혼
오늘날 미국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결혼 관습은 다른 나라에서 이미 수세기 전에 시작된 것들이다. 어떤 것은 부부에게 행운과 다산(多産)을 가져온다는 오래 된 미신에 기초하고, 다른 것들은 평생 봉헌(奉獻)에 대한 결혼생활의 약속을 상징한다.
전통적인 미국의 신부들은 길고 흰 드레스를 입고 면사포를 쓴다. 일찍이 사람들은 면사포가 악령으로부터 신부를 보호해 준다고 생각했다. 하얀 드레스와 면사포는 순결을 상징한다. 신랑은 나비넥타이에 정장 턱시도를 입는데, 대개 결혼식을 위해 빌려 입는다. 전통에 따르면, 신랑은 결혼식 전에 신부의 드레스를 보아서는 안 되고, 식이 거행되기 전까지 신랑과 신부는 서로 만나지 않기로 되어있다.
결혼식은 교회나 집, 호텔, 야외에서 거행된다. 손님들은 한가운데 통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앉는다. 의식은 통로를 따라 신부가 행진을 하면서 시작된다. 행진하는 동안 연주되는 전통적인 음악은 바그너의 오페라 ‘Lohengrin\'의 결혼행진곡과 멘델스죤의 ’한 여름 밤의 꿈“에 나오는 관현악곡이다. 하지만 오늘날의 많은 커플들은 다른 음악을 고른다. 피로연에는 신부와 신랑, 그들의 절친한 친척과 친구들이 참석한다. 결혼식에는 신랑과 신부 들러리들이 있다. 신부 앞에는 어린 화동이 걸어가면서 밀짚바구니에서 꽃잎을 꺼내 뿌린다. 아버지나 부모님이 신부와 함께 통로를 따라 걸어가 신랑에게 신부를 인계한다. 그러고 나서 신부와 신랑은 주례를 보고 서게 되며, 그 밖의 의식 내용은 커플들의 종교에 따라 달라지게된다.
결혼식에서 신부와 신랑은 꼭 같은 결혼반지를 교환한다. 반지의 원은 시작도 끝도 없는 끝없는 사랑과 충실함을 상징한다. 반지는 왼쪽 손의 네 번째 손가락에 끼워주는데, 이 손가락의 혈관과 신경이 심장까지 직접 연결된다는 오래된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결혼식의 말미에 신랑과 신부는 남편과 아내가 되었음을 알리며 서로 키스한다. 그리고 나서 왔던 길을 거슬러 행진해 나간다. 손님들은 장미 꽃잎이나 색종이 가루, 쌀을 뿌리기도 하는데, 다산(多産)을 상징하는 쌀은 부부가 아이를 갖는데 도움이 된다고 전해진다. 커플의 자동차는 “막 결혼했음”을 표시하는 주석 캔이나 리본, 낡은 신발로 장식되고, 주석 캔과 신발은 그 소음으로 악마를 쫓아내고 행운을 불러온다는 오래된 속설을 반영한다.
결혼식 후에는 음식과 음료, 춤이 있는 파티, 피로연이 열린다. 대개 하얀 설탕을 입힌 대형 웨딩 케
추천자료
문화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의 형성-미국과 한국을 비교하여 설명
미국의 문화사
[행정문화][행정환경][행정개혁][행정개혁 성공전략][행정]행정문화와 행정환경의 변화 고찰 ...
해외 문화 탐방 보고서 (미국 뉴저지 Y 캠프)
미국의 음식문화 및 한식과 미국식의 차이점
미국의 기부, 자원봉사 문화와 우리나라의 현실
[증시][증시대공황][미국증시][세계증시][증시활성화][주식문화]1929년의 증시 대공황, 미국...
[쿠바][쿠바 문화][쿠바의 문화][쿠바 정권][쿠바와 미국의 관계][쿠바 발전 과제]쿠바의 지...
[조직개편][조직]일본의 정부조직개편, 미국의 사회규제부문 조직개편, 서울시의 문화관광행...
국가별 기업문화의 특성(미국, 일본, 한국의 기업문화 특징)
미국행정학의 발전과정과 한국의 행정문화
[팝음악][흐름][미국][수입][대중가요][랩][민중가요계][신세대문화][팝][힙합]팝음악의 흐름...
미국사회와 문화 과제(뉴욕여행계획)
국제다문화사회의 매너 - 국가별의 문화적 특징 (인도, 이집트, 태국, 스페인, 멕시코, 필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