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각 (Vision)
1. 눈의 구조
(1)안구?
(2)안구의 구조
(3)안구벽의 3층
2. 시각의 생리
1) 낮눈 보기와 밤눈 보기
2)암순응과 명순응
3) 시각과 시력
4)렌즈의 굴절력과 조절작용의 크기
5) 굴절이상
6) 광선입사량의 조절
7)시야와 두 눈 보기
3. 시신경 흥분 전도로
1. 눈의 구조
(1)안구?
(2)안구의 구조
(3)안구벽의 3층
2. 시각의 생리
1) 낮눈 보기와 밤눈 보기
2)암순응과 명순응
3) 시각과 시력
4)렌즈의 굴절력과 조절작용의 크기
5) 굴절이상
6) 광선입사량의 조절
7)시야와 두 눈 보기
3. 시신경 흥분 전도로
본문내용
중 이 부분에 해당하는 곳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을 발견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
E.마리오트의 이름을 따서 마리오트 맹점(Mariotte’s spot)이라고도 한다.
2. 시각의 생리
1) 낮눈 보기와 밤눈 보기
역할
낮 눈 보기
밤 눈 보기
시세포
원뿔 세포작용
막대세포작용
이유
*광선에 대한 예민도 낮음
*원뿔세포 각각 시신경에 의해
->대뇌피질에 연결
so, 원뿔 세포 하나하나가 -> 독자적 활동
*막대세포 여러 개가 하나의 시신경에 연결
->대뇌전달
so 독자적으로 활동을 못함
결과
독자적인 원뿔세포 활동-> 물체를 예리하게 봄
독자적으로 활동하지 못하는 막대 세포 활동
-> 물체가 모호, 회색으로 보임
2)암순응과 명순응
암순응
낮에 밝은 곳-> 어두운 장소 들어가면
앞이 보이지 않는 것
명순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나갈 때
(1)암순응
①정의? 낮에 밝은 곳-> 어두운 장소 들어가면 -> 앞이 보이지 않는 것
②암순응의 발생원인
ㄱ.막대세포의 로돕신과 시자홍의 반응
밝은 곳
로돕신과 시자홍-> 모두 화학반응 일으킴
로돕신 결핍
잘 보이지 않음
어두운 곳
로돕신이 재생
잘 보임
③야맹증?
*로돕신구성은 (비타민 A + 단백질 화합물 )으로 비타민 A가 부족하면 밤눈 보기가 어려워지는 현상
(2)명순응
정의 :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나갈 때 눈이 부시고 앞이 보이지 않는 현상
3) 시각과 시력
(1)시각- 물체의 양쪽 끝에서 초점을 거쳐 망막에 이를 두 직선이 초점에서 이루는 각
(2)시력- 두 개의 광점 또는 두 개의 직선을 두 개로 분해할 수 있는 최소의 시각을 측정하여 역수로 나타낸 것
①최소시각 1분 -> 시력은 1
최소시간 0.5 -> 시력은 2 .0
②사람에게 가능한 최대 시력 -> 시각으로 표시하여 0. 5분
이유: 사람 망막의 원뿔세포 지름이 2.0~ 2.6 ㎛
4)렌즈의 굴절력과 조절작용의 크기
(1)렌즈의 굴절력
①정의 : 초점거리의 역수
②단위 : 디옵터(diopter :D) 초점길이가 1 인 렌즈의 굴절력 기준
(초점거리가 5m인 렌즈 - 굴절력 1/5 = 0.2) *안정시 58D
(2)조절 작용크기
①원점- 58D의 굴절력으로 눈이 굴절작용을 거치지 않고 망막에 선명한 상을 맺을 수 있는
제일 가까운 지점 (6m)
②근점- 더 이상 가까운 곳의 물체를 똑똑히 볼 수 없는 지점의 최단거리
7 - 10 cm 이고 눈의 총 굴절력 = 70 D
③조절력 -
E.마리오트의 이름을 따서 마리오트 맹점(Mariotte’s spot)이라고도 한다.
2. 시각의 생리
1) 낮눈 보기와 밤눈 보기
역할
낮 눈 보기
밤 눈 보기
시세포
원뿔 세포작용
막대세포작용
이유
*광선에 대한 예민도 낮음
*원뿔세포 각각 시신경에 의해
->대뇌피질에 연결
so, 원뿔 세포 하나하나가 -> 독자적 활동
*막대세포 여러 개가 하나의 시신경에 연결
->대뇌전달
so 독자적으로 활동을 못함
결과
독자적인 원뿔세포 활동-> 물체를 예리하게 봄
독자적으로 활동하지 못하는 막대 세포 활동
-> 물체가 모호, 회색으로 보임
2)암순응과 명순응
암순응
낮에 밝은 곳-> 어두운 장소 들어가면
앞이 보이지 않는 것
명순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나갈 때
(1)암순응
①정의? 낮에 밝은 곳-> 어두운 장소 들어가면 -> 앞이 보이지 않는 것
②암순응의 발생원인
ㄱ.막대세포의 로돕신과 시자홍의 반응
밝은 곳
로돕신과 시자홍-> 모두 화학반응 일으킴
로돕신 결핍
잘 보이지 않음
어두운 곳
로돕신이 재생
잘 보임
③야맹증?
*로돕신구성은 (비타민 A + 단백질 화합물 )으로 비타민 A가 부족하면 밤눈 보기가 어려워지는 현상
(2)명순응
정의 : 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나갈 때 눈이 부시고 앞이 보이지 않는 현상
3) 시각과 시력
(1)시각- 물체의 양쪽 끝에서 초점을 거쳐 망막에 이를 두 직선이 초점에서 이루는 각
(2)시력- 두 개의 광점 또는 두 개의 직선을 두 개로 분해할 수 있는 최소의 시각을 측정하여 역수로 나타낸 것
①최소시각 1분 -> 시력은 1
최소시간 0.5 -> 시력은 2 .0
②사람에게 가능한 최대 시력 -> 시각으로 표시하여 0. 5분
이유: 사람 망막의 원뿔세포 지름이 2.0~ 2.6 ㎛
4)렌즈의 굴절력과 조절작용의 크기
(1)렌즈의 굴절력
①정의 : 초점거리의 역수
②단위 : 디옵터(diopter :D) 초점길이가 1 인 렌즈의 굴절력 기준
(초점거리가 5m인 렌즈 - 굴절력 1/5 = 0.2) *안정시 58D
(2)조절 작용크기
①원점- 58D의 굴절력으로 눈이 굴절작용을 거치지 않고 망막에 선명한 상을 맺을 수 있는
제일 가까운 지점 (6m)
②근점- 더 이상 가까운 곳의 물체를 똑똑히 볼 수 없는 지점의 최단거리
7 - 10 cm 이고 눈의 총 굴절력 = 70 D
③조절력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