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부부위에서 혈관 박리되는 것 막을 수 있다.
4. 동맥류의 기저부에 들어가기 이전에 경부 부위에서 동맥 혈관의 박리가 일어나는데 경부 부위는 많은
조직에도 가장 많이 견딜 수 있는 부위로서 목 부위 조작을 잘 하여야 한다.
-운이 좋지 않게도 동맥류가 혈관의 기시부에서 합쳐지는 부위에 호발한다. 따라서 기저부의 경부위과
근위부를 조심스럽게 박리하여야 하며, 동맥류의 경부의 기저부위에서 분지하는 동맥 분지 주변을 결찰하는
데 방해되지 않도록 잘 보이게 하기 위해 잘 박리하도록 한다. 원개 부위는 수술 전이나 수술하는 동안
출혈이 생길 가능성이 많으므로, 박리는 원개에서부터 시작해서는 안된다.
5. 모든 관통동맥분지는 클립이 동맥류 근처를 지나기 전에 동맥류 경부에서 분리해야 한다.
6. 미세 박리동안 출혈은 가능하다면 평균동맥압을 떨어뜨리고 국소적인 방법으로 저절해야 한다.
혹은 가능한 짧은 시간 동안 일시적인 결찰로 근위부 혈관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7. 대부분의 선천성 동맥류가 발견되는 부위(윌리스환과 그 주변)에 가능한 아래로 골피판을 위치하도록
하고 뇌를 당겨야 하는 필요성을 줄이도록 한다.
8. 클립의 제거나 위치 재조정, 재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기전을 가진 비압좌 형태의 클립을
쓰도록 한다. 주된 혈관이나 다른 관통동맥이 꼬이거나 막히는 것을 피하기 위한 주위를 기울여야 한다.
9. 동맥류의 경부가 넓고 따라서 클립을 쓰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근처 관통동맥을 주의하면서 양극성 응고계
를 이용하도록 한다.
10. 결찰이 동맥류 경부를 폐색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낭을 수술 거즈나 폴라스틱으로 쌀 수 있다. 근육
으로 채우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동맥류를 가장 잘 드러나게 하는 개두술은 (1)전두- 측두나 (2)측두이다.
접형능을 따라하는 전두-측두 두개술은 경동맥 분지와 윌리스환의 전방부에서 나온 동맥류의 90% 가량에
적용이 가능하고 기저동맥의 상부에서 나오는 일부의 동맥류에도 가능하다. 측두 접근은 기저동맥의 상부의
후방부에서 나오는 동맥류에서 사용되며 측두엽 아래부위를 드러내어 할 수 있다. 접형능을 따른 접근과
달리 측두접근은 기저동맥의 후방분지로부터 나오는 관통동맥을 더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들 동맥은
의식을 조절하는 간뇌부위를 공급하기 때문에 특히 생명에 중요하다고 하겠다. 측두골 아래로의 이런 접근
은 추골동맥에서부터 기저동맥의 기시부의 동맥류를 드러나게 하여 클립하기 위해 뒤로 활차신경까지 소뇌
천막 부위까지 접근한다.
★기계호흡(Mechanical Ventilation)
1. 기계호흡의 적응증
→ 기계호흡은 환자의 상태와 기저질환의 가역성을 고려하여 임상적 판단하에 시행한다. 절대적인 적응증은
없으나 기계호흡을 고려해야 할 생리적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계호흡의 적응증>
ㆍ무호흡
ㆍ급성 환기장애: PaCO2> 50mmHg and pH <7.3
ㆍ심한 불응성 저산소증: PaO2 ≤ 60mmHg or FaO2
ㆍ호흡부전의 임상적 소견: 의식장애, 빠르고
4. 동맥류의 기저부에 들어가기 이전에 경부 부위에서 동맥 혈관의 박리가 일어나는데 경부 부위는 많은
조직에도 가장 많이 견딜 수 있는 부위로서 목 부위 조작을 잘 하여야 한다.
-운이 좋지 않게도 동맥류가 혈관의 기시부에서 합쳐지는 부위에 호발한다. 따라서 기저부의 경부위과
근위부를 조심스럽게 박리하여야 하며, 동맥류의 경부의 기저부위에서 분지하는 동맥 분지 주변을 결찰하는
데 방해되지 않도록 잘 보이게 하기 위해 잘 박리하도록 한다. 원개 부위는 수술 전이나 수술하는 동안
출혈이 생길 가능성이 많으므로, 박리는 원개에서부터 시작해서는 안된다.
5. 모든 관통동맥분지는 클립이 동맥류 근처를 지나기 전에 동맥류 경부에서 분리해야 한다.
6. 미세 박리동안 출혈은 가능하다면 평균동맥압을 떨어뜨리고 국소적인 방법으로 저절해야 한다.
혹은 가능한 짧은 시간 동안 일시적인 결찰로 근위부 혈관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7. 대부분의 선천성 동맥류가 발견되는 부위(윌리스환과 그 주변)에 가능한 아래로 골피판을 위치하도록
하고 뇌를 당겨야 하는 필요성을 줄이도록 한다.
8. 클립의 제거나 위치 재조정, 재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기전을 가진 비압좌 형태의 클립을
쓰도록 한다. 주된 혈관이나 다른 관통동맥이 꼬이거나 막히는 것을 피하기 위한 주위를 기울여야 한다.
9. 동맥류의 경부가 넓고 따라서 클립을 쓰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근처 관통동맥을 주의하면서 양극성 응고계
를 이용하도록 한다.
10. 결찰이 동맥류 경부를 폐색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낭을 수술 거즈나 폴라스틱으로 쌀 수 있다. 근육
으로 채우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동맥류를 가장 잘 드러나게 하는 개두술은 (1)전두- 측두나 (2)측두이다.
접형능을 따라하는 전두-측두 두개술은 경동맥 분지와 윌리스환의 전방부에서 나온 동맥류의 90% 가량에
적용이 가능하고 기저동맥의 상부에서 나오는 일부의 동맥류에도 가능하다. 측두 접근은 기저동맥의 상부의
후방부에서 나오는 동맥류에서 사용되며 측두엽 아래부위를 드러내어 할 수 있다. 접형능을 따른 접근과
달리 측두접근은 기저동맥의 후방분지로부터 나오는 관통동맥을 더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들 동맥은
의식을 조절하는 간뇌부위를 공급하기 때문에 특히 생명에 중요하다고 하겠다. 측두골 아래로의 이런 접근
은 추골동맥에서부터 기저동맥의 기시부의 동맥류를 드러나게 하여 클립하기 위해 뒤로 활차신경까지 소뇌
천막 부위까지 접근한다.
★기계호흡(Mechanical Ventilation)
1. 기계호흡의 적응증
→ 기계호흡은 환자의 상태와 기저질환의 가역성을 고려하여 임상적 판단하에 시행한다. 절대적인 적응증은
없으나 기계호흡을 고려해야 할 생리적 기준은 다음과 같다.
<기계호흡의 적응증>
ㆍ무호흡
ㆍ급성 환기장애: PaCO2> 50mmHg and pH <7.3
ㆍ심한 불응성 저산소증: PaO2 ≤ 60mmHg or FaO2
ㆍ호흡부전의 임상적 소견: 의식장애, 빠르고
키워드
추천자료
Oleic acid로 유발한 가토의 호흡부전증에서 통상적인기계적 환기법과 기관내 폐환기?
기계적 인공호흡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인공호흡 Mechanical ventilation
심혈관 조영술
급성호흡부전과 기계적 인공호흡기 간호
뇌혈관 조영술(Cerebral Angiography)
진단검사(심장혈관 조영술)
기계적 인공호흡 Mechanical ventilation
angio-room에서 하는 시술(PTCA,인공심박동기,IABP,PTBD,TACE,뇌혈관 조영술,뇌동맥류 코일 ...
생리학 실험 보고서 [폐용적과 호흡기의 기계역학]
기계적 인공호흡에 대해서(인공호흡의 적응, 원리, 작동법, 양압환기기술)
노화가 인체(순환기계, 호흡계, 신경계,내분비계 등)에 미치는 영향
ICU 에서 주로 쓰이는 진단명, 약물, 기계에 관하여 (복막염 (Peritonitis), 호흡 부전증(Re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