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마케팅 전략과 컨설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드컵 마케팅 전략과 컨설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스포츠 마케팅 이란?

2.월드컵 마케팅 전략과 컨설팅

3스포츠 마케팅 향후 발전 가능성

본문내용

스포츠 마케팅 전략 컨설팅
1.스포츠 마케팅 이란?
2.월드컵 마케팅 전략과 컨설팅
3스포츠 마케팅 향후 발전 가능성
스포츠산업의 육성 의의
스포츠산업은 지식기반 경제의 유망영역으로 성장해 갈 것임.
○ 과거에는 스포츠산업을 용품제조업이나 시설업 등과 같은 하드웨어 부문만 산업으로 간주했음.
○ 최근 들어 정보 통신기술 및 지식 경제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스포츠산업 분야 또한 지식과 정보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영역이 급신장하고 있음.
- 스포츠용품업 : 첨단 과학기술과 스포츠 과학의 접목을 통한 스포츠용품 및 장비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음.
- 스포츠시설업 : 국민의식수준 향상으로 스포츠시설 운영의 합리화 및 효율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서비스 질의 향상이 요구됨.
- 스포츠서비스업 : 프로와 아마스포츠업 등의 스포츠경기업을 비롯하여 스포츠마케팅업과 스포츠정보업 등이 포함되며 지식과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중요한 사업 영역으로 대두됨.
○ 스포츠산업은 스포츠관광 등 기타 연관 산업과의 동반 성장을 이룸으로써 새로운 산업 및 직종의 창출을 창출해낼 유망 영역임
<표>우리나라 스포츠 산업 구조도
스포츠시설업
스포츠용품업
스포츠서비스업
스포츠시설건설업
스포츠용품제조업
스포츠경기업
스포츠시설설치업
경기장시설건설업
운동용품제조업
스포츠신발제조업
스포츠어패럴제조업
프로스포츠업
아마스포츠업
경륜
경마
경정
스포츠이벤트업
스포츠시설운영업
스포츠용품유통업
스포츠마케팅업
종목별스포츠시설운영업
리조트형스포츠시설업
스포츠시설임대업
스포츠용품도소매업
스포츠용품대여업
스포츠용품수리업
스포츠마케팅대행업
스포츠에이전트업
선수양성업
스포츠정보업
스포츠신문출판업
스포츠방송업
스포츠인터넷사업
스포츠여행업
스포츠복권
복표업
회원권판매업
스포츠소프트웨어 개발업
월드컵 마케팅 전략과 컨설팅
월드컵의 개최를 통한 광고업계의 역할을 언급함에 있어 먼저 월드컵이 어느 정도의 상업적 가치가 있고 또 월드컵을 활용한 각 기업들의 광고효과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언급은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본다. 다만 2002 FIFA월드컵축구대회가 국내에서 개최되고 또 수많은 세계일류 기업들이 스폰서로 참여하며 전세계 인구가 우리나라에 집중한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우리 광고업계로써는 그만큼 기회를 가지게 된다는데 어깨가 무거워짐을 느낀다. 특히, 일본과의 공동개최로 인해 세계의 이목과 비교의 대상이 될 것임은 뻔한 사실이므로 그 어느 대회나 국제 행사보다 우리 광고업계가 나서서 우리나라를 홍보하고 또 한국에서의 월드컵 대회가 훌륭하게 치뤄질 수 있도록 일조해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기업환경이 급변하고 또 소비자들의 관심과 취향이 시시각각 변함에 따라 기업들의 마케팅전략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특히, 스포츠를 이용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도 큰 발전을 거듭하게 됐다. 스포츠마케팅, 특히 월드컵과 올림픽을 이용한 세계적인 기업들의 마케팅 전략은 점점 적극적이고 다양하게 소비자들에게 다가서고 있다. 그만큼 스포츠 마케팅 분야는 전문화,세분화되고 있으며 기업의 입장에서도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MC) 전략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처럼 수많은 기업들이 스포츠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활용하고자 하면 할수록 각 스포츠 단체들은 해당 스포츠를 이용한 마케팅 권리를 한정시킴으로써 그 권리 가치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즉, IOC(국제올림픽위원회)나 FIFA (국제축구연맹)는 전문 마케팅 에이전시를 통해 각종 권리의 상업화를 극대화시킴으로써 각종 재원을 마련하고 또한 해당 스포츠 자체의 마케팅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2002월드컵의 마케팅 구조
각종 스포츠대회의 마케팅 구조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좀더 세분화되고 구체화되었으며 아직까지도 그 작업은 계속되고 있다. 2002월드컵대회도 이전 대회인 프랑스월드컵대회와는 많은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가장 큰 차이점이 바로 스폰서쉽과 관련된 마케팅구조인데 98 프랑스 월드컵 당시에는 권리지역 및 권리내용에 따라 5단계로 분류되었다. Official Marketing Partner(12개사), Official Supplier (8개사), Official Products & Ser-vices(9개사), Equipment Supplier (16개사), Licensees 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Official Marketing Part-ners만이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는 개최국내에서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중 마지막 단계인 Licensees는 공식상품화권자로서 각종 판촉물 관련업체들인데 이는 주요 지역별, 국가별 권리권자를 지정했으며 기업의 인지도나 이미지와는 관계없이 단순한 판매촉진을 위한 판촉물(Premiums) 제작업체로 보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권리구조가 5단계나 되고 각 단계별로 권리의 내용이 차별화 되지않고 애매모호해짐에 따라 상위 권리권자들의 불만이 증폭되었고 권리집행에 따른 분쟁도 생겨남에 따라 2002년 대회부터는 3단계로 단순화시키고 권리내용도 명확히 하고자 했다. 따라서 전세계를 대상으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Official Partners(12~14개사)와 개최국내에서만 권리행사가 가능한 Local Suppliers(한일 각각 6개사)와 공식상품화권자인 Licensees로 구분한 것이다. 즉 마케팅 구조의 단순화와 후원사 수의 축소를 통해 스폰서들의 권리를 대폭 강화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그만큼 권리권자에게는 유리하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기업이 참여할 기회가 줄어든 것이고 그 만큼 다른 기업들은 월드컵을 활용한 마케팅 기회가 줄어든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며 권리를 획득하기 위한 기업들간의 경쟁도 보다 더 치열해짐에 따라 권리금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월드컵 스폰서들의 마케팅 권리
각종 스포츠 경기에 참여하는 스폰서들의 권리사항은 종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공식명칭 및 대회마크 사용권
이는 해당기업이 그 대회의 공식스폰서임을 각종 광고, 홍보, 판촉물 등에 명시하는 것으로 월드컵 공식은행­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3.12
  • 저작시기200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0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