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 개념과 한계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1

Ⅱ. 자유의 개념 2

Ⅲ. 자유의 한계 4

Ⅳ. 아우르며 5
※ 참고문헌 6

본문내용

회인으로서의 다른 개인의 자유와 공통되는 자유이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자유의 상호침해를 인정하게 되면 사회의 질서는 붕괴되고 자유는 필연적으로 사멸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 둘째의 책임은 인생의 목적인 도덕생활의 유지·발전을 위하여, 선의 실현을 위하여, 환언하면 공공복지의 증진을 위하여 자유를 사용할 책임이다. 자유는 자유를 사멸시키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 자유를 수단으로 하여 자유를 보다 충실하고 보다 진실한 것으로 확보하기 위해 있는 것이다. 이리하여 자유를 충실하고 진실한 것으로 확보하는 것이 공공복지의 증진이고 선의 실현이며, 이에 의해 각 개인의 도덕생활의 발전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책임을 다하는 데 자유보존의 법칙이 있다. 이러한 책임을 무시하여 자유를 행사하는 것은 자유의 남용이다. 자유를 남용하게 되면 자유는 반드시 파괴되고 사멸하게 된다.
Ⅳ. 아우르며
다른 사람과의 친숙한 혹은 개인적인 관계에 있어 우리는 많은 문제들을 자유롭게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그런 많은 접촉들은 의도와 자유라는 생각에 의해 지배된다. 자발성은 당연시되고 그것이 바로 삶의 본질인 것으로 느껴진다. 우리는 어떤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 회합하며,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계획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한다.
과학자들의 세계는 상당히 다른 가정을 갖는 세계이다. 과학의 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자연법칙에 의해 결정된다(일어난다)는 사실이 가정되고, 결정론은 혹은 흔히 기계론이 당연한 것으로 인정된다. 전체로서의 우주와 그의 모든 부분들은 질서정연한 인과연쇄에 참여하며 또한 그에 의해 지배된다. 결과들은 흔히 단정적인 규칙성을 갖는 원인들을 따른다. 인과연쇄는 단지 물리학에서 뿐 아니라 생물하, 사회학, 심리학에서도 마찬가지로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이런 과학들은 엄격한 결정론의 근거 위에서 이루어진 상당한 진보를 성취했다. 그러나 여기에 외견상의 역설도 있다. 우리는 개인적인 관계에 있어서는 자유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반면 과학에서는 필연성과 결정론이 규칙이라고 가정한다.
우리는 대조되는 입장들을 가능한 한 공정하게 제시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한다.
참고문헌
·宋大永·金正浩, 『사회생활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0.
·崔漢秀, 『민주주의와 민주정치』, 圖書出版 大旺社, 1994.
·Harold. H. Titus, 김영필 외 3인 역, 『현실의 문제와 철학적 이해』, 형설출판사, 1992.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15
  • 저작시기200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