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1
Ⅱ. 자유의 개념 2
Ⅲ. 자유의 한계 4
Ⅳ. 아우르며 5
※ 참고문헌 6
Ⅱ. 자유의 개념 2
Ⅲ. 자유의 한계 4
Ⅳ. 아우르며 5
※ 참고문헌 6
본문내용
회인으로서의 다른 개인의 자유와 공통되는 자유이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자유의 상호침해를 인정하게 되면 사회의 질서는 붕괴되고 자유는 필연적으로 사멸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 둘째의 책임은 인생의 목적인 도덕생활의 유지·발전을 위하여, 선의 실현을 위하여, 환언하면 공공복지의 증진을 위하여 자유를 사용할 책임이다. 자유는 자유를 사멸시키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 자유를 수단으로 하여 자유를 보다 충실하고 보다 진실한 것으로 확보하기 위해 있는 것이다. 이리하여 자유를 충실하고 진실한 것으로 확보하는 것이 공공복지의 증진이고 선의 실현이며, 이에 의해 각 개인의 도덕생활의 발전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책임을 다하는 데 자유보존의 법칙이 있다. 이러한 책임을 무시하여 자유를 행사하는 것은 자유의 남용이다. 자유를 남용하게 되면 자유는 반드시 파괴되고 사멸하게 된다.
Ⅳ. 아우르며
다른 사람과의 친숙한 혹은 개인적인 관계에 있어 우리는 많은 문제들을 자유롭게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그런 많은 접촉들은 의도와 자유라는 생각에 의해 지배된다. 자발성은 당연시되고 그것이 바로 삶의 본질인 것으로 느껴진다. 우리는 어떤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 회합하며,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계획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한다.
과학자들의 세계는 상당히 다른 가정을 갖는 세계이다. 과학의 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자연법칙에 의해 결정된다(일어난다)는 사실이 가정되고, 결정론은 혹은 흔히 기계론이 당연한 것으로 인정된다. 전체로서의 우주와 그의 모든 부분들은 질서정연한 인과연쇄에 참여하며 또한 그에 의해 지배된다. 결과들은 흔히 단정적인 규칙성을 갖는 원인들을 따른다. 인과연쇄는 단지 물리학에서 뿐 아니라 생물하, 사회학, 심리학에서도 마찬가지로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이런 과학들은 엄격한 결정론의 근거 위에서 이루어진 상당한 진보를 성취했다. 그러나 여기에 외견상의 역설도 있다. 우리는 개인적인 관계에 있어서는 자유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반면 과학에서는 필연성과 결정론이 규칙이라고 가정한다.
우리는 대조되는 입장들을 가능한 한 공정하게 제시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한다.
참고문헌
·宋大永·金正浩, 『사회생활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0.
·崔漢秀, 『민주주의와 민주정치』, 圖書出版 大旺社, 1994.
·Harold. H. Titus, 김영필 외 3인 역, 『현실의 문제와 철학적 이해』, 형설출판사, 1992.
그 둘째의 책임은 인생의 목적인 도덕생활의 유지·발전을 위하여, 선의 실현을 위하여, 환언하면 공공복지의 증진을 위하여 자유를 사용할 책임이다. 자유는 자유를 사멸시키기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 자유를 수단으로 하여 자유를 보다 충실하고 보다 진실한 것으로 확보하기 위해 있는 것이다. 이리하여 자유를 충실하고 진실한 것으로 확보하는 것이 공공복지의 증진이고 선의 실현이며, 이에 의해 각 개인의 도덕생활의 발전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책임을 다하는 데 자유보존의 법칙이 있다. 이러한 책임을 무시하여 자유를 행사하는 것은 자유의 남용이다. 자유를 남용하게 되면 자유는 반드시 파괴되고 사멸하게 된다.
Ⅳ. 아우르며
다른 사람과의 친숙한 혹은 개인적인 관계에 있어 우리는 많은 문제들을 자유롭게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그런 많은 접촉들은 의도와 자유라는 생각에 의해 지배된다. 자발성은 당연시되고 그것이 바로 삶의 본질인 것으로 느껴진다. 우리는 어떤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 회합하며,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계획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한다.
과학자들의 세계는 상당히 다른 가정을 갖는 세계이다. 과학의 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자연법칙에 의해 결정된다(일어난다)는 사실이 가정되고, 결정론은 혹은 흔히 기계론이 당연한 것으로 인정된다. 전체로서의 우주와 그의 모든 부분들은 질서정연한 인과연쇄에 참여하며 또한 그에 의해 지배된다. 결과들은 흔히 단정적인 규칙성을 갖는 원인들을 따른다. 인과연쇄는 단지 물리학에서 뿐 아니라 생물하, 사회학, 심리학에서도 마찬가지로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이런 과학들은 엄격한 결정론의 근거 위에서 이루어진 상당한 진보를 성취했다. 그러나 여기에 외견상의 역설도 있다. 우리는 개인적인 관계에 있어서는 자유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반면 과학에서는 필연성과 결정론이 규칙이라고 가정한다.
우리는 대조되는 입장들을 가능한 한 공정하게 제시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한다.
참고문헌
·宋大永·金正浩, 『사회생활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0.
·崔漢秀, 『민주주의와 민주정치』, 圖書出版 大旺社, 1994.
·Harold. H. Titus, 김영필 외 3인 역, 『현실의 문제와 철학적 이해』, 형설출판사, 1992.
추천자료
고전적 자유(Classical liberalism)와 신자유주의(New freedom)...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언론출판의 자유와 직업선택의 자유
국민의 정치적 자유와 정당의 자유 및 민주적 경쟁질서 도입
[놀이지도]자유놀이시간에 교사가 해야할 역할, 놀이의 중요성과 자유놀이시간에 교사의 효과...
메킨타이어의 자유주의 비판) 자유주의에 대한 매킨타이어적 공동체주의 철학의 비판, 매킨타...
우파의 자유주의관에 대한 급진자유주의 비판
[신자유주의 교육] 신자유주의 교육의 특징과 문제점 분석
[평등][자유][평등권][평등사상][평등조항][양성평등][고용평등][교육평등][평등제도]평등과 ...
[사회복지정책론] 신자유주의와 신보수주의에 대하여 고찰하고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