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전거도로의 현황과 개선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자전거도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 감소 지체의 감소를 가져온다 또한 차선수가 홀수인 도로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대중교통 전용차선의 확보가 용의하다
5.일방통행의 단점
1)우회경로의 확보
기존 양방통행도로를 일방통행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금지방향의 차량들을 위하여 우회경로를 제공해야 한다. 평행하게 놓여있는 한 쌍의 도로에 실시할 대 일방통행제의 효율이 극대화되며 두 도로의 간격은 200~500m의 간격이 바람직하다.
2)통행거리의 증대
일방통행제 실시지역에서는 차량들이 최단경로를 통하여 통행하지 못하고 우회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총통행거리가 증대되며 양방향통행에 비하여 가로 교통량이 증대한다. 예를 들면 일방통행 운영이 첨두 4시간 동안은 좋을지 모르나 나머지 20시간동안은 바람직스럽지 못할 수도 있다.
3)도로변 영업에 악영향
어떤 종류의 영업(주차장, 식료품점, 음식점, 주유소등)은 일방통제로 인해 이용자가 접근하기가 불편해지므로 손해볼 수도 있다. 시내 중심지로 향하는 이용자를 상대로 하는 장사는 만약 일방통행이 그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면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4)회전용량의 감소
격자형의 도로망에서 일방통행제는 양방통행제에 비해 좌.우회전 기회가 25%감소하므로 회전교통량이 많으면 지체가 크게 증가된다. 일방통행제에서는 순환교통량이 증가하므로 양방교통제에 비해 항상 회전교통량이 많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우측 두 차선에서 우회전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우측 맨 끝은 우회전 정용 그 옆은 우회전과 직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좌회전역시 좌측 두개차선을 이용하여 좌회전해야 할 경우도 있다.
5)교통통제시설의 증가
모든 교차로에 일방통행 표지를 설치해야 하며 뿐만 아니라 회전금지표시 진입금지 표지들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한다. 또 두개의 차선을 이용하여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허용할 경우에는 차선통제 표지도 설치해야한다.
6)넓은 도로에서 보행자 횡단곤란
넓은 도로에(4차선 이상) 일방통행제를 실시하면 보행자 대피섬을 도로 중앙에 설치할 수가 없다. 또 보행자는 길을 건널 때 왼쪽을 먼저 확인한 후 오른쪽을 확인하는 습관에 젖어 있기 때문에 일방통행제에서는 이 습관을 깨어야 하므로 사고 가능성이 증가한다.
7)버스운행상의 문제점
동일노선의 반대방향 버스정류장이 한 블록 이상 떨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승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일방통행도로의 쌍이 멀 경우 승객들의 보행거리가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 또 적합한 노선이나 방향을 파악하는데 크게 곤욕을 당할 수 있다.
8)운전자 혼란
일방통행제 실시 초기단계에는 단속과 홍보를 강화하여 해당 지역에 익숙한 운전자들에게는 별반 문제가 없지 않지만 초행인 운전자에게는 종종 혼란을 야기 시킨다.
6. 일방통행의 효과
시행효과는 통행시간 감소 및 통행속도증가 등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통행시간은 10~50% 정도 감소되며 교통량이 조금 증가는 하지만 교통사고도 10~40% 정도 감소한다.
▶대구 동덕1길
조사
시간대
구 분
양방
교통량
(대/시)
일방통행
평균속도
(km/h)
양방 통행
평균속도
(km/h)
일방대비
속도변화
오전
07:30~07:45
107
23.35
20.25
△3.10
07:45~08:00
69
22.10
18.45
△3.65
08:00~08:15
94
20.20
18.30
△1.90
08:15~08:30
149
19.23
17.75
△1.48
시간당 평균
419
21.22
18.69
△2.53
정오
12:30~12:45
68
22.80
20.10
△2.70
12:45~13:00
50
21.20
19.60
△1.60
13:00~13:15
61
22.05
19.95
△2.10
13:15~13:30
75
20.15
19.65
△0.50
시간당 평균
254
21.55
19.83
△1.73
오후
18:00~18:15
70
20.90
19.40
△1.50
18:15~18:30
59
21.30
19.55
△1.75
18:30~18:45
66
21.60
20.63
△0.98
18:45~19:00
81
20.65
17.85
△2.80
시간당 평균
276
21.11
19.36
△1.76
<동덕2길 교통량 대비 평균통행속도 변화>
조사
시간대
구분
양방
교통량
(대/시)
일방통행
평균속도
(km/h)
양방 통행
현 체제
평균속도
(km/h)
일방대비
속도변화
평균속도
(km/h)
일방대비
속도변화
오전
07:30~07:45
94
22.15
21.25
△0.90
21.70
△0.45
07:45~08:00
55
23.60
19.95
△3.65
21.78
△1.83
08:00~08:15
99
23.10
21.05
△2.05
22.08
△1.03
08:15~08:30
112
23.45
22.00
△1.45
22.73
△0.72
시간당 평균
360
23.08
21.06
△2.01
22.07
△1.01
정오
12:30~12:45
113
22.00
19.65
△2.35
20.83
△1.18
12:45~13:00
94
23.30
21.35
△1.95
22.33
△0.98
13:00~13:15
112
22.20
20.00
△2.20
21.10
△1.10
13:15~13:30
84
20.15
18.00
△2.15
19.08
△1.08
시간당 평균
403
21.91
19.75
△2.16
20.83
△1.08
오후
18:00~18:15
159
15.30
13.25
△2.05
14.28
△1.03
18:15~18:30
135
13.50
12.20
△1.30
12.85
△0.65
18:30~18:45
153
13.40
12.05
△1.35
12.73
△0.68
18:45~19:00
120
11.73
10.80
△0.92
11.26
△0.47
시간당 평균
567
13.48
12.08
△1.41
12.78
△0.70
<새찬1길 교통량 대비 평균통행속도 변화>
7. 일방통행의 도입시 고려사항
1)일방통행 시행에 따라 통행이 차단되는 대향교통류의 통행을 위한 우회도로의 확보
- 일방통행시 반대방향에 대한 통행을 고려해야 하므로 격자형 체계에서 가능한 페어(pair)형태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3.15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