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조사 설계
3. 자료의 분석
4. 결론 및 한계점
5. 첨부자료
2. 조사 설계
3. 자료의 분석
4. 결론 및 한계점
5. 첨부자료
본문내용
수단’이 군집화 되고 있다.
군집화 과정을 거쳐 분류된 변수들의 소속군집을 나타내고 있다. ‘가격’은 군집 1로,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그리고 ‘디자인’은 군집 2로, ‘쇼핑몰 인지도’와 ‘결제수단’은 군집 3으로 분류되어 있다.
수직 고드름 형태로 군집 수에 따라 변수들이 군집화 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Number of Cluster
Case
1
6개 변수 모두 포함
2
군집 1 - ‘가격’,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디자인’
군집 2 - ‘쇼핑몰 인지도’, ‘결제수단’
3
군집 1 - ‘가격’
군집 2 -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디자인’
군집 3 - ‘쇼핑몰 인지도’, ‘결제수단’
Dendrogram
평균 연결법(집단간)을 이용한 덴드로그램(dendrogram)으로 수직축은 각각의 변수를, 수평축은 상대적인 거리를 5단위로 표준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가장 먼저 군집화 되는 것은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그리고 ‘디자인’이며, 그 다음은 ‘쇼핑몰 인지도’와 ‘결제수단’이었으며, 마지막으로 ‘가격’과 이미 군집화 된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그리고 ‘디자인’임을 알 수 있다.
4. 결론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물건 구매 시 소비자가 고려하는 요인은 군집 1 - ‘가격’ (실속을 중요 시 하는 구매자), 군집 2 -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디자인’(패션 및 유행에 민감한 구매자), 군집 3 - ‘쇼핑몰 인지도’, ‘결제수단’(안정성을 추구하는 신중한 구매자)인 것을 알 수 있다.
-종합 결과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구매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에 따른 군집을 확인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서 구매에 영향을 주는 2가지 요인을 발견하였으며
결과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2가지 요인과 추가로 1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 구매자로 군집이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분석결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행에 민감한 구매자와 안정성을 요구하는 구매자는 각기 원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이 두 그룹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4.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의 비중을 파악
7) 단순회귀분석 (Simple regression Analysis)
1. 분석의 목적
제품 구매 시 가격의 고려정도가 인터넷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의 비중과 상관이 있는지를 확인
2. 독립변수/종속변수의 결정
독립변수(X) : 인터넷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F34)
종속변수(Y): 제품의 구매 시 가격의 고려정도(F47)
3. 가설의 설정
귀무가설 (H0): β1=0 (X ,Y 간에 선형 관계가 없다)
대립가설 (H1): β1≠0 (X, Y 간에 선형 관계가 있다)
4. 유의수준 a 의 설정
α=0.05
5. SPSS분석
기술통계량
평균
표준편차
N
F47
3.7328
1.03300
116
F34
4.1724
.86754
116
상관계수
F47
F34
Pearson 상관
F47
1.000
.246
F34
.246
1.000
유의확률(단측)
F47
.
.004
F34
.004
.
N
F47
116
116
F34
116
116
- 독립변수(X) : 인터넷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F34)
종속변수(Y): 제품의 구매 시 가격의 고려정도(F47)
는 0.246 의 상관정도를 가진다
분산분석(b)
모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1
선형회귀분석
7.422
1
7.422
7.338
.008(a)
잔차
115.294
114
1.011
합계
122.716
115
a 예측값: (상수), F34
b 종속변수: F47
- 분산분석의 결과 선형회귀분석의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회귀식은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두 변수간에 선형 관계가 있다=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음)
-공신성을 평가하기 위해 잔차값을 살펴보았음
정규 P-P에서 정규분포를 가정하기 위해서는 대각선 근처에 점들이 모여 있어야 한다
도표를 봤을때 정규분포와 유사한 값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6. 결론
인터넷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F34) 과 제품의 구매 시 가격의 고려정도(F47)는
서로 선형관계가 있으나 상관계수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한계점
a. 조사의 결론
조사는 4단계로 이루어졌고 각 조사의 결과는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해준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한정이 되어 있고 이것은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최적의 자원 배분을 위해 의사결정을 하여야 하는데 본 조사에서
알게 된 내용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는 이유 ,성별의 차이에 따른 구매품목, 구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였고
이것은 각 쇼핑몰에서 취급하고 있는 품목과 마케팅 타겟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만약 쇼핑몰이 다루고 있는 품목이 컴퓨터에 관련된 품목이라면 남성에게 마케팅 노력을 집중하고
쇼핑몰의 형태는 안전과 인지도를 집중적으로 홍보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쇼핑몰에서 가격은 더 이상 차별화 할 수 있는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인터넷 쇼핑몰=저렴한 가격이라는 등식이 성립하였는데 많은 인터넷 쇼핑몰이 생겼기 때문에 가격이 아닌 다른 차별성을 내세워서 쇼핑몰을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b.조사의 한계점
표본을 추출할 때 문제점이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을 사용해 보지 않은 사람을 표본으로 추출함으로써 많은 결측치가 생기게 되었다
또한 표본의 연령 분포를 보면 80%이상이 20대로 나타난다 이것은 표본 선택에서 편의가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설문지 설계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발견했다
독립변수로 설정할 수 있는 문항이 적었으며 많은 문항을 서열 척도법을 사용하여 질문함으로써 설문조사를 받는 인원들이 질문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마지막으로 분석 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분석 결과간의 연관성이 크지 않고 질문의 내용이 각기 다른 내용을 묻고 있기 때문에 분석의 내용이
일관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군집화 과정을 거쳐 분류된 변수들의 소속군집을 나타내고 있다. ‘가격’은 군집 1로,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그리고 ‘디자인’은 군집 2로, ‘쇼핑몰 인지도’와 ‘결제수단’은 군집 3으로 분류되어 있다.
수직 고드름 형태로 군집 수에 따라 변수들이 군집화 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Number of Cluster
Case
1
6개 변수 모두 포함
2
군집 1 - ‘가격’,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디자인’
군집 2 - ‘쇼핑몰 인지도’, ‘결제수단’
3
군집 1 - ‘가격’
군집 2 -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디자인’
군집 3 - ‘쇼핑몰 인지도’, ‘결제수단’
Dendrogram
평균 연결법(집단간)을 이용한 덴드로그램(dendrogram)으로 수직축은 각각의 변수를, 수평축은 상대적인 거리를 5단위로 표준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가장 먼저 군집화 되는 것은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그리고 ‘디자인’이며, 그 다음은 ‘쇼핑몰 인지도’와 ‘결제수단’이었으며, 마지막으로 ‘가격’과 이미 군집화 된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그리고 ‘디자인’임을 알 수 있다.
4. 결론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물건 구매 시 소비자가 고려하는 요인은 군집 1 - ‘가격’ (실속을 중요 시 하는 구매자), 군집 2 - ‘제품의 브랜드’, ‘제품의 품질’, ‘디자인’(패션 및 유행에 민감한 구매자), 군집 3 - ‘쇼핑몰 인지도’, ‘결제수단’(안정성을 추구하는 신중한 구매자)인 것을 알 수 있다.
-종합 결과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구매자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에 따른 군집을 확인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서 구매에 영향을 주는 2가지 요인을 발견하였으며
결과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2가지 요인과 추가로 1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는 구매자로 군집이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분석결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행에 민감한 구매자와 안정성을 요구하는 구매자는 각기 원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이 두 그룹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4.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의 비중을 파악
7) 단순회귀분석 (Simple regression Analysis)
1. 분석의 목적
제품 구매 시 가격의 고려정도가 인터넷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의 비중과 상관이 있는지를 확인
2. 독립변수/종속변수의 결정
독립변수(X) : 인터넷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F34)
종속변수(Y): 제품의 구매 시 가격의 고려정도(F47)
3. 가설의 설정
귀무가설 (H0): β1=0 (X ,Y 간에 선형 관계가 없다)
대립가설 (H1): β1≠0 (X, Y 간에 선형 관계가 있다)
4. 유의수준 a 의 설정
α=0.05
5. SPSS분석
기술통계량
평균
표준편차
N
F47
3.7328
1.03300
116
F34
4.1724
.86754
116
상관계수
F47
F34
Pearson 상관
F47
1.000
.246
F34
.246
1.000
유의확률(단측)
F47
.
.004
F34
.004
.
N
F47
116
116
F34
116
116
- 독립변수(X) : 인터넷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F34)
종속변수(Y): 제품의 구매 시 가격의 고려정도(F47)
는 0.246 의 상관정도를 가진다
분산분석(b)
모형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유의확률
1
선형회귀분석
7.422
1
7.422
7.338
.008(a)
잔차
115.294
114
1.011
합계
122.716
115
a 예측값: (상수), F34
b 종속변수: F47
- 분산분석의 결과 선형회귀분석의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작으므로 회귀식은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두 변수간에 선형 관계가 있다=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음)
-공신성을 평가하기 위해 잔차값을 살펴보았음
정규 P-P에서 정규분포를 가정하기 위해서는 대각선 근처에 점들이 모여 있어야 한다
도표를 봤을때 정규분포와 유사한 값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6. 결론
인터넷 쇼핑몰 사용 이유 중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F34) 과 제품의 구매 시 가격의 고려정도(F47)는
서로 선형관계가 있으나 상관계수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결론 및 한계점
a. 조사의 결론
조사는 4단계로 이루어졌고 각 조사의 결과는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해준다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은 한정이 되어 있고 이것은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최적의 자원 배분을 위해 의사결정을 하여야 하는데 본 조사에서
알게 된 내용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는 이유 ,성별의 차이에 따른 구매품목, 구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였고
이것은 각 쇼핑몰에서 취급하고 있는 품목과 마케팅 타겟을 결정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만약 쇼핑몰이 다루고 있는 품목이 컴퓨터에 관련된 품목이라면 남성에게 마케팅 노력을 집중하고
쇼핑몰의 형태는 안전과 인지도를 집중적으로 홍보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쇼핑몰에서 가격은 더 이상 차별화 할 수 있는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인터넷 쇼핑몰=저렴한 가격이라는 등식이 성립하였는데 많은 인터넷 쇼핑몰이 생겼기 때문에 가격이 아닌 다른 차별성을 내세워서 쇼핑몰을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b.조사의 한계점
표본을 추출할 때 문제점이 나타났다
인터넷 쇼핑몰을 사용해 보지 않은 사람을 표본으로 추출함으로써 많은 결측치가 생기게 되었다
또한 표본의 연령 분포를 보면 80%이상이 20대로 나타난다 이것은 표본 선택에서 편의가 발생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설문지 설계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발견했다
독립변수로 설정할 수 있는 문항이 적었으며 많은 문항을 서열 척도법을 사용하여 질문함으로써 설문조사를 받는 인원들이 질문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마지막으로 분석 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분석 결과간의 연관성이 크지 않고 질문의 내용이 각기 다른 내용을 묻고 있기 때문에 분석의 내용이
일관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