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농구(농구경기)의 창안과 보급, 농구(농구경기)의 역사, 농구(농구경기)의 용어, 농구(농구경기)의 시설과 용구, 농구(농구경기)의 준비운동, 농구(농구경기)의 계시규정, 농구(농구경기)의 기술과 전술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구]농구(농구경기)의 창안과 보급, 농구(농구경기)의 역사, 농구(농구경기)의 용어, 농구(농구경기)의 시설과 용구, 농구(농구경기)의 준비운동, 농구(농구경기)의 계시규정, 농구(농구경기)의 기술과 전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농구(농구경기)의 창안과 보급

Ⅲ. 농구(농구경기)의 역사

Ⅳ. 농구(농구경기)의 용어
1. cut in play(컷 인 플레이)
2. dead ball(데드 볼)
3. defence(디펜스)
4. defender(디펜더)
5. delay the game(딜레이 더 게임)
6. delayed offense(딜레이드 오펜스)
7. direct pass(다이렉트 패스)
8. disqualification(디스퀄리피케이션)
9. disqualified player(디스퀄리파이트 플레이어)
10. disquallifying foul(디스퀄리파잉 파울)
11. doping test(도핑 테스트)
12. double dribble(더블 드리블)
13. double foul(더블 파울)
14. double pivot(더블 피봇)
15. doubel screen(더블 스크린)
16. dribble(드리블)
17. dribble cut in(드리블 컷 인)
18. dribble with alternating hands(드리블 위드 얼터네이팅 핸드)
19. dribbler(드리블러)
20. drive in(드라이브 인)
21. drive to the basket(드라이브 투 더 배스킷)
22. dunk shoot(덩크 슛)
23. edge of the backboard(에지 오브 더 백보드)
24. end line(엔드 라인)
25. end line throw in(엔드 라인 스로인)
26. expiration of playing time(익스파이어레이션 오브 프레잉 타임)
27. expulsin(익스펠션)
28. extra period(엑스트라 피리어드)
29. F.I.B.A(Federation Internationalede Basketball Amateur)
30. face guarding(페이스 가딩)
31. fake(페이크)
32. fake a shot(페이크 어 샷)
33. fake break(패스트 브레이크)
34. feel of the ball(필 오브 더 볼)
35. field goal(필드 골)
36. fifth foul(피프스 파울)
37. final score(파이널 스코어)
38. final(round)(파이널(라운드))
39. first half(퍼스트 하프)
40. five second rule(파이브 세컨드 룰)
41. floating defence(플로팅 디펜스)
42. forfeit(포피트)

Ⅴ. 농구(농구경기)의 시설과 용구
1. 경기장
1) 규격
2) 경계선
2. 용구
1) 백 보드의 규격, 재료, 위치
2) 바스켙
3) 볼 - 재료, 규격, 무게

Ⅵ. 농구(농구경기)의 준비운동

Ⅶ. 농구(농구경기)의 계시규정
1. 볼이 인플레이 될 때
2. 데드 볼
3. 차지 타임아웃

Ⅷ. 농구(농구경기)의 기술
1. 기본 기술
1) 기본 자세
2) 기본 기술
2. 종합 기술
1) 공격(Offense)
2) 수비

Ⅸ. 농구(농구경기)의 전술
1. 오른쪽(왼쪽) 비우기(CLEAR RIGHT(LEFT))
2. 뒤로 돌기(BACK DOOR)
3. 수비의 기본
4. 수비시의 위치
1) 맨투맨(MAN TO MAN)수비
2) 지역방어(ZONE DEFENSES)
3) 트라이앵글 투(TRIANGLE TWO)
4) 리턴 패스

참고문헌

본문내용

.
40. five second rule(파이브 세컨드 룰)
5초 룰이다.
41. floating defence(플로팅 디펜스)
이동 수비
42. forfeit(포피트)
몰수이다.
Ⅴ. 농구(농구경기)의 시설과 용구
1. 경기장
1) 규격
길이 26m, 14m 의 바닥이 단단한 직사각형이어야 하며 규격은 경계선의 안쪽부터 측정한다. 이 규격은 상호 길이 2 m ,너비 1m 의 비율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잔디 코트는 사용하지 못한다. 코오트 천장의 높이는 7m 이상이어야 하며 조명은 선수가 슛할 때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되며 코트 바닥을 충분히 밝힐 수 있어야 한다.
2) 경계선
장애물로부터 적어도 1m 이상 떨어진 곳과 관중들로부터 2m 이상 떨어진 곳에 5cm 굵기의 폭으로 선명하게 그어야 한다.
2. 용구
1) 백 보드의 규격, 재료, 위치
두께 3cm의 목재나 그 밖의 투명한 판이어야 하며 가로 1.8m 세로 1.2m 이어야 한다. 표면은 평면, 투명체가 아닐 경우 흰색 칠을 해야 한다. 링의 바로 뒤에 5cm 굵기의 선으로 59cm X 45cm 직사각형을 그리고 그 밑변의 위쪽이 링의 높이와 동일높이에 오게 하며 링의 가장자리는 5cm의 백색 또는 흑색으로 칠한다. 백보드의 받침대는 앤드라인의 밖에서 40cm 이상의 거리를 두고 세워야 한다. 선수가 충분히 식별하도록 배경과 대조적인 색을 칠한다.
2) 바스귑
바스귑은 오렌지 색으로 칠한 내경 45 cm 의 철제 링에 백색의 망을 단다. 링의 굵기는 지름 2cm 이어야 하며 망은 길이 40cm 로서 볼이 바스귑을 통과할 때 일시 머물도록 한다. 링은 백보드 중앙에 코오트 플로어로부터 3.05m의 높이에 위치해야 하며 백 보오드와 링 안쪽 사이의 거리는 15cm 이어야 한다.
3) 볼 - 재료, 규격, 무게
고무로 된 튜블를 가죽이나 합성물질 또는 고무로 거죽을 싼 것으로 둘레 75 ~ 78 cm ,무게는 600 ~ 650g 이어야 한다. 볼의 압력은 1.8m 높이에서 떨어뜨려 1.2 ~1.4m의 높이에까지 튀어올라야 한다.
Ⅵ. 농구(농구경기)의 준비운동
어떤 운동이던지 준비운동은 중요하다. 준비운동을 하지 않고 했을 경우 몸이 굳어서 플레이가 제대로 되지 않고 부상당할 수 있는 상황이 많이 벌어진다. 또한 같은 위험한 상황이 일어났을 때라도 준비운동을 하지 않았을 때 부상당할 확률이 높아진다 .
농구에 필요한 준비운동은 관절을 유연하게 풀어주는 것과 격렬한 움직임 중 심장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준비운동의 심장에서 먼 쪽부터 가까운 쪽으로 하는 것이 기본이다. 특별히 어떻게 해야 할 지 모를 때에는 예전에 배웠던 국민체조를 해도 충분하다. 그리고 관절을 풀어주는 운동은 쭉쭉 펴주는 느낌으로, 빨리빨리 하는 것보다 천천히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Streching). 먼저 발목을 충분히 풀어준다. 발끝을 땅에 대고 돌려준다. 처음에는 가볍게 차차 약간 힘을 주면서 천천히 돌려준다. 무릎을 풀어준다. 잘 아는 무릎운동을 해주면 된다. 무릎을 모으고 앉았다 일어나기를 반복해 준다. 무릎을 잡고 원을 그리며 돌려준다. 손가락과 손목을 풀어준다. 가볍게 흔들어준다. 여러 방향으로 놀러주면서 풀어준다. 목운동이다. 목을 앞뒤 좌우로 돌리면서 풀어준다. 역시 빠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충분히 근육이 이완될 수 있게 해 준다. 어깨와 팔운동이다. 팔을 돌려 어깨를 풀어주고 어깨를 돌려 어깨 죽지부분도 풀어준다. 허리운동이다. 천천히 등배운동을 해준다. 허리를 잡고 천천히 돌려준다. 허리에 다양한 운동효과가 있도록 여러 방향으로 돌려준다. 풍차 돌리기라고 하는 허리를 숙이고 손끝을 양쪽 발에 번갈아 대는 것은 허리에 좋지 않다고 하니 삼가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관절을 충분히 이완시켰으면 가벼운 뜀뛰기 등으로 심장에도 신호를 해 주는 것 이 좋다. 땀이 약간 나기 시작하는 정도까지 해주면 된다.
선수들의 경우 준비운동에만 2-3시간 정도 걸리기도 하지만 일반인이 그 정도까지 하다가는 시작도 하기 전에 뻗어버릴 것이다. 각자의 몸을 정확히 알아서 자신에게 적당한 준비운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준비운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Ⅶ. 농구(농구경기)의 계시규정
1. 볼이 인플레이 될 때
① 점프 볼시, 심판이 서클 안에 들어갔을 때
② 프리드로우 시, 심판이 제한 구역 내로 들어갔을 때
③ 드로인 시, 심판이 볼을 선수에게 주었을 때
2. 데드 볼
① 골 성공 시
② 바이레이션 발생 시
③ 핸드볼일 경우나 볼이 받침대에 끼었을 경우
④ 경기 진행 중 심판이 호각을 불었을 때
3. 차지 타임아웃
챠지 타임아웃은 코치가 계시원에게 손으로 분명하게 신호로서 청구한다. 계시원은 볼이 데드 된 상황에서 신호를 올려 심판에게 챠지 타임아웃을 알린다. 시간은 1분간이며 전/후반 각 2회씩 청구할 수 있고, 연장전에서는 2회의 기회가 있다. 각 팀은 사용하지 않는 타임아웃 기회를 다음 하프로 넘겨 사용하지 못한다.
Ⅷ. 농구(농구경기)의 기술
1. 기본 기술
1) 기본 자세
순간적인 출발과 정지, 빠른 몸놀림과 손발을 움직일 수 있는 자세여야 한다. 시선은 항상 움직이는 공에 둔다. 자세는 낮추고 몸의 중심을 발(앞쪽)끝에 둔다. 양발은 어깨너비 정도로 벌리고 언제 어디서든 방향 전환이 가능해야 한다. 수비시에는 한발을 앞으로 내어 상대의 드리블, 패스, 슛 동작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2) 기본 기술
볼 잡기(Catching)
볼을 취급하는 기술의 시작,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공격 기술이다. 볼을 끌어 당기듯이 잡는다.(손목, 팔꿈치, 어깨의 완충 작용을 이용) 손가락에 힘을 빼고 볼이 손바닥에 먼저 닿지 않도록 엄지를 뒤로(자기 가슴쪽)벌려 잡는다. 팔꿈치가 겨드랑이에서 너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주먹 하나 정도가 적당)
패스(Pass)
훌륭한 패스는 판단력, 넓은 시야, 정확성과 신속, 상대방이 눈치 채지 못하여야 좋은 패스라고 할 수 있다.
①체스트 패스(Chest Pass)
가장 흔히 사용하는 패스의 하나이며 약 5m 이내 거리에서 속공으로 처리할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