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노사관계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노사관계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쟁의행위 개념
1. 일반적 정의
2. 법상의 정의

Ⅲ. 쟁의행위 형태
1. 근로자측의 쟁의행위
2. 사용자측의 쟁의행위
3. 노동쟁의의 유형별 사례

Ⅳ. 노사분규 실태
1. 노사분규 배경
2. 노사분규의 추이와 특징

Ⅴ. 마치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15
47
51
64
68
84
186
188
243
263
556
658
643
755
710
591
682
82
70
221
183
193
287
206
166
194
958
1 121
1 915
1 802
1 800
2 443
1 871
1 944
2 318
120
176
373
457
641
601
449
503
626
자료 : 중앙노동위원회
③ 연도별 노동위원회 사건처리건수(재심)
(단위 : 건수)
연 도
Year

Total
부 당 노 동 행 위
Unfair labor practice
부 당 해 고
Unfair Dismissal
신청건수
Number
of
Applica- tions
유형별 처리건수
Classification of Decision by Type
이월
Trans
-fer
신청건수
Number
of
Applica- tions
유형별 처리건수
Classification of Decision by Type
이월
Trans
-fer
소 계
Total
인정
Recogni
-tion
화해
Compro
-mise
기각
Rejec
-tion
각하
Dismi
-ssal
취하
Withdr
-awal
소 계
Total
인정
Recogni
-tion
화해
Compro
-mise
기각
Rejec
-tion
각하
Dismi
-ssal
취하
Withdr
-awal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466
514
1 013
1 329
1 193
1 422
1 631
1 545
1 714
125
119
201
274
245
328
432
385
354
18
15
16
11
23
33
23
48
39
-
-
-
-
2
1
-
2
1
54
47
67
110
96
83
179
110
119
6
1
8
4
10
19
17
19
18
28
31
46
77
65
88
105
79
71
19
25
64
72
49
104
108
127
106
329
378
795
1 038
925
1 080
1 179
1 144
1 347
72
77
112
167
188
178
179
201
206
-
-
-
-
12
10
17
4
3
118
109
228
285
275
242
346
277
302
12
9
35
28
29
60
43
48
52
80
80
206
304
257
293
312
290
339
47
103
214
254
156
297
282
324
445
자료 : 중앙노동위원회
④ 노사분규 발생 종료시기 김강식 외 3, 노사관계 선진화를 위한 노사의 불법행위 근절방안, 2003, 한국항공대학교
○ 발생시기
255개 사업장을 노사분규발생시기별로 살펴보면 1월 14건(5.5%), 2월 9건(3.5%), 3월 9건(3.5%), 4월 7건(2.8%), 5월 22건(8.7%), 6월 77건(30.3%), 7월 99건(39.0%), 8월 17건(6.7%)을 각각 나타났다. 노사분규가 67월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때 전체 발생빈도의 약 70%를 보여 주고 있다. 이는 노사분규가 특정 시기에 집중되어 발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림 1> 노사분규 발생시기별 비율
○ 종료시기
노사분규가 종료한 시기에 따라 각 사업체의 빈도를 살펴보면 1월 6건(2.6%), 2월 7건(3.0%), 3월 8건(3.4%), 4월 8건(3.4%), 5월 14건(6.0%), 6월 24건(10.3%), 7월 103건(44.2%), 8월 54건(23.2%), 9월 현재 종료되지 못한 경우가 9건(3.9%)으로 각각 나타났다. 이를 앞서 살펴 본 발생시기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노사분규의 가장 많은 수가 6, 7월에 발생하여 약 1개월의 간격을 두고 7, 8월에 종료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림 2> 노사분규 종료시기별 비율
○ 분규 지속기간
노사분규의 지속기간을 살펴보면 1~6일 79건(31.3%), 7~15일 57건(22.5%), 16~30일 49건(19.4%), 30~50일 31건(12.3%), 50~99일 26건(10.3%), 100~299일 11건(4.3%)으로 각각 나타났다. 따라서 전체의 73.4%는 분규지속기간이 30일을 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앞서 살펴 본 노사분규발생과 종료간 약 1개월의 간격이 나타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 하겠다.
<그림 3> 노사분규 지속일수별 비율
○ 분규 참가인원
노사분규 발생시 노조원의 참여 정도를 살펴보면, 조합원 90% 이상 참가 166개 사업체(65.9%), 조합원 50% 이상 90%미만 참가 50개 사업체(19.8%), 조합원 50% 미만 참가 30개 사업체(11.9%), 노조 간부만 참가 6개 사업체(2.4%)로 각각 나타났다. 조합원 과반수가 참가한 경우는 전체의 86%이며, 나머지 14%의 분규에는 일부 혹은 조합 간부만 참가하고 있다. 노사분규시 조합원의 참가 정도는 전반적으로 높았다.
<그림 4> 노사분규 참가인원별 비율
* 일자별로 참가자수가 다를 경우 최대참가자수를 계산
○ 노사분규 주요 쟁점
노사분규의 원인이 되는 주요 쟁점으로 임금관련 부분이 176개 사업체(69.0%), 주5일제 등 근로시간 단축이 86개 사업체(33.7%), 인사징계위원회 구성이 46개 사업체(18.0%),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39개 사업체(15.3%), 전임자 증원이 30개 사업체(11.8%), 산별교섭 등 교섭방식이 26개 사업체(10.2%), 신규노조 인정이 20개 사업체(7.8%), 인적구조조정 중단이 19개 사업체(7.5%), 해고자 복직 15개 사업체(5.9%), 파업기간 중 임금지급요구가 12개 사업체(4.7)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그 외에도 정부의 제도개선(9개 사업체), 물적구조조정 중단(5개 사업체), 징계완화(5개 사업체), 민형사면책(4개 사업체) 등도 소수이기는 하나 쟁점이 되고 있다. 특히 이들 쟁점은 어느 하나만이 아니라 임금을 중심으로 여러 쟁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띠고 있었다. 따라서 노사분쟁의 진정한 쟁점 원인을 추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 외 기업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고용안정문제, 근골격계질환 대책, 조합원 가입범위, 경영자료공개, 인사발령철회, 민간위탁반대, 유니온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