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신라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서동요(향가, 신라시대), 풍요(향가, 신라시대), 혜성가(향가, 신라시대), 처용가(향가, 통일신라시대), 도솔가(향가, 통일신라시대), 제망매가(향가, 통일신라시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신라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서동요(향가, 신라시대), 풍요(향가, 신라시대), 혜성가(향가, 신라시대), 처용가(향가, 통일신라시대), 도솔가(향가, 통일신라시대), 제망매가(향가, 통일신라시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동요(향가, 신라시대)
1. 서동요의 원문
2. 서동요의 작품이해
3. 서동요의 배경설화

Ⅱ. 풍요(향가, 신라시대)
1. 풍요의 원문과 해독
1) 風謠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풍요의 배경 설화

Ⅲ. 혜성가(향가, 신라시대)
1. 혜성가의 원문과 해독
2. 혜성가의 작품해석

Ⅳ. 처용가(향가, 통일신라시대)
1. 처용가의 원문
2. 처용가의 배경설화
3. 처용가의 성격
4. 처용가의 짜임
5. 고려처용가와의 차이점

Ⅴ. 도솔가(향가, 통일신라시대)
1. 도솔가의 원문과 해독
2. 도솔가의 작품해석

Ⅵ. 제망매가(향가, 통일신라시대)
1. 제망매가의 원문과 해독
2. 제망매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시대), 도솔가(향가, 통일신라시대), 제망매가(향가, 통일신라시대) 분석
Ⅰ. 서동요(향가, 신라시대)
1. 서동요의 원문
2. 서동요의 작품이해
3. 서동요의 배경설화
Ⅱ. 풍요(향가, 신라시대)
1. 풍요의 원문과 해독
1) 風謠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2. 풍요의 배경 설화
Ⅲ. 혜성가(향가, 신라시대)
1. 혜성가의 원문과 해독
2. 혜성가의 작품해석
Ⅳ. 처용가(향가, 통일신라시대)
1. 처용가의 원문
2. 처용가의 배경설화
3. 처용가의 성격
4. 처용가의 짜임
5. 고려처용가와의 차이점
Ⅴ. 도솔가(향가, 통일신라시대)
1. 도솔가의 원문과 해독
2. 도솔가의 작품해석
Ⅵ. 제망매가(향가, 통일신라시대)
1. 제망매가의 원문과 해독
2. 제망매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Ⅰ. 서동요(향가, 신라시대)
1. 서동요의 원문
薯童謠
善花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卵乙抱遣去如
2. 서동요의 작품이해
진평왕(재위 579-632)의 딸 선화공주를 차지하기 위해 서동이 불렀다고 전한다. 그러나 남녀간의 사랑을 내용으로 했던 동요적인 민요가 후대에 전승되며 변화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진평왕이라든가, 선화공주, 나중에 백제 무왕이 되었다는 서동이 등의 이야기는 신분제 사회의 엄격한 벽을 뛰어넘고자 하는 백성들의 소망이 문학적 상상력 속에서 만들어낸 이야기라고 밖에는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서동요의 해석을 어학적으로, 구비문학적인 면에서 다시 고찰하여 \'서동에 의해 개작되기 이전의 노래, 즉 <마노래>가\' 있었음을 지적하여 다음과 같은 동요의 일반 유형을 재구해보기도 했다.(엄국현, <서동요 연구>, <<한국문학 논총 11집>>, 1990.10.)
공주님은
남 몰래 얼어 두고
마 퉁방을
밤에 도깨를 안고 가다.
여기서의 공주는 \'바리공주\' \'칠공주\' 등 서사무가 속에 등장하는 신화적 인물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대상이라기보다는 창자나 지역적 특성에 따라 바뀔 수 있는 부분으로 본다. 마 퉁방이란 \'마를 보관하는 방\'이란 의미로 마의 생김새가 남성 상징으로 파악되며, 이 경우 남성 상징과 연결시켜 대립소로서 \'도깨\' 즉, 마를 담는 바구니의 일종으로 해석한다. 일상적 여성의 생활 공간일 수 있는 마 퉁방이 여성의 은밀한 성적 유희의 장소로서도 파악되어질 수 있는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보였다. 더구나 당시 신라와 백제의 관계로 보아 통혼이 있을 수 없었으리라는 점도 이 작품을 민요로 보게 만드는 이유이다.
3. 서동요의 배경설화
이 노래는 유사 권 2 무왕조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그 所作 유래는 다음과 같다. 백제 제 30대 무왕의 어머니는 홀몸이 되어 서울 남쪽 못 가에 집을 짓고 살다가 그 못의 용과 통하여 낳은 아들이 바로 무왕인데, 어렸을 때의 이름은 서동(薯童)이었다. 기량이 측량키 어렵고, 늘 감자를 캐어 팔아서 가계를 삼았으므로, 사람들이 서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그러한 가운데, 신라 진평왕의 제 삼 공주인 선화가 재색이 무쌍하다는 소문을 그가 듣고, 머리를 깎고 신라 서울로 와서 아이들에게 감자를 주어 어울리면서 낮이 익어진 뒤에는 스스로 노래를 지어 아이들에게 가르쳐 부르게 하였다. 이 노래가 삽시간에 서울에 펴져서 대궐에까지 들어갔다. 대신들은 왕께 극히 간하여 공주를 멀리 정배 보내기로 하였다. 공주가 귀양살이로 떠나려 할 때 왕후는 순금 한말을 주어 보냈다 한다. 공주가 배소로 가다 도중에 서동이 나와 절하고 侍衛하여 가니까 공주는 그가 어디서 온 사람인지는 모르나, 흡족히 여겨서 그냥 두었다. 이리하여 함께 가는 도중에, 드디어 소동의 소원이 성취되었는데, 공주는 서동의 이름을 듣고 \"동요가 맞았다\" 하였다 한다.
Ⅱ. 풍요(향가, 신라시대)
1. 풍요의 원문과 해독
1) 風謠
來如來如來如
來如哀反多羅
哀反多矣徒良
功德修叱如良來如
2) 양주동 해독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셔럽다라
셔럽다 의내여
功德 닷라 오다
3) 양주동 현대역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서럽더라.
서럽다 우리들이여.
功德 닦으러 오다.
4) 김완진 해독
오다 오다 오다.
오다 셜 해라
셜 하 물아.
功德 닷라 오다.
5) 김완진 현대역
온다 온다 온다.
온다 서러운 이 많아라.
서러운 중생(衆生)의 무리여.
공덕 닦으러 온다.
2. 풍요의 배경 설화
작자는 釋良志의 조상이며 고향은 미상이나 선덕왕 때의 사람이다. 그가 錫杖머리에 포대를 걸어 놓으면 석장이 혼자 날아가 신도의 집에 이르러 흔들려 소리를 낸다. 그러면 그 집에서는 알고 齊費(불공 올리는 데 드는 비용)를 가득히 포대에 담아 주면 석장은 다시 날아서 돌아온다. 그래서 그의 거주하는 절을 釋杖寺라 한다. 그의 신기 헤아릴 수 없음이 대개 이러하였다. 그는 잡술에도 정통하였고 문장과 필법에도 능하였다. 靈廟寺丈六三尊과 찬왕상과 아울러 전탑의 기와며, 천왕사탑 아래의 팔부신장과 법립사 주불삼존과 좌우 금강신 등이 모두 그의 만들은 바요, 영묘사, 법림사 두 절의 額도 그가 쓴 바이다. 또 벽돌을 새겨서 작은 탑을 만들고, 그 안에 삼천불을 만들어 안봉하여 절안에 두고 致敬하였다. 靈廟寺丈六을 만든 뒤에 입정하였는데 그 때 성내의 土女가 다투어 흙을 날랐었다. 그때 이 노래를 지어 불렀다 한다. 이 풍요는 시주하지 못하는 신도가 부역으로 대신하여 부른 노래이다.
良志使錫
釋良志 未詳祖考鄕邑 唯現迹於善德王朝 錫杖頭掛一布 錫自飛至檀越家 振拂而鳴 戶知之納齋費 滿則飛還 故名其所住曰 錫杖寺 其神異莫測皆類此 旁通雜譽 神妙絶比 又善筆札 靈廟丈六三尊 天王像 幷殿塔之瓦 天王寺塔下八部神將 法林寺主佛三尊 左右金剛神等 皆所塑也 書靈廟 法林二寺額 又嘗彫造一小塔 竝造三千佛 安其塔置於寺中 致敬焉 其塑靈廟之丈六也 自入定 以正受所對 爲式 故傾城士女爭運泥土 風謠云 來如來如來如 來如哀反多羅 哀反多矣徒良 功德修叱如良來如 至今土人相役作皆用之 蓋始于此 像初成之費 入穀二萬三千七百碩 (或云[改]金時租) 議曰 師可謂才全德充 而以大方 隱於末技者也 讚曰 齋罷堂前錫杖閑 靜裝爐鴨自焚檀 殘經讀了無餘事 聊塑圓容合掌看
Ⅲ. 혜성가(향가, 신라시대)
1. 혜성가의 원문과 해독
彗星歌
舊理東尸汀叱乾達婆矣 (녜 ㅅ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