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
< 본 론 >
1. 남은 자 사상의 전개
1) 천지 창조 - 출애굽시대
2) 가나안 정복 - 포로 귀환 시대
3) 신약시대
< 결 론 >
< 본 론 >
1. 남은 자 사상의 전개
1) 천지 창조 - 출애굽시대
2) 가나안 정복 - 포로 귀환 시대
3) 신약시대
< 결 론 >
본문내용
시대에 구원에 동참할 모든 사람으로 그 범위를 확대시킨 것이다.
한편 이러한 남은 자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이사야서를 시작으로 예레미야나 미가, 스가랴 등 다른 선지자들에게서도 거듭 발견된다. - 그랜드 종합주석 제 9권 (p763), 제자원 1999년
여기서 다윗 언약에 대한 남은 자의 사상은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남은 자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나오는 ‘이사야서의 남은 자 사상’ 이나 ‘예레미야의 남은 자 사상’만을 사람들은 주목하고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남은 자’라는 것을 넓은 의미로 본다면 다윗에게도 적용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윗과 체결하신 하나님의 언약은 바로 (삼하7:12-13)에서 체결하신 다윗의 몸에서 날 자식이 성전을 건축할 것이며 하나님이 그 왕위를 견고케 해주시겠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윗왕가를 통하여 만왕의 왕 메시아가 오셔서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실 것에 대한 약속이다. 박윤식 - 하나님의 구속사적 경륜 속에서 본 예수그리스도의 족보 <영원히 꺼지지 않는 언약의 등불>, 도서출판 휘선, 2009년 51P
다윗의 그 아들들로부터 자신의 죄로 인하여 그의 아들 압살롬의 반란으로 많은 고난을 당하게 되고 결국 왕위에서
한편 이러한 남은 자에 대한 명시적인 언급은 이사야서를 시작으로 예레미야나 미가, 스가랴 등 다른 선지자들에게서도 거듭 발견된다. - 그랜드 종합주석 제 9권 (p763), 제자원 1999년
여기서 다윗 언약에 대한 남은 자의 사상은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남은 자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나오는 ‘이사야서의 남은 자 사상’ 이나 ‘예레미야의 남은 자 사상’만을 사람들은 주목하고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남은 자’라는 것을 넓은 의미로 본다면 다윗에게도 적용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윗과 체결하신 하나님의 언약은 바로 (삼하7:12-13)에서 체결하신 다윗의 몸에서 날 자식이 성전을 건축할 것이며 하나님이 그 왕위를 견고케 해주시겠다는 것이다. 이것은 다윗왕가를 통하여 만왕의 왕 메시아가 오셔서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실 것에 대한 약속이다. 박윤식 - 하나님의 구속사적 경륜 속에서 본 예수그리스도의 족보 <영원히 꺼지지 않는 언약의 등불>, 도서출판 휘선, 2009년 51P
다윗의 그 아들들로부터 자신의 죄로 인하여 그의 아들 압살롬의 반란으로 많은 고난을 당하게 되고 결국 왕위에서
추천자료
차일즈 구약신학
구약 신학자 폰라드(vonRad)
왕정시대의 시작과 멸망 -구약신학과의 만남(브루지만)
역사로본 구약신학 요점 정리 입니다.[정확함]
구약성서의 신학세계 (책 독서보고-박해령-협성대학교)
<복음주의신학 관점에서 본 구약의 내러티브 해석> 요약 및 서평 _ 리차드 프랫 저
[구약서론]구약 신학의 역사와 방법에 대하여
[구약신학] 레위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안식년과 희년
[구약신학] 레위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순종의 축복과 불순종의 저주
[구약신학] 레위기 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 취임식
[구약신학] 레위기 1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 진단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자의 정결 예식
[구약신학] 레위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종 서원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산모의 정결 규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