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목차
목 차
Ⅰ. 과학과 수준별 교육 과정
1.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개요 ----------------------- 1
2.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 1
3.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모형 ------------------- 2
Ⅱ. 현재 교육실정 및 교과서(교재) 분석
1. 교육실정 --------------------------------------- 5
2. 교과서 분석 ------------------------------------- 5
Ⅲ. 새 교과 내용
1. Webgeology ------------------------------------ 10
2. 전공서적 --------------------------------------- 17
3. 고등학교참고서 [하이탑 지구과학Ⅱ] ------------------ 20
3. 차세대 교과서 ----------------------------------- 23
4. 논문자료 --------------------------------------- 26
Ⅳ. 새로운 교재 구성 ----------------------------- 26
Ⅴ. 형성평가문항
1. 기본문제 ---------------------------------------- 35
2. 보충문제 ---------------------------------------- 37
3. 심화문제 ---------------------------------------- 37
Ⅵ. 본시 수업 지도안 ------------------------------ 38
Ⅶ. 참고문헌 ------------------------------------- 45
Ⅰ. 과학과 수준별 교육 과정
1.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개요 ----------------------- 1
2.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 1
3. 과학과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모형 ------------------- 2
Ⅱ. 현재 교육실정 및 교과서(교재) 분석
1. 교육실정 --------------------------------------- 5
2. 교과서 분석 ------------------------------------- 5
Ⅲ. 새 교과 내용
1. Webgeology ------------------------------------ 10
2. 전공서적 --------------------------------------- 17
3. 고등학교참고서 [하이탑 지구과학Ⅱ] ------------------ 20
3. 차세대 교과서 ----------------------------------- 23
4. 논문자료 --------------------------------------- 26
Ⅳ. 새로운 교재 구성 ----------------------------- 26
Ⅴ. 형성평가문항
1. 기본문제 ---------------------------------------- 35
2. 보충문제 ---------------------------------------- 37
3. 심화문제 ---------------------------------------- 37
Ⅵ. 본시 수업 지도안 ------------------------------ 38
Ⅶ. 참고문헌 ------------------------------------- 45
본문내용
륙지각내에서 흔하게 산출
따라서 안산암질 마그마가 대륙지각의 완전용융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알수 있음
일부는 맨틀이나 해양지각으로부터 생성되었을 것으로 예상
- 유문암질 마그마의 기원
유문암질 마그마를 분출하는 화산들은 대륙지각내에 한정되어 분포하거나 안산암질 화산활동이 있는 지역에서 한정되어 나타남
유문암질 마그마를 분출하는 화산들은 엄청난 양의 수증기를 방출하며, 유문암질 마그마로부터 생성된 관입암들은 운모와 각섬석과 같은 함수광물들을 상당량 포함함.
함수광물의 물은 마그마내 용존되어 있던 것들임
이러한 것들로부터 유문암질 마그마는 대륙지각이 기원임을 시사
② 보웬 반응계열
- 그림의 붉은색 화살표는 각 광물 형성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불연속적이지만 각각 연관이 되어있음을 시사
4) 지구과학개론(2005, 한국지구과학회)
① 마그마의 생성
- 마그마 생성의 조건
압력 강하에 따르는 융점의 강하
압력이 일정할 때 온도의 상승
기계적 에너지가 열적 에너지로 전환
온도, 압력은 일정하지만 H2O등의 첨가로 고상선의 강하
이들의 복합적인 작용
② 화성암의 분류
- 화학성분에 따른 분류
SiO2 함량 : 산성암, 중성암, 염기성암, 초염기성암
Na, K : Na2O + K2O 풍부 CaO함량 적음 → 알칼리암 / 반대 → 칼크-알칼리암
- 광물성분에 따른 분류
조암광물의 함량으로 분류
조암광물 : 유색광물(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무색광물(사장석, 정장석, 백운모, 석영)
- IUGS 분류
일반적으로 삼각도표에 의한 심성암의 분류는 석영(Q), 알칼리장석(A), 사장석(P)의 함량을 기준으로 함,
③ 화성암의 종류
- 심성암류 : 화강암, 섬장암, 몬조니암, 화강섬록암, 섬록암, 반려암, 감람암
- 반심성암류 : 화강반암, 석영반암, 섬장반암, 섬록반암, 휘록암
- 화산암류 : 유문암, 조면암, 석영안산암, 안산암, 현무암
3. 고등학교참고서 [하이탑 지구과학Ⅱ]
현실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만으로는 완전한 학습이 힘들다는 것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러한 맹점을 파악하고 있고, 그 대안으로 참고서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과서 따로 참고서 따로의 독립된 교재 운용으로 불필요한 낭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현재 고등학생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참고서인 하이탑 지구과학Ⅱ를 참고하여 필요한 내용을 교재에 첨가하려 한다.
1)첨가할 내용
① 마그마 생성조건 그림
⇒
- 물이 포함되지 않은 용융곡선을 표기하고 있다.
② 보웬의 반응계열에 관한 전반적인 소개
- 보웬의 반응원리 : 캐나다 태생의 미국 암석학자 보엔이 제창한 화성암의 성인론으로, 보엔의 반응 원리에 따르면 마그마는 단순히 응고하는 것이 아니라 결정으로 정출된 광물이 식으면서 마그마와 재차 반응한다. 반응 정도가 다르면 마그마의 화학 조성도 달라지므로 여러 가지 화성암이 생성된다.
③연속 / 불연속 반응계열
ㄱ. 연속반응계열 : 연속 반응계열에서는 고온에서 Ca이 많이 포함된 Ca사장석이 정출되고 온도가 점차 내려가면서 Ca 사장석과 마그마의 잔액이 반응하여 Na 성문이 많이 포함된 Na사장석이 정출된다.
ㄴ. 불연속 반응 계열 : 불연속 반응계열에서는 고온에서 감람석이 먼저 정출되고, SIO2가 농축되어 상대적으로 SIO2의 함량비가 증가된 마그마 잔액과 감람석이 반응하여 휘석이 정출된다. 또, 휘석이 다시 마그마와 반응하여 각섬석이 정출되고, 이어서 흑운모가 정출된다.
ㄷ. 연속 반응과 불연속 반응계열은 저온에서 합쳐져서 정장석, 백운모, 석영을 차례로 정출시킨다.
④ 산성, 중성, 염기성암의 기준을 정량적으로 제시
ㄱ. 염기성암 : SIO2의 함량이 45~52%인 암석으로, 마그마가 냉각되는 초기에 생성된 것이다. 유색 광물을 많이 포함하므로 암석은 대체로 어두운 색을 띄며, 현무암, 휘록암, 반려암이 이에 속한다. 특히 SIO2 의 함량이 45% 이하인 화성암을 초염기성암이라고 하는데, 초염기성암의 대표적인 암석은 감람암이다.
ㄴ. 중성암 : SIO2 함량이 52 ~ 66%인 암석으로, 안산암, 섬록반암, 섬록암이 이에 속한다.
ㄷ. 산성암 : SIO2의 함량이 66% 이상이며 마그마가 굳는 마지막 단계에 생성된 것이다. 무색 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암석의 색은 대체로 밝은 색을 띠며, 유문암, 석영반암, 화강암이 이에 속한다.
⑤ 각종 암석사진 및 결정조직에 대한 사진 제시
ㄱ. 화성암의 조직
ㄴ. 생성위치에 따른 화성암의 분류
⑥마그마와 용암의 구분
- 마그마가 지표로 나와 휘발성 기체와 수증기를 잃은 것을 용암(lava)라 한다.
\"마그마(magma) = 화산가스 + 수증기 + 용암(lava)\"
2) 부족한 내용
- 냉각속도와 결정크기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지만 그 이유(또는 결정크기 결정 매커니즘)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 실생활에 접목된 예시가 결여되어있다.
3. 차세대 교과서
- 교육과정에 얽매이지 않고 순수 과학 지식 전달을 목적으로 한 차세대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와는 사뭇 다른 내용 구성을 이루고 있다. 특히 실생활 적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진 자료 제시가 풍부하다. 또한 교과내용을 각 파트별로 분류하여 독립적으로 다룬 것이 아닌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어서 자연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내용들이 깊게 다루어지지 않고 과도하게 실생활에 치중하다보니 학문적 요소가 뒤떨어지는게 사실이다.
1) 인용할 내용
① 우리나라 지역별 화성암 표본
- 실생활에 깊게 접목된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② 화강암으로 구성된 산의 형성(북한산)
- 화강암은 땅속 약 7~10km 깊이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냉각되어 생성되었다.
- 화강암을 덮고 있던 염색이 오랜 세월 동안 풍화와 침식작용으로 조금씩 깍여 나가면서, 이지역은 서서히 융기한다. 따라서 땅속 깊은 곳에 있던 화강암은 점점 지표와 가까워진다.
- 덮고 있는 암석이 모두 깎여 나가면 화강암은 지표에 노출되어 이전과 다른 환경에 놓이게 된다. 생성될 때보다 압력은 작아지고, 온도는 낮아지며, 공기와 물, 생
따라서 안산암질 마그마가 대륙지각의 완전용융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알수 있음
일부는 맨틀이나 해양지각으로부터 생성되었을 것으로 예상
- 유문암질 마그마의 기원
유문암질 마그마를 분출하는 화산들은 대륙지각내에 한정되어 분포하거나 안산암질 화산활동이 있는 지역에서 한정되어 나타남
유문암질 마그마를 분출하는 화산들은 엄청난 양의 수증기를 방출하며, 유문암질 마그마로부터 생성된 관입암들은 운모와 각섬석과 같은 함수광물들을 상당량 포함함.
함수광물의 물은 마그마내 용존되어 있던 것들임
이러한 것들로부터 유문암질 마그마는 대륙지각이 기원임을 시사
② 보웬 반응계열
- 그림의 붉은색 화살표는 각 광물 형성이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불연속적이지만 각각 연관이 되어있음을 시사
4) 지구과학개론(2005, 한국지구과학회)
① 마그마의 생성
- 마그마 생성의 조건
압력 강하에 따르는 융점의 강하
압력이 일정할 때 온도의 상승
기계적 에너지가 열적 에너지로 전환
온도, 압력은 일정하지만 H2O등의 첨가로 고상선의 강하
이들의 복합적인 작용
② 화성암의 분류
- 화학성분에 따른 분류
SiO2 함량 : 산성암, 중성암, 염기성암, 초염기성암
Na, K : Na2O + K2O 풍부 CaO함량 적음 → 알칼리암 / 반대 → 칼크-알칼리암
- 광물성분에 따른 분류
조암광물의 함량으로 분류
조암광물 : 유색광물(감람석, 휘석, 각섬석, 흑운모), 무색광물(사장석, 정장석, 백운모, 석영)
- IUGS 분류
일반적으로 삼각도표에 의한 심성암의 분류는 석영(Q), 알칼리장석(A), 사장석(P)의 함량을 기준으로 함,
③ 화성암의 종류
- 심성암류 : 화강암, 섬장암, 몬조니암, 화강섬록암, 섬록암, 반려암, 감람암
- 반심성암류 : 화강반암, 석영반암, 섬장반암, 섬록반암, 휘록암
- 화산암류 : 유문암, 조면암, 석영안산암, 안산암, 현무암
3. 고등학교참고서 [하이탑 지구과학Ⅱ]
현실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만으로는 완전한 학습이 힘들다는 것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러한 맹점을 파악하고 있고, 그 대안으로 참고서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교과서 따로 참고서 따로의 독립된 교재 운용으로 불필요한 낭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현재 고등학생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참고서인 하이탑 지구과학Ⅱ를 참고하여 필요한 내용을 교재에 첨가하려 한다.
1)첨가할 내용
① 마그마 생성조건 그림
⇒
- 물이 포함되지 않은 용융곡선을 표기하고 있다.
② 보웬의 반응계열에 관한 전반적인 소개
- 보웬의 반응원리 : 캐나다 태생의 미국 암석학자 보엔이 제창한 화성암의 성인론으로, 보엔의 반응 원리에 따르면 마그마는 단순히 응고하는 것이 아니라 결정으로 정출된 광물이 식으면서 마그마와 재차 반응한다. 반응 정도가 다르면 마그마의 화학 조성도 달라지므로 여러 가지 화성암이 생성된다.
③연속 / 불연속 반응계열
ㄱ. 연속반응계열 : 연속 반응계열에서는 고온에서 Ca이 많이 포함된 Ca사장석이 정출되고 온도가 점차 내려가면서 Ca 사장석과 마그마의 잔액이 반응하여 Na 성문이 많이 포함된 Na사장석이 정출된다.
ㄴ. 불연속 반응 계열 : 불연속 반응계열에서는 고온에서 감람석이 먼저 정출되고, SIO2가 농축되어 상대적으로 SIO2의 함량비가 증가된 마그마 잔액과 감람석이 반응하여 휘석이 정출된다. 또, 휘석이 다시 마그마와 반응하여 각섬석이 정출되고, 이어서 흑운모가 정출된다.
ㄷ. 연속 반응과 불연속 반응계열은 저온에서 합쳐져서 정장석, 백운모, 석영을 차례로 정출시킨다.
④ 산성, 중성, 염기성암의 기준을 정량적으로 제시
ㄱ. 염기성암 : SIO2의 함량이 45~52%인 암석으로, 마그마가 냉각되는 초기에 생성된 것이다. 유색 광물을 많이 포함하므로 암석은 대체로 어두운 색을 띄며, 현무암, 휘록암, 반려암이 이에 속한다. 특히 SIO2 의 함량이 45% 이하인 화성암을 초염기성암이라고 하는데, 초염기성암의 대표적인 암석은 감람암이다.
ㄴ. 중성암 : SIO2 함량이 52 ~ 66%인 암석으로, 안산암, 섬록반암, 섬록암이 이에 속한다.
ㄷ. 산성암 : SIO2의 함량이 66% 이상이며 마그마가 굳는 마지막 단계에 생성된 것이다. 무색 광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암석의 색은 대체로 밝은 색을 띠며, 유문암, 석영반암, 화강암이 이에 속한다.
⑤ 각종 암석사진 및 결정조직에 대한 사진 제시
ㄱ. 화성암의 조직
ㄴ. 생성위치에 따른 화성암의 분류
⑥마그마와 용암의 구분
- 마그마가 지표로 나와 휘발성 기체와 수증기를 잃은 것을 용암(lava)라 한다.
\"마그마(magma) = 화산가스 + 수증기 + 용암(lava)\"
2) 부족한 내용
- 냉각속도와 결정크기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지만 그 이유(또는 결정크기 결정 매커니즘)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 실생활에 접목된 예시가 결여되어있다.
3. 차세대 교과서
- 교육과정에 얽매이지 않고 순수 과학 지식 전달을 목적으로 한 차세대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와는 사뭇 다른 내용 구성을 이루고 있다. 특히 실생활 적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진 자료 제시가 풍부하다. 또한 교과내용을 각 파트별로 분류하여 독립적으로 다룬 것이 아닌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어서 자연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내용들이 깊게 다루어지지 않고 과도하게 실생활에 치중하다보니 학문적 요소가 뒤떨어지는게 사실이다.
1) 인용할 내용
① 우리나라 지역별 화성암 표본
- 실생활에 깊게 접목된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② 화강암으로 구성된 산의 형성(북한산)
- 화강암은 땅속 약 7~10km 깊이에서 마그마가 서서히 냉각되어 생성되었다.
- 화강암을 덮고 있던 염색이 오랜 세월 동안 풍화와 침식작용으로 조금씩 깍여 나가면서, 이지역은 서서히 융기한다. 따라서 땅속 깊은 곳에 있던 화강암은 점점 지표와 가까워진다.
- 덮고 있는 암석이 모두 깎여 나가면 화강암은 지표에 노출되어 이전과 다른 환경에 놓이게 된다. 생성될 때보다 압력은 작아지고, 온도는 낮아지며, 공기와 물, 생
추천자료
지구 온난화의 과학적 이해
과학교육과 - 생물 교재 연구
[환경과학] '얼어붙은 지구'를 보고(감상문)
지구온난화의 해결에 있어 과학기술과 정치의 관계
[과학탐구]과학탐구의 정의, 과학탐구의 보고서, 과학탐구(위로 올라가는 구슬), 과학탐구(광...
[과학교육]과학과교육(학습)의 성격, 과학과교육(학습)의 목표, 과학과교육(학습)의 과정, 과...
[과학교육][과학교육 지역화][과학교육 지역화 사례][과학교육 지역화 방향]과학교육의 의의,...
1학년) <과학과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6/6) > Ⅴ-14. 지구의 변동
거대과학과 맨하튼 프로젝트, 원자력의평화적이용과 후쿠시마 원전사고,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인간과 과학 공통] 인간과 과학 교재에 나오는 과학기술자 중 한 사람을 선택하여 관련 전기...
유아과학교육_ 지구(산, 강과 호수, 사막과 평야, 대양과 바다), 자연현상(낮과 밤, 계절, 날...
교재에서 정의하는 과학 교육이 아닌 자신이 생각하는 과학교육에 대해 정의하시오 [과학교육]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의 단계 중 교구, 교재와 보조자료, 환경 개발 단계에서 보육교사는 보...
[놀이지도] 유아를 위한 과학 영역 구성 - 과학 영역의 교육적 가치와 구성, 과학 영역의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