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볼링의 정의와 기원 및 발전
3. 볼링의 역사 연대
4. 한국볼링의 역사와 발전
5. 9핀과 10핀 볼링
(1) 9핀 볼링
(2) 10핀 볼링
6. 경기방법과 종류
(1) 경기방법
(2) 여러 경기 종류
7. 볼링의 시설과 용구
(1) 레인
(2) 핀
(3) 볼
8. 볼링의 기술 및 구질
9. 볼링 경기 시 심리적인 안정법
10. 파워볼링
11. 나오며
2. 볼링의 정의와 기원 및 발전
3. 볼링의 역사 연대
4. 한국볼링의 역사와 발전
5. 9핀과 10핀 볼링
(1) 9핀 볼링
(2) 10핀 볼링
6. 경기방법과 종류
(1) 경기방법
(2) 여러 경기 종류
7. 볼링의 시설과 용구
(1) 레인
(2) 핀
(3) 볼
8. 볼링의 기술 및 구질
9. 볼링 경기 시 심리적인 안정법
10. 파워볼링
11. 나오며
본문내용
④ 던진 볼이 한쪽 홈통에 빠져 버리면 커터 볼이 되며, 그것이 제1구일 때에는 다음 번의 제2구를 가지고 승부를 내지 않으면 안 된다.
⑤ 파울 라인을 넘어섰을 때에는 초구에 한하여 F의 기호를 쓰고 제2구의 파울은 미스의 경우와 동일하다.
⑥ 제1구에서 남은 핀이 중앙을 비워 두고 좌우에 두 개가 늘어섰을 때에는 스프리트라고 한다. 이것은 쓰러뜨리기가 매우 어려워 0표를 기입하여 둔다.
(2) 여러 경기 종류
볼링 경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보통 여러 명이 친선으로 그냥 볼링에 임하는 경우 한 레인 안에서 서로 편을 만들어서 합한 점수로 경기를 진행하는 것도 일종의 볼링 경기 방식이다. 그 외 공식 시합에서의 볼링 경기 방식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자.
1) 스크래치 게임 (Scratch Game)
일대일 게임이다. 2명의 선수가 서로 핸디없이 게임을 진행하여 점수로 승부를 나누는 게임을 말한다. 이런 게임이 대부분이다.
2) 오픈게임 (Open Game), 리그게임 (League Game)
오픈게임은 한 레인에서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게임을 하는 경우이고, 리그게임은 좌우측레인을 번갈아 한 프레임씩 투구를 하는 게임이다.
3) 파라마스 게임 (Paramas Game)
현재 토요볼링에서 개인전 결승을 하는 장면을 많이 중계해준다. 이 게임이 파라마스 게임이다. 예선을 거쳐서 본선 상위 몇 명을 선별한다. 이 선수들을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스크래치 게임을 해서 승자가 상위 선수와 겨루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서 4등과 3등이 겨루어서 승자가 2등과 겨루고 여기서 승자가 1등과 겨루어서 최종 승자를 선별하는 게임이다.
4) 마스터즈 게임 (Masters Game)
이 게임은 국가대표 선발전 같은 아주 큰 시합에서 사용한다. 다수의 인원을 선발을 하여 서로 한번씩 경기를 하면서 승점과 토탈 점수로 우위를 결정한다. 이런 경우는 아주 큰 시합에서 실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많을 경우 사용한다.
5) X인조전
3인조, 5인조전이 가장 많은 경우이다. 한 팀의 수를 말한다. 상대방도 같은 인원으로 게임을 한다. 한 레인에 같은 팀선수 몇 명과 맞은편 레인에 다른 팀 선수 몇 명이 순서를 정하여 게임을 하여 팀점수로 승부를 낸다. 이외에 한번에 게임을 하지 않고 스크래치게임을 게속하여 총점수로 승부를 내기도 한다.
6) 그 외 경기방식
그 외 공식적인 경기방식외에 많은 방식이 있다. 주로 친목과 볼링동호 측면에서 만들어진 것들이다.
- 3-6-9 게임
이 게임은 3프레임, 6프레임, 9프레임에 스트라이크를 주어서 게임을 하는 경우이다. 1프레임외에 스트라이크를 치는 경우 더블이상이 되어서 고득점이 되기 쉽다. 그래서 좀더 볼링에 대한 흥미 유발을 가지게 할 수 있다.
- 쌍쌍게임, 스카치게임
이 게임은 남녀가 한 팀이 되어서 한 게임에 임하는 경기이다. 먼저 여자가 투구를 하였다면, 남자가 커버를 한다. 여자가 스트라이크를 치는 경우 순서가 바뀌어진다. 다음 프레임에서는 남자가 초구를 쳐야 한다. 이 게임은 남녀의 팀웍과 커버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 커버를 할 수 있도록 항상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리그전
이 게임은 대개 X인조방식으로 진행을 한다. 수십 팀에서 팀내에서 선출된 상위 다수가 게임에 참가한다. 인원은 X명으로 정해진다. 정해진 순서대로 풀 리그로 전부 승부를 겨룬다. 게임마다 승수를 만든다. 예를 들어 3게임씩 행한다면 1게임마다 1승씩, 그리고 3게임 총점수로 1승을 만들어 총 4승이 된다. 이 게임도 아주 팀내 단합이 요구되는 게임이다.
- 로열게임
이 게임은 한 프레임에 한번의 투구로 점수를 가산하는 게임이다. 스트라이크의 경우 3점, 9핀(개)을 맞추었을 경우 2점, 8핀은 1점, 7핀를 맞추었을 경우 0점이고, 스플릿의 경우는 -1점으로 계산한다. 최고 득점은 30점이고, 20점이상이면 고득점이다. 이 게임은 여성들을 위한 게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보통 게임에서는 여성들이 뒤지지만 초구로 승부를 내고 핸디를 받을 경우 더 우위가 될 수 있는 게임이다.
7. 볼링의 시설과 용구
(1) 레인
세계 공통의 규격이 있다. 볼링 경기를 하는 투구대를 레인이라고 하며 이것은 세계 공통의 규격에 따라서 만들어져 있고 KBC(한국볼링협회)의 검정에 의해 인증되고 있다. 이 레인의 각 부분 명칭이나 작용을 일단 머리에 넣어 둔다는 것은 볼링의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중요한 것이다.
- 레인의 구조
알레인 베드 - 실제 볼이 굴러가는 바닥을 굴러가는 바닥을 말하며 레인의 주체가 되는 부분이다. 좁은 의미로는 여기만을 가리켜서 레인이라고 할 경우도 있다.
이 부분에는 굳기, 탄력성, 내구력 등이 요구되므로 굳고 결이 세밀한 메이플(단풍나무)재와 파인(소나무)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한 장의 판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폭 약 3cm, 두께 약 15cm의 가늘고 긴 판을 39매 옆으로 이어 붙여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 판목의 하나 하나를 베드 스토그라 하여 판목의 수로 3매 좌 던가 5매 우 등과 같이 볼의 코수를 나타내기도 한다.
길이는 19.15m이며 퍼얼 라인에서 가장 앞의 핀의 중심까지는 18.28m로 되어 있다. 폭은 1.042에서 1.066m이다.
알레이 베드의 표면은 전후좌우 모두 수평으로 깎아서 1m이상의 차가 없도록 만들어져 있고 또한 그 위에 드레싱 도일(레인 콘디셔너)이 뿌려져 있다.
어프로치 - 투구에 필요한 달리는 장소(助走)를 말하며 퍼얼 라인까지의 바닥을 말한다. 길이는 4.5m이상으로 되어 있다.
퍼얼 라인 - 알레이 베드와 어프로치의 경계를 나타내는 검은 선을 말하며 이것을 넘어서 투구하면 반칙이 되어 핀이 넘어져도 득점이 되지 않는다. 이 라인의 폭은 2.5m이다.
핀덱 - 알레이 베드 끝의 필을 배치해서 세워 두는 장소이며 핀의 취치를 항상 일정하게 하기 위해 표시가 되어 있다. 이 표시는 파이버로 만들어진 지름 5.7cm의 원표시이며 핀 스팻이라 한다.
피트 - 볼이나 핀이 굴러 떨어지도록 낮게 되어 있는 부분이며, 뒤쪽에 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쿠션이 있다. 이 피트에 떨어진 핀은 핀 세팅 머신에 의해 리
⑤ 파울 라인을 넘어섰을 때에는 초구에 한하여 F의 기호를 쓰고 제2구의 파울은 미스의 경우와 동일하다.
⑥ 제1구에서 남은 핀이 중앙을 비워 두고 좌우에 두 개가 늘어섰을 때에는 스프리트라고 한다. 이것은 쓰러뜨리기가 매우 어려워 0표를 기입하여 둔다.
(2) 여러 경기 종류
볼링 경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보통 여러 명이 친선으로 그냥 볼링에 임하는 경우 한 레인 안에서 서로 편을 만들어서 합한 점수로 경기를 진행하는 것도 일종의 볼링 경기 방식이다. 그 외 공식 시합에서의 볼링 경기 방식에 대하여 정리를 해보자.
1) 스크래치 게임 (Scratch Game)
일대일 게임이다. 2명의 선수가 서로 핸디없이 게임을 진행하여 점수로 승부를 나누는 게임을 말한다. 이런 게임이 대부분이다.
2) 오픈게임 (Open Game), 리그게임 (League Game)
오픈게임은 한 레인에서 순서대로 돌아가면서 게임을 하는 경우이고, 리그게임은 좌우측레인을 번갈아 한 프레임씩 투구를 하는 게임이다.
3) 파라마스 게임 (Paramas Game)
현재 토요볼링에서 개인전 결승을 하는 장면을 많이 중계해준다. 이 게임이 파라마스 게임이다. 예선을 거쳐서 본선 상위 몇 명을 선별한다. 이 선수들을 아래에서부터 순서대로 스크래치 게임을 해서 승자가 상위 선수와 겨루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서 4등과 3등이 겨루어서 승자가 2등과 겨루고 여기서 승자가 1등과 겨루어서 최종 승자를 선별하는 게임이다.
4) 마스터즈 게임 (Masters Game)
이 게임은 국가대표 선발전 같은 아주 큰 시합에서 사용한다. 다수의 인원을 선발을 하여 서로 한번씩 경기를 하면서 승점과 토탈 점수로 우위를 결정한다. 이런 경우는 아주 큰 시합에서 실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많을 경우 사용한다.
5) X인조전
3인조, 5인조전이 가장 많은 경우이다. 한 팀의 수를 말한다. 상대방도 같은 인원으로 게임을 한다. 한 레인에 같은 팀선수 몇 명과 맞은편 레인에 다른 팀 선수 몇 명이 순서를 정하여 게임을 하여 팀점수로 승부를 낸다. 이외에 한번에 게임을 하지 않고 스크래치게임을 게속하여 총점수로 승부를 내기도 한다.
6) 그 외 경기방식
그 외 공식적인 경기방식외에 많은 방식이 있다. 주로 친목과 볼링동호 측면에서 만들어진 것들이다.
- 3-6-9 게임
이 게임은 3프레임, 6프레임, 9프레임에 스트라이크를 주어서 게임을 하는 경우이다. 1프레임외에 스트라이크를 치는 경우 더블이상이 되어서 고득점이 되기 쉽다. 그래서 좀더 볼링에 대한 흥미 유발을 가지게 할 수 있다.
- 쌍쌍게임, 스카치게임
이 게임은 남녀가 한 팀이 되어서 한 게임에 임하는 경기이다. 먼저 여자가 투구를 하였다면, 남자가 커버를 한다. 여자가 스트라이크를 치는 경우 순서가 바뀌어진다. 다음 프레임에서는 남자가 초구를 쳐야 한다. 이 게임은 남녀의 팀웍과 커버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 커버를 할 수 있도록 항상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리그전
이 게임은 대개 X인조방식으로 진행을 한다. 수십 팀에서 팀내에서 선출된 상위 다수가 게임에 참가한다. 인원은 X명으로 정해진다. 정해진 순서대로 풀 리그로 전부 승부를 겨룬다. 게임마다 승수를 만든다. 예를 들어 3게임씩 행한다면 1게임마다 1승씩, 그리고 3게임 총점수로 1승을 만들어 총 4승이 된다. 이 게임도 아주 팀내 단합이 요구되는 게임이다.
- 로열게임
이 게임은 한 프레임에 한번의 투구로 점수를 가산하는 게임이다. 스트라이크의 경우 3점, 9핀(개)을 맞추었을 경우 2점, 8핀은 1점, 7핀를 맞추었을 경우 0점이고, 스플릿의 경우는 -1점으로 계산한다. 최고 득점은 30점이고, 20점이상이면 고득점이다. 이 게임은 여성들을 위한 게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보통 게임에서는 여성들이 뒤지지만 초구로 승부를 내고 핸디를 받을 경우 더 우위가 될 수 있는 게임이다.
7. 볼링의 시설과 용구
(1) 레인
세계 공통의 규격이 있다. 볼링 경기를 하는 투구대를 레인이라고 하며 이것은 세계 공통의 규격에 따라서 만들어져 있고 KBC(한국볼링협회)의 검정에 의해 인증되고 있다. 이 레인의 각 부분 명칭이나 작용을 일단 머리에 넣어 둔다는 것은 볼링의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중요한 것이다.
- 레인의 구조
알레인 베드 - 실제 볼이 굴러가는 바닥을 굴러가는 바닥을 말하며 레인의 주체가 되는 부분이다. 좁은 의미로는 여기만을 가리켜서 레인이라고 할 경우도 있다.
이 부분에는 굳기, 탄력성, 내구력 등이 요구되므로 굳고 결이 세밀한 메이플(단풍나무)재와 파인(소나무)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한 장의 판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폭 약 3cm, 두께 약 15cm의 가늘고 긴 판을 39매 옆으로 이어 붙여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 판목의 하나 하나를 베드 스토그라 하여 판목의 수로 3매 좌 던가 5매 우 등과 같이 볼의 코수를 나타내기도 한다.
길이는 19.15m이며 퍼얼 라인에서 가장 앞의 핀의 중심까지는 18.28m로 되어 있다. 폭은 1.042에서 1.066m이다.
알레이 베드의 표면은 전후좌우 모두 수평으로 깎아서 1m이상의 차가 없도록 만들어져 있고 또한 그 위에 드레싱 도일(레인 콘디셔너)이 뿌려져 있다.
어프로치 - 투구에 필요한 달리는 장소(助走)를 말하며 퍼얼 라인까지의 바닥을 말한다. 길이는 4.5m이상으로 되어 있다.
퍼얼 라인 - 알레이 베드와 어프로치의 경계를 나타내는 검은 선을 말하며 이것을 넘어서 투구하면 반칙이 되어 핀이 넘어져도 득점이 되지 않는다. 이 라인의 폭은 2.5m이다.
핀덱 - 알레이 베드 끝의 필을 배치해서 세워 두는 장소이며 핀의 취치를 항상 일정하게 하기 위해 표시가 되어 있다. 이 표시는 파이버로 만들어진 지름 5.7cm의 원표시이며 핀 스팻이라 한다.
피트 - 볼이나 핀이 굴러 떨어지도록 낮게 되어 있는 부분이며, 뒤쪽에 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쿠션이 있다. 이 피트에 떨어진 핀은 핀 세팅 머신에 의해 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