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한류의 기본개념 및 전개과정
Ⅲ. 한류의 평가 및 대응방안
Ⅳ. 일본의 한류열풍
Ⅴ. 결론
Ⅱ. 한류의 기본개념 및 전개과정
Ⅲ. 한류의 평가 및 대응방안
Ⅳ. 일본의 한류열풍
Ⅴ. 결론
본문내용
을 앞세운 스타마케팅에서부터 청소년층을 겨냥한 장학 퀴즈 등 \"꿈나무 마케팅\",중국 변방이나 농촌지역의 틈새시장을 파고드는 \"풀뿌리 마케팅\", 고소득층을 타깃으로 삼는 \"귀족마케팅\" 등에 이르기까지 마케팅의 종류와 기법도 다양하다. 중국에서 불고 있는 한류열풍을 활용해 기업의 인지도를 최대한 높이고 현지 소비자들은 고객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전략이다.
① 꿈나무 마케팅
SK의 짱웬방(狀元榜)과 삼성전자의 산싱지리콰이처(三星智力快車)가 대표적이다. 짱웬방(狀元榜)과 산싱지리콰이처(三星智力快車)이는 중국의꿈나무를 겨냥한 퀴즈마케팅으로 중국학생층 사이에서 선풍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96년말 5개 지역방송국과 손잡고 싱싱레이타이(星星雷台)라는 장학퀴즈 프로그램을 만들어 후원해왔다. 삼성은 이 프로그램이 중국 청소년들로부터 호평을 받자 지난해 6월 중국CCTV와 제휴, 이 프로그램을 전국 고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산싱지리콰이처\"로 확대 개편했다. 산싱지리콰이처에는 지금까지 6백 여 명의 학생들이 출연했으며 매월 1천여통의 시청자 편지가 쏟아지고 있다고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했다.
SK는 작년 1월부터 중국 북경TV와 함께 \"중국판 장학퀴즈\"인 \"SK짱웬방\"을 단독 후원하고 있다. 매주 토요일 본방송과 일요일 재방송으로 중국 내 교양프로그램중 시청률(2%) 1위를 차지하고 있다. SK는 이외에 중국 고교생 7만 여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영어경시대회도 열었다.
② 스타 마케팅
삼성전자는 지난해 국내 간판급 연예인인 안재욱을 컬러모니터의 모델로 기용해 매출을 크게 늘렸다. 올 들어서는 휴대폰 광고에도 이나영, 김소연 등 인기탤런트가 출연시키고 MP3플레이어에는 인기가수그룹 \"핑클\"을 내세웠다. 삼성은 지난 4월 안재욱 유승준 베이비복스 등이 참여한 \"한중슈퍼음악회\"를 후원하기도 했다.
③ 풀뿌리 마케팅
LG전자는 지난 99년부터 중국 심양 등지의 낙후된 학교와 시골부락을 대상으로 현대화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받은 학교와 마을이 \"LG소학교\" \"LG촌\"등으로 불릴 정도로 LG이미지를 심어 주는데 커다란 효과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LG는 중국 북경TV의 \"칭찬 합시다\" 프로그램도 후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변방지역을 돌며 \"대장정\"이란 이름의 순회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6월엔 34개 성(省)급 도시에서 \"친절 신속 정확\"이란 기치를 내걸고 \"마라톤 서비스활동\"을 펼쳐 상당한 구전효과를 보았다는 전언이다.
④ 귀족 마케팅
중국 내 고소득층을 겨낭한 \"고가마케팅\" 전략으로.국내 기업들은 중국의 고가품 수요가 한국보다도 크다고 보고 연소득 2만 달러 이상의 확보, 특별 관리 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가품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 LG전자의 벽걸이TV는 한국 내 판매가격의 2배이며 삼성전자 휴대폰 단말기는 3배에 가까운 금액으로 중국에서 팔리고 있는데, 최근 마케팅을 전공한 한족을 중심으로 21명의 전담팀을 구성했으며 삼성전자도 베이징과 상하이 광조우 지역의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프로젝션TV와 양문 냉장고, 휴대폰 등 고가제품 판촉에 열을 올리고 있다.
⑤ 스포츠마케팅
지난 8월 삼성전자는 \"삼성배 4개국 국제축구경기\"를 개최했고 LG전자는 \"LG아시아 남자 농구선수권대회\"를 공식 후원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5월 프로축구 전북 현대와 중국 프로축구 상하이 션화(上海 申花)간 \"2001 현대자동차컵 한.중 프로축구 친선경기\"를 가졌다. 오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국내 기업들의 중국내 스포츠마케팅 활동은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3) 한류의 영향
(1) 사회문화적 영향
① 중국 청소년들의 외양적 변화
중국의 10대 청소년들은 한국 학생인지 중국 학생인지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한국화 되어 있었다. 한류현상이 나타난 후 눈에 뜨이는 변화로는 한류에 동참하는 청소년 외양이나 일상적 모습이 한국스타, 가수를 본 딴 스타일로 변했다는 것이다. 한국 드라마의 방영, 가수들에 대한 열광은 그들의 헤어, 패션, 스타일을 추구하는 합한족이란 매니아들을 많이 만들어 내였으며, 이런 이미지 변신으로 청소년들은 기존의 전통문화와 구분되는 자기들의 취향과 개성을 표현하고 있다. 또 중국의 신세대들은 한국 가수들의 복장과 머리 모양을 흉내 내는데 그치지 않고 비슷한 취향의 매니아들이 모이는 한류거리라는 선풍적인 이색 문화의 마당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가고 있다.
② 한국문화에 대한 동경과 국가 이미지 홍보
드라마를 통해 한국인에 대한 좋은 인상을 갖게 되었으며 한국 브랜드면 다 좋아 보일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배우려 한다. 특히 한광에 속하는 십대일수록 한국 문화나 국가에 대한 호감이나 이미지 변화가 더 크게 일어나고 있다.
③ 중국미디어의 연쇄반응
㉠ 텔레비전
97년 TV에서 방영된 “사랑이 뭐길래”라는 드라마로 시작된 한국 드라마가 황금시간대의 방송시간을 접하고 방송되었으며, 일년에 한번 있는 한중 축구시합에서 중국팀이 한국팀에 패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북경 TV방송에서 방영되는 \"별은 내 가슴에“에는 안방극장을 달구었다. 人民일보(2000. 8. 28)
이러한 효과로 중국에서는 중국 드라마에 한국 배우 모시기가 유행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대기업 즉, 삼성전자와 SK그룹은 중국 TV프로그램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큰 효과를 보고 있다.
㉡ 라디오 방송
한국 음악프로그램을 소개하는 방송국이 늘어나고 있으며 시간, 송출되는 도시도 늘어나고 있다. (주)미디어 플러스가 두달 동안의 시험방송을 거쳐 97년 7월 1일부터 FM라디오 채널을 통하여 <서울음악광장>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음악을 소개하는 정규 프로그램을 내보내고 있는데 큰 반응을 일으켰다고 한다. 또한 주로 중국정부와 공산당의 선전, 계몽 프로그램을 주로 내보내던 중앙인민방송이 외국음악, 그것도 한국가요를 전문으로 소개하는 정규 프로그램을 편성하였는데, 청취율에 관심이 집중된 중앙인민방송이 지금 한창 중국대륙을 달구고 있는 한류열풍에 편승하게 되었다.
㉢ 잡지
최근 들어 많이 발행되고 있는 중국 음악 잡지는 표지를 누구로 하느냐에 따라 판매량이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한때는 한국음악회사가 기자를
① 꿈나무 마케팅
SK의 짱웬방(狀元榜)과 삼성전자의 산싱지리콰이처(三星智力快車)가 대표적이다. 짱웬방(狀元榜)과 산싱지리콰이처(三星智力快車)이는 중국의꿈나무를 겨냥한 퀴즈마케팅으로 중국학생층 사이에서 선풍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96년말 5개 지역방송국과 손잡고 싱싱레이타이(星星雷台)라는 장학퀴즈 프로그램을 만들어 후원해왔다. 삼성은 이 프로그램이 중국 청소년들로부터 호평을 받자 지난해 6월 중국CCTV와 제휴, 이 프로그램을 전국 고교생을 대상으로 하는 \"산싱지리콰이처\"로 확대 개편했다. 산싱지리콰이처에는 지금까지 6백 여 명의 학생들이 출연했으며 매월 1천여통의 시청자 편지가 쏟아지고 있다고 삼성전자 관계자는 전했다.
SK는 작년 1월부터 중국 북경TV와 함께 \"중국판 장학퀴즈\"인 \"SK짱웬방\"을 단독 후원하고 있다. 매주 토요일 본방송과 일요일 재방송으로 중국 내 교양프로그램중 시청률(2%) 1위를 차지하고 있다. SK는 이외에 중국 고교생 7만 여 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영어경시대회도 열었다.
② 스타 마케팅
삼성전자는 지난해 국내 간판급 연예인인 안재욱을 컬러모니터의 모델로 기용해 매출을 크게 늘렸다. 올 들어서는 휴대폰 광고에도 이나영, 김소연 등 인기탤런트가 출연시키고 MP3플레이어에는 인기가수그룹 \"핑클\"을 내세웠다. 삼성은 지난 4월 안재욱 유승준 베이비복스 등이 참여한 \"한중슈퍼음악회\"를 후원하기도 했다.
③ 풀뿌리 마케팅
LG전자는 지난 99년부터 중국 심양 등지의 낙후된 학교와 시골부락을 대상으로 현대화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원받은 학교와 마을이 \"LG소학교\" \"LG촌\"등으로 불릴 정도로 LG이미지를 심어 주는데 커다란 효과를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LG는 중국 북경TV의 \"칭찬 합시다\" 프로그램도 후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변방지역을 돌며 \"대장정\"이란 이름의 순회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6월엔 34개 성(省)급 도시에서 \"친절 신속 정확\"이란 기치를 내걸고 \"마라톤 서비스활동\"을 펼쳐 상당한 구전효과를 보았다는 전언이다.
④ 귀족 마케팅
중국 내 고소득층을 겨낭한 \"고가마케팅\" 전략으로.국내 기업들은 중국의 고가품 수요가 한국보다도 크다고 보고 연소득 2만 달러 이상의 확보, 특별 관리 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가품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 LG전자의 벽걸이TV는 한국 내 판매가격의 2배이며 삼성전자 휴대폰 단말기는 3배에 가까운 금액으로 중국에서 팔리고 있는데, 최근 마케팅을 전공한 한족을 중심으로 21명의 전담팀을 구성했으며 삼성전자도 베이징과 상하이 광조우 지역의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프로젝션TV와 양문 냉장고, 휴대폰 등 고가제품 판촉에 열을 올리고 있다.
⑤ 스포츠마케팅
지난 8월 삼성전자는 \"삼성배 4개국 국제축구경기\"를 개최했고 LG전자는 \"LG아시아 남자 농구선수권대회\"를 공식 후원했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5월 프로축구 전북 현대와 중국 프로축구 상하이 션화(上海 申花)간 \"2001 현대자동차컵 한.중 프로축구 친선경기\"를 가졌다. 오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을 앞두고 국내 기업들의 중국내 스포츠마케팅 활동은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3) 한류의 영향
(1) 사회문화적 영향
① 중국 청소년들의 외양적 변화
중국의 10대 청소년들은 한국 학생인지 중국 학생인지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한국화 되어 있었다. 한류현상이 나타난 후 눈에 뜨이는 변화로는 한류에 동참하는 청소년 외양이나 일상적 모습이 한국스타, 가수를 본 딴 스타일로 변했다는 것이다. 한국 드라마의 방영, 가수들에 대한 열광은 그들의 헤어, 패션, 스타일을 추구하는 합한족이란 매니아들을 많이 만들어 내였으며, 이런 이미지 변신으로 청소년들은 기존의 전통문화와 구분되는 자기들의 취향과 개성을 표현하고 있다. 또 중국의 신세대들은 한국 가수들의 복장과 머리 모양을 흉내 내는데 그치지 않고 비슷한 취향의 매니아들이 모이는 한류거리라는 선풍적인 이색 문화의 마당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가고 있다.
② 한국문화에 대한 동경과 국가 이미지 홍보
드라마를 통해 한국인에 대한 좋은 인상을 갖게 되었으며 한국 브랜드면 다 좋아 보일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배우려 한다. 특히 한광에 속하는 십대일수록 한국 문화나 국가에 대한 호감이나 이미지 변화가 더 크게 일어나고 있다.
③ 중국미디어의 연쇄반응
㉠ 텔레비전
97년 TV에서 방영된 “사랑이 뭐길래”라는 드라마로 시작된 한국 드라마가 황금시간대의 방송시간을 접하고 방송되었으며, 일년에 한번 있는 한중 축구시합에서 중국팀이 한국팀에 패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북경 TV방송에서 방영되는 \"별은 내 가슴에“에는 안방극장을 달구었다. 人民일보(2000. 8. 28)
이러한 효과로 중국에서는 중국 드라마에 한국 배우 모시기가 유행되고 있다. 또한 한국의 대기업 즉, 삼성전자와 SK그룹은 중국 TV프로그램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큰 효과를 보고 있다.
㉡ 라디오 방송
한국 음악프로그램을 소개하는 방송국이 늘어나고 있으며 시간, 송출되는 도시도 늘어나고 있다. (주)미디어 플러스가 두달 동안의 시험방송을 거쳐 97년 7월 1일부터 FM라디오 채널을 통하여 <서울음악광장>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음악을 소개하는 정규 프로그램을 내보내고 있는데 큰 반응을 일으켰다고 한다. 또한 주로 중국정부와 공산당의 선전, 계몽 프로그램을 주로 내보내던 중앙인민방송이 외국음악, 그것도 한국가요를 전문으로 소개하는 정규 프로그램을 편성하였는데, 청취율에 관심이 집중된 중앙인민방송이 지금 한창 중국대륙을 달구고 있는 한류열풍에 편승하게 되었다.
㉢ 잡지
최근 들어 많이 발행되고 있는 중국 음악 잡지는 표지를 누구로 하느냐에 따라 판매량이 두 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한때는 한국음악회사가 기자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