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내용
고찰 및 느낀점
고찰 및 느낀점
본문내용
Va -R2ID
이 식에서 R2ID는 오차전압이 된다. 측정에 의해서 전압 Va와 전류 ID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오차전압을 제거할 수 있다.
수치 예를 보이기 위해서 ID=0일 때 Va=0.5이고, ID=34mA일 때 Va=1.04V이었다고 하겠다. 이들 수치를 식(3.4)에 대입하면 ID=0일 때 VD=0.5V이고, ID=34mA일 때 VD=0.7V가 된다. 단 계산 시 R2=10Ω으로 두었다. 나머지 {ID,Va}의 값에 대해서도 이 과정을 반복적용하면, 전체 범위에 대한 ID대 VD그림이 그려진다. 즉 [그림 3.8]이 완성된다.
[그림 3.8] ID 대 VD (AC 측정법)
고찰 및 느낀점
3장의 실험 다이오드의 특성 곡선의 실험을 직접 해보면서 전자회로시간에 배운 다이오드의 양호불량 실험과 특성곡선 그래프를 실험을 통해 그려 보았고, AC/DC 에서의 측정법에 의한 특성곡선을 추출하였을 때에도 거의동일한 모양의 특성곡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이번 실험을 위해 다이오드 특성곡선 예비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준비하고, 조사하였던 것들이 실제 실험 시간을 통해 배우면서, 다이오드 소자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것 같다.
이 식에서 R2ID는 오차전압이 된다. 측정에 의해서 전압 Va와 전류 ID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오차전압을 제거할 수 있다.
수치 예를 보이기 위해서 ID=0일 때 Va=0.5이고, ID=34mA일 때 Va=1.04V이었다고 하겠다. 이들 수치를 식(3.4)에 대입하면 ID=0일 때 VD=0.5V이고, ID=34mA일 때 VD=0.7V가 된다. 단 계산 시 R2=10Ω으로 두었다. 나머지 {ID,Va}의 값에 대해서도 이 과정을 반복적용하면, 전체 범위에 대한 ID대 VD그림이 그려진다. 즉 [그림 3.8]이 완성된다.
[그림 3.8] ID 대 VD (AC 측정법)
고찰 및 느낀점
3장의 실험 다이오드의 특성 곡선의 실험을 직접 해보면서 전자회로시간에 배운 다이오드의 양호불량 실험과 특성곡선 그래프를 실험을 통해 그려 보았고, AC/DC 에서의 측정법에 의한 특성곡선을 추출하였을 때에도 거의동일한 모양의 특성곡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이번 실험을 위해 다이오드 특성곡선 예비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준비하고, 조사하였던 것들이 실제 실험 시간을 통해 배우면서, 다이오드 소자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