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대기오염
2. 수질오염
3. 자연훼손
1. 대기오염
2. 수질오염
3. 자연훼손
본문내용
고 새겨진 것으로 높이와 너비가 각각 13m, 9m이고 획의 넓이가 1.6m나 된다. 특히 금강산 지역에만도 70여개소에 4,500여자를 새긴 것을 비롯하여 북한전역으로는 약 4만여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강원도 금강산 \'천연바위\'에 새긴 글발 \'조선 의 영광 민족의 자랑 김정일‘.
▲ 금강산 천연바위에 새겨진 김일성 찬양 구호.
4. 해양환경 오염
북한 해역 중 가장 오염이 심각한 지역은 원산 앞 바다로 해조류가 이미 사라졌고 매년 5월 하순부터 8월상순에 걸쳐 적조현상이 빈발, 어패류와 해조류가 멸종상태이다.
특히 북한의 \'4대지역 개조사업\'중 하나인 서해안 간척사업의 경우 황해남도 앞 바다와 평안남도 앞 바다 5억 7천여평의 새땅이 간척될 예정이어서 심각한 해양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 강원도 금강산 \'천연바위\'에 새긴 글발 \'조선 의 영광 민족의 자랑 김정일‘.
▲ 금강산 천연바위에 새겨진 김일성 찬양 구호.
4. 해양환경 오염
북한 해역 중 가장 오염이 심각한 지역은 원산 앞 바다로 해조류가 이미 사라졌고 매년 5월 하순부터 8월상순에 걸쳐 적조현상이 빈발, 어패류와 해조류가 멸종상태이다.
특히 북한의 \'4대지역 개조사업\'중 하나인 서해안 간척사업의 경우 황해남도 앞 바다와 평안남도 앞 바다 5억 7천여평의 새땅이 간척될 예정이어서 심각한 해양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