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전체내용 강의요약 노트 및 예상문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론 전체내용 강의요약 노트 및 예상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1) 인간의 삶에 질 향상이다. 다만 세부 목적 및 목표는 그 시대의 가치와 요구 기대를 반영하며 사회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2) 미국 사회복지 교육협의회 목적(1997~2001년)
① 빈곤, 억압, 사회적 불펼등을 경감 시키고 인간의 삶에 질(well-being)을 증진시킨다.
②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를 충족, 인간의 잠재력 개발을 지원하는 사회정책, 서비스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수행한다.
③ 개인, 가족, 집단 사회조직의 목적을 성취하고 자원 개발, 고충 경감, 예방, 사회적 기능과 상 호작용 증진시킨다.
④ 사회복지실천을 발전 시키는 조사, 지식, 기술을 개발하고 활동한다.
⑤ 결론 - 사회불평들의 개선과 사회정의, 실천을 발전시킬 조사와 지식 개발이 강조함.
3.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요약
※ 욕구가 있는 개인(집단)의 사회기능 증진과 사회정의향상의 기능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음.
1) 사회기능증진은? - 개인의 문제 예방, 재활치료활동 실천
2) 사회정의 기능이란? - 옹호활동으로 간접적 표출되고 있는 문제, 예방치료 위 두가지를 여섯 가지로 미국의 사회복지사협회(1921)는 정의.
① 문제해결 대처능력 향상을 돕는다.
② 자원을 취득하도록 돕는다.
③ 개인과 환경과의 사람과 조직과의 상호관계 촉진.
④ 조직과 제도간에 상호관계 조정.
⑤ 조직이 사람들에게 반응
⑥ 사회정책과 환경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4. 사회복지와 사회복지 서비스 개념 설명
1) 사회복지란?
① 협의의 사회복지-빈곤과 고난의 경감을 목적으로 공공 또는 민간의 형태로 비영리적인 서비스
② 광의의 사회복지 - 공평한 사회건설, 안전 제공, 평등과 안정된 사회구현등 국민의 기본권을 포함한다. 국민연금과 의료보험 등 사회보험제도도 속한다.
③ 광의의 사회복지는 이념(idea)이며, 협의의 사회복지는 국민의 최저 생계비보상, 최저 생활보 장의 의미가 있다
2) 사회복지서비스란? - 사회복지를 전달하는 다양한 모양의 프로그램 실천활동으로 대인 서비스 와 제도 서비스가 있다
① 대인서비스란 협의의 사회복지실천 방법으로 아동학대, 노인 학대 상담 등 문제 예방 및 치료 활동이다
② 제도적 서비스란 - 건강보험, 연금, 실업수당 생계에 보존, 장애인 고용 촉진 등을 말한다
5. 전문직의 요소와 사회복지
1) Greenwood(1957) 전문직의 요소
① 체계적 이론 ② 권위와 조직, 환경의 구축 ③ 지역사회의 인가 인정
④ 윤리강령 ⑤ 전문직 문화 ⑥ 일정한 권한을 지닌 교육 인수
⑦ 시험제도가 있어 수준의 인정 ⑧ 자격증, 등록증 증명서가 있다.
⑨ 우리나라는 2003년부터 사회복지사1급을 국가고시제도를 실시함.
2) 전문직의 속성(Bernard Barber(1965))
① 수준 높은 경지에 올라있는 일반화되고 체계적인 지식
② 자기중심이기보다 지역사회의 이익을 중시
③ 전문적 협회와 윤리강령을 통한 행동 통제
④ 일의 성취에 대한 보상체계
6. 사회복지실천의 이념 이론들
1) 인도주의 - 모든 인간의 공존과 존엄을 중요시하여 복리실천, 무조건 봉사에서 클라이언트를 위한 봉사활동으로 변화
2) 사회진화론 - 다윈 자연법칙의 진화론을 사회법칙의 진화론에 적용. 부자는 우월해서 부유층 이고 빈곤은 게으르고 열등 인간이기에 가난하다 ( Dolgoff.1997)
사회적합계층은 살아남고, 사회부적합 계층은 소멸된다
3) 민주주의 - 평등 자기결정권, 빈곤의 책임을 정부의 사회보장으로 해결
4) 개인주의 - 개인권리를 존중하나 의무가 강조된다. 빈곤문제는 개인의 책임으로 수혜자격축소
방임주의 - 정부의 간섭 축소
5) 다양화 - 다양한 계층의 수용, 체계가 증가하면서 다양화가 증폭되고 있다. 세계화에 영향이 다양화를 증폭시키고 있다
7. 사회복지사의 역할 요약
1) 상담가 - 문제해결을 안내하고 돕는 역할. 자신의 문제 인식돕고 해결적 통력과 능력 개발을 돕는다
2) 교육자 - 정보제공과 기술을 가르친다.자녀양육기술, 취업면접기술,행정지식, 면접상담방법 등
3) 중계자 - 자원 연결 ex) 학대 아이를 쉼터에 연결
4) 중재자 - 협상과 타협점을 찾도록한다
5) 옹호자 - 대면해준다
6) 조정자(사례관리자) - 다양한 서비스를 조정/부족한건 보완
7) 집단촉진자 - 진단리더 역할
8) 조사자 - 문헌연구, 지역사회욕구조와 프로그램 평가등
9) 능력강화 - 실천의 핵심 목적은 능력강화와 개인의 능력과 잠재력을 집단의 조직화 시키며 옹 호해준다
8. 사회복지 현장의 분류 5기지 요약
1) 지식(사회복지이론), 가치, 기술 형태로 분류. 모델 행동, 개입, 접근 방법에 따라
2) 관심문제 영역에 따라 학대, 빈곤, 비행, 가족갈등 영역
3) 서비스 전달체계에 따라 정책/프로그램, 공공/민간, 정부/비정부기관,
4) 클라이언트 집단에 따라 즉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여성보호 등
5) 사회복지지원단체 협의체 비정부단체 등의 기관
9. 사회복지사 국제연맹(IFSW)의 2000년에 사회복지실천에 정의 요약
첫째 : 약자의 권익증진을 위해 사회변화의 촉진
둘째 : 인간관계 내 문제해결 촉진
셋째 : 개인의 복지증진을 위해 개인의 역량 강화, 차별화 억압에서 해방
넷째 : 인권과 사회적 정의의 실현이 사회복지 실천 활동의 기초원리가 되어야 함을 강조
다섯째 :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내에 존재하는 장벽, 불공정, 부정들에 관대하는 것이라고 밝힘
여섯째 : 사회복지실천활동에는 상담, 인상사회사업, 집단사회복지실천, 사회교육활동, 가족치료, 지역사회내 서비스 자원 동원
일곱째 : 펄만(perlman 1957)의 사회복지성 요소 4-p란
문제(problem), 사람(person), 장소(place), 과정(process)로 구성하고 있다
펄만은 1986년 2-p를 추가했는데 전문가(professional)와 제공자원 또는 제공물 (provisions)이 조건이다
10.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 3개의 이해로 결론을 정의 하면 아래와 같다
1) 고전적인 정의는 리치몬드(Richmond 1922)에 의한 “개별실천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에서 개인 과 사회환경 사이에서 개개인의 인격발달을 이루어 가는 과정들이라고 해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10.03.25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