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의 개관 (단원 선정 이유)
2. 지도상의 유의점
3. 교과서 내용체계 재구성 및 수업의 방향
< 국어과 본시 (1/2 차시) 수업지도안 >
2. 지도상의 유의점
3. 교과서 내용체계 재구성 및 수업의 방향
< 국어과 본시 (1/2 차시) 수업지도안 >
본문내용
방법에 대한 접근이므로 두 소단원을 연계하여 접근해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그렇기에 교과서 내의 순서에 따르지 않고 자유롭게 수업을 재구성해보기로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단원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바뀔 듯하다.
4조가 제안하는 가상의 교과서의 단원구성
(2/2와 3/2를 통합하여 1차시에 수업할 수 있다)
차시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
학 습 목 표
1
Ⅳ.내용
생성하기.
(1) 내용 창안하기
(1) 대화하기
2
(2)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글의 내용을 생성하기 위하여 창의적인 사고 활동을 펼 수 있다
상황에 맞는 글의 내용을 자유 연상을 통해 창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생각그물 만들기를 통해 글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국어과 본시 (1/2 차시) 수업지도안
단 원
일 시
교 사
Ⅳ. 내용 생성하기
1. 내용 창안하기
2)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2005년 11월 22일(화)
학습
목표
1. 글의 내용을 생성하기 위하여 창의적인 사고 활동을 펼 수 있다
2. 생각 그물 만들기를 통해 글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3. 상황에 맞는 글의 내용을 자유 연상을 통해 창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수 업
준비물
교 사
학 생
교과서, PPT 자료, 학습지
교과서, 필기도구, 학습지
단계
시
간
(분)
수업
요항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도
입
2
(2)
인사
▶인사 및 출석확인
- 안녕하세요.
▶전체 인사
- 안녕하세요.
전시
학습
상기
- 우리는 지난 시간에 내용창안하기단원 내의 대화하기에 대하여 공부했습니다. 글쓰기 보다 대화하기의 용이성에 착안해 대화의 상황을 가정하고 쓸 내용에 대해 생각을 펼쳐간다고 배웠죠? 그러면 글쓰기에서 대화하기의 내용을 적용할 때 유의점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 말해볼까요?
- 네, 모두들 잘 알고 있군요. 그렇다면 내용을 생성할 때 대화하기를 활용하면 어떤 점이 좋은지 말해볼 까요?
- 그렇습니다. 여러분들이 말한 것처럼 대화하기의 방법을 통해 쓸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고, 글쓰기를 한결 쉽게 생각할 수 있죠.
- 대화 하기에 필요한 가상의 대화 상대를 정해야 해요.
- 가상의 대화 상대에 대한 반응을 생각해야 되요.
- 가상의 대화를 하면서 필요한 것은 적어두어야 해요.
- 아무 생각 안하고 바로 글쓰기 보다 글에 들어갈 내용이 풍부해지는 것 같아요.
- 글쓰기에 대화하기를 적용하니까 글쓰기가 한결 쉬워지는 것 같아요.
문
답
식
교
과
서
전시 학습 내용을
상기
시킨다.
↓
동기
유발
- 글을 쓰기 위한 내용창안에는 대화하기의 방법도 있지만, 이번 시간에 배울 방법도 글쓰기 내용창안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입니다. 먼저 함께 PPT 화면을 볼까요?
▶ PPT ① 자료 제시
- 예.
설
명
식
PPT
①
수업에
흥미를
유발
갖게 한다.
단계
시
간
(분)
수업
요항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도
입
3
(5)
동기
유발
- 이 사진 본 적 있을 겁니다. 이 사진에 대해 말해볼 학생있어요?
- 맞아요. 아마 초등학교 독서 시간에 마인드 맵에 대해 배웠을 꺼예요. 기억 나죠? 표정을 보니 기억 안나는 학생들도 있는 가봐요. 마인드 맵을 생각그물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 자유 연상하기와 생각그물 만들기를 통한 내용창안하기 활동을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학습목표를 읽어보기로 할까요?
- 초등학교 때 배운 생각 그물인 것 같아요.
- 마인드 맵 아닌가요?
문
답
식
PPT
①
목표제시
▶ 학습목표를 제시한다.
- 그럼 다 함께 수업 목표를 읽어볼까요?
▶ 학습목표를 읽는다.
판서내용
학습
목표 인지
전
개
(1)
5
(10)
자유연상하기의 개념과 유의점
▶ 자유연상하기, 생각그물만들기
개념, 특징 설명
* 자유연상하기
- 자유 연상하기는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아무런 제약없이 떠오르는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해내는 것을 말해요 영어로는 브레인 스토밍이라고 하죠 말그대로 마치 머릿속에서 폭풍을 일으키듯이 떠오르는 생각을 마꾸 쏟아 내는 사고 활동이죠. 막상 글을 쓰려고 할 때 아무 생각없이 바로 글을 쓰려면 잘 안써지죠? 이렇게 자유연상의 방법에 익숙해지면 쓸 내용을 풍부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됩니다.
- 자유연상의 방법을 쓰면 글을 쓸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겠죠. 그러면 자유연상의 방법에서 유의할 점에 대해 칠판을 보며 다 같이 읽어 보기로 해요
-
설
명
식
교
과
서
학생
들의 이해 수준에 맞춰서 설명 속도를 조절
한다
단계
시
간
(분)
수업
요항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1)
↓
자유연상하기 개념과 유의점
- 자유연상의 개념과 자유연상에 있어서 유의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는 자유연상의 방법이 적당하지 않을 경우가 있는데, 어떨 때 그럴까요?
-맞아요, 가령, 메카트로닉스라는 주제에 대해 글을 쓰려고 자유연상하는 방법을 쓰려고 가정합니다. 그런데, 메카트로닉스라는 용어를 모르면 자유연상에 대한 글을 쓰기가 어렵죠. 그러면 글을 쓰기전에 용어에 대해 알아보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겠죠.
- 잘 모르는 주제가 처음 주어지면 브레인 스토밍하고싶어도 못 할 것 같아요.
설
명
식
문
답
식
교
과
서
자유
연상의 유의점을 인지시킨다.
3
(13)
생각이어가기 개념
- 자유연상하기 방법에 이어 생각 그물 만들기 과정에 대해 공부해보기로 하겠어요. 생각 그물 만들기가 어떤 건지 대답해 볼 사람 있습니까?
-맞아요, 생각 그물 만들기는 어떤 문제에 대하여 생각나는 방향에서 떠오르는 것을 항목화하고, 그 각각의 항목과 관련되는 것들을 다시 연상하여 생각을 더욱 구체화하고 풍부하게 생산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자유 연상하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특징을 가지죠? 어떻게 다른 것 같나요?
-맞습니다. 먼저 화제에 대하여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을 큰가지 치고, 그것에 연상되는 것을 작은가지로 쳐서 기록을 이어나가는 것을 말해요,
- 어떤 주제에 대해 연상되는 생각들을 그물처럼 이어
4조가 제안하는 가상의 교과서의 단원구성
(2/2와 3/2를 통합하여 1차시에 수업할 수 있다)
차시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
학 습 목 표
1
Ⅳ.내용
생성하기.
(1) 내용 창안하기
(1) 대화하기
2
(2)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글의 내용을 생성하기 위하여 창의적인 사고 활동을 펼 수 있다
상황에 맞는 글의 내용을 자유 연상을 통해 창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생각그물 만들기를 통해 글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국어과 본시 (1/2 차시) 수업지도안
단 원
일 시
교 사
Ⅳ. 내용 생성하기
1. 내용 창안하기
2)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2005년 11월 22일(화)
학습
목표
1. 글의 내용을 생성하기 위하여 창의적인 사고 활동을 펼 수 있다
2. 생각 그물 만들기를 통해 글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3. 상황에 맞는 글의 내용을 자유 연상을 통해 창의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수 업
준비물
교 사
학 생
교과서, PPT 자료, 학습지
교과서, 필기도구, 학습지
단계
시
간
(분)
수업
요항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도
입
2
(2)
인사
▶인사 및 출석확인
- 안녕하세요.
▶전체 인사
- 안녕하세요.
전시
학습
상기
- 우리는 지난 시간에 내용창안하기단원 내의 대화하기에 대하여 공부했습니다. 글쓰기 보다 대화하기의 용이성에 착안해 대화의 상황을 가정하고 쓸 내용에 대해 생각을 펼쳐간다고 배웠죠? 그러면 글쓰기에서 대화하기의 내용을 적용할 때 유의점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 말해볼까요?
- 네, 모두들 잘 알고 있군요. 그렇다면 내용을 생성할 때 대화하기를 활용하면 어떤 점이 좋은지 말해볼 까요?
- 그렇습니다. 여러분들이 말한 것처럼 대화하기의 방법을 통해 쓸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고, 글쓰기를 한결 쉽게 생각할 수 있죠.
- 대화 하기에 필요한 가상의 대화 상대를 정해야 해요.
- 가상의 대화 상대에 대한 반응을 생각해야 되요.
- 가상의 대화를 하면서 필요한 것은 적어두어야 해요.
- 아무 생각 안하고 바로 글쓰기 보다 글에 들어갈 내용이 풍부해지는 것 같아요.
- 글쓰기에 대화하기를 적용하니까 글쓰기가 한결 쉬워지는 것 같아요.
문
답
식
교
과
서
전시 학습 내용을
상기
시킨다.
↓
동기
유발
- 글을 쓰기 위한 내용창안에는 대화하기의 방법도 있지만, 이번 시간에 배울 방법도 글쓰기 내용창안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입니다. 먼저 함께 PPT 화면을 볼까요?
▶ PPT ① 자료 제시
- 예.
설
명
식
PPT
①
수업에
흥미를
유발
갖게 한다.
단계
시
간
(분)
수업
요항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도
입
3
(5)
동기
유발
- 이 사진 본 적 있을 겁니다. 이 사진에 대해 말해볼 학생있어요?
- 맞아요. 아마 초등학교 독서 시간에 마인드 맵에 대해 배웠을 꺼예요. 기억 나죠? 표정을 보니 기억 안나는 학생들도 있는 가봐요. 마인드 맵을 생각그물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 자유 연상하기와 생각그물 만들기를 통한 내용창안하기 활동을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학습목표를 읽어보기로 할까요?
- 초등학교 때 배운 생각 그물인 것 같아요.
- 마인드 맵 아닌가요?
문
답
식
PPT
①
목표제시
▶ 학습목표를 제시한다.
- 그럼 다 함께 수업 목표를 읽어볼까요?
▶ 학습목표를 읽는다.
판서내용
학습
목표 인지
전
개
(1)
5
(10)
자유연상하기의 개념과 유의점
▶ 자유연상하기, 생각그물만들기
개념, 특징 설명
* 자유연상하기
- 자유 연상하기는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아무런 제약없이 떠오르는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해내는 것을 말해요 영어로는 브레인 스토밍이라고 하죠 말그대로 마치 머릿속에서 폭풍을 일으키듯이 떠오르는 생각을 마꾸 쏟아 내는 사고 활동이죠. 막상 글을 쓰려고 할 때 아무 생각없이 바로 글을 쓰려면 잘 안써지죠? 이렇게 자유연상의 방법에 익숙해지면 쓸 내용을 풍부하게 생성할 수 있게 됩니다.
- 자유연상의 방법을 쓰면 글을 쓸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겠죠. 그러면 자유연상의 방법에서 유의할 점에 대해 칠판을 보며 다 같이 읽어 보기로 해요
-
설
명
식
교
과
서
학생
들의 이해 수준에 맞춰서 설명 속도를 조절
한다
단계
시
간
(분)
수업
요항
교 수 - 학 습 활 동
수업
형태
수업
자료
도달점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전
개
(1)
↓
자유연상하기 개념과 유의점
- 자유연상의 개념과 자유연상에 있어서 유의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는 자유연상의 방법이 적당하지 않을 경우가 있는데, 어떨 때 그럴까요?
-맞아요, 가령, 메카트로닉스라는 주제에 대해 글을 쓰려고 자유연상하는 방법을 쓰려고 가정합니다. 그런데, 메카트로닉스라는 용어를 모르면 자유연상에 대한 글을 쓰기가 어렵죠. 그러면 글을 쓰기전에 용어에 대해 알아보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겠죠.
- 잘 모르는 주제가 처음 주어지면 브레인 스토밍하고싶어도 못 할 것 같아요.
설
명
식
문
답
식
교
과
서
자유
연상의 유의점을 인지시킨다.
3
(13)
생각이어가기 개념
- 자유연상하기 방법에 이어 생각 그물 만들기 과정에 대해 공부해보기로 하겠어요. 생각 그물 만들기가 어떤 건지 대답해 볼 사람 있습니까?
-맞아요, 생각 그물 만들기는 어떤 문제에 대하여 생각나는 방향에서 떠오르는 것을 항목화하고, 그 각각의 항목과 관련되는 것들을 다시 연상하여 생각을 더욱 구체화하고 풍부하게 생산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면 자유 연상하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특징을 가지죠? 어떻게 다른 것 같나요?
-맞습니다. 먼저 화제에 대하여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을 큰가지 치고, 그것에 연상되는 것을 작은가지로 쳐서 기록을 이어나가는 것을 말해요,
- 어떤 주제에 대해 연상되는 생각들을 그물처럼 이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