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케이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근경색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경색증 발생 후 심장의 리듬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항부정맥제제는 심실성 빈맥과 심실성 세동과 같은 심근경색증으로 인해 나타 날수 있는 심실성 부정맥을 치료하는데 이용된다.
j. adrenergics : 심근의 수축력과 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이로인해 심박출량을 증가시키는 심장의 베타수용체를 직접자극한다. adrenergics은 손상된 심근이 수축할 수 없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 심근경색증 발생 후 즉시 투여된다.
k. 항불안제 : 일반적으로 급성심근경색증 동안 환자를 진성시키는데 사용될 뿐 아니라 CCU에 있는 초기에 환자의 수면을 돕는데 사용된다.
l. 이뇨제 : 이뇨제는 다음과 같은 체액과부담의 징후를 완화하기 위해 심근경색증 발생 후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경정맥 확장, 부종, 악설음, 양성간경정맥반사
(2) ST분절의 상승 소견이 없는 NSTEMI의치료
ST분절의 상승이 없는 NSTEMI의 초기 치료는 위에서 언급한 STEMI의 초기치료와 동일하다. 그러나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STEMI의 경우는 응급으로 재관류 요법을 시행하여 경색유발 혈관의 개통성을 확보, 유지하는 것이 초점인 반면, ST분절의 상승이 없는 NSTEMI의 경우에는 조기 재관류요법은 다만 선택적으로 시행될 뿐이며, 오히려 항혈전 요법을 통해 관동맥의 혈전병변을 안정화 시키고, 항허혈요법으로 심근의 산소공급량과 소모량의 불균형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둔다. 항 허혈 요법은 만성 안정형 협심증의 약물요법과 유사하며 차이점이 있다면 훨씬 더 적극적으로 시행한다는 것이다. NSTEMI의 경우에도 초기 관혈적 치료를 시행하며 조기에 재관류 요법을 실시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STEMI와는 달리 혈전용해술은 이득이 없거나 오해려 해가되기 때문에 고려의 여지가 없다는 사실도 혼동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4. 심근경색증의 합병증
(1) 부정맥
부정맥은 가장흔한 심근경색증의 합병증으로, 심근의 정상적인 전기자극 전달회로가 손상될 때 타나난다.
① 심방세동 : 일시적인 부정맥으로, 대개 급성심근경색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난다. 심방세동은 P파의 결손과 불규칙적인 심실성 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② 조기심실수축 : 조기심실수축이 심근경색증 후에 나타날 수 있지만, 보통 심실을 손상시키는 심근경색증 후에 발생한다. 환자의 심전도 상에서 조기심실수축은 정상 QRS군 전에 나타나는 한개 혹은 쌍을 이루는 심실박동을 나타낸다.
③ 심실빈맥 :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연속적인 조기심실수축은 심실빈맥이 된다. 이런 부정맥은 모든 형태의 심근경색증 후에 발생할 수 있고, 갑작스럽게 나타날 수 잇고, 갑작스럽게 사라질 수 있으며, 혹은 계속 나타날 수 있다. 심실빈맥은 환자의 갑작스런 심정지의 위험성을 가중시킨다.
④ 가속된 심실 고유리듬 : 가속된 심실고유리듬은 보통심장의 재관류의 결과로 혹은 하위의 심근경색 후에 발생한다.
⑤ 심실세동 : 심실세동은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심근경색증 발생후 첫 4시간이내 나타난다. 말기에는 심근경색증 발생 후 48시간 이상 동안 나타나고, 보통 심부전이나 심인성 쇼크를 초래한다. 심전도 기록지 상에서 이 부정맥은 QRS군을 분간할 수 없을 정도로 전기적으로 무질서 하게 나타난다. 이는 심장이 펌프질을 잘 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낸다.
⑥ 방실 차단 : 방실차단에서 심방과 심실은 적절하게 함께 작동하지 못한다. 방실차단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주요 형태로 나타난다. 1도, 심방에서 심실로의 전기자극이 지연된다. 2도, 전기자극이 점차 지연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전도 되지 않는다. 3도, 완전차단으로 알려져있으며, 심방과 심실간의 소통이 중단되고 각자 자신의 박동수를 나타낸다.
(2) 심정지
심정지는 심근경색증에 의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위험한 합병증이다. 심정지 동안 환자의 심장은 생명유지리듬을 나타내지 않는다. 심정지 동안 환자는 다음과 같이 생명을 위협하는 징후를 나타낸다. 맥박없음, 호흡없음, 무의식, 심전도상 심실세동
(3) 심근의 기능부전
심근경색증은 심근의 손상부위에 따라 몇가지 형태의 심근기능부전을 나타낸다.
① 심실중격결손
② 심실벽 파열
③ 심실성 동맥류
④ 유두근 파열
(3) 심인성 쇼크
심근경색도안 혈류부족은 좌심실의 심근을 손상시키고, 심근의 기능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심인성 쇼크를 초래할 수 있으며, 심인성 쇼크는 급성심근경색환자의 10~20%에 영향을 주는 합병증이다.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4) 위장관 합병증
위장관 합병증은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증 치료, 혹은 심근경색증 후에 활동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5) 심부전
이렇게 위험한 합병증은 심장이 신체대사요구에 맞게 혈액을 충분히 펌프해 내지 못할 때 발생한다. 심부전의 심각성은 심근경색으로 인한 좌심실의 손상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심부전은 전체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환자의 1/3을 차지한다.
(6) 승모판 기능부전
심근경색으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판막은 승모판이다. 승모판 기능부전에서 판막은 심실수축동안 적절하게 닫히지 못해 좌심실은 혈액을 대동맥으로 펌프해내나 좌심방으로 역류하게 된다.
(7) 심낭염
심낭염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심낭의 염증이다. 초기의 자극은 보통 손상된 심근에서 나온 잔해와 다른 삼출물에서 유발된다. 심낭염은 심근경색 수 3개월동안 지속될 수 있다.
(8) 혈전색전증
심근경색증은 신체의 여러 부위에 혈전을 유발 할 수 있다. 좌심실의 혈전은 전신의 색전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심부의 다리 정맥의 혈전은 폐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
1) 일반정보
성 명 반ㅇㅇ 연 령 80 성 별 M
병 동 ICU 입원날자 2010년 3월 13일 정보제공자 사위
의학진단명 NSTEMI , pneumonia 주호소 Dyspnea
과거 병력 Tb
현재의 건강문제
상기 남환은 06년 뇌졸중 & 폐 안좋다는 말 듣고, 청주 성모 H에서 외래 경과 관찰하며 po med 중이며, 내원 한달 전 오른쪽 검지 손가락 fx로 연합정형외과에서 치료받음.
평상시에도 빨리 걷기 힘든 정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3.31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