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진크라운(HJC)의 미국시장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홍진크라운(HJC)의 미국시장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HJC 소개
2.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6. 성공요인과 성과
7. 향후 전략
8.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의 시행착오 끝에 서양인의 구조에 맞게 조금씩 개선해 나갔고, 회사명도 ‘홍진크라운’으로 변경하였다. 하지만 오토바이 헬멧과 관계없는 데모방지용 헬멧을 만드는 업체에서 ‘크라운’상표는 자기네 것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지금의 상표인 ‘HJC’로 바뀌게 되었다. 헬멧은 노동 집약적인 제품이기 때문에 양질의 값싼 노동력을 가지고 있는 회사라면 일본이나 유럽 선진 제조업체들에게 대항할 수 있는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국내 시장보다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을 하게 되었다.
(1) Vision 2011
(2) 조직도
2. 환경 분석
오토바이 헬멧은 오토바이를 타는 사람의 생명을 지켜주는 단 한 가지의 보호 장비이다. 특히 항상 대형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헬멧의 품질은 탑승자의 목숨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 또한 운전 중에는 계속적으로 착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가볍고 착용감 또한 좋아야 한다. 따라서 헬멧을 고르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선택의 기준은 단순한 가격이나 디자인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기술력과 브랜드의 중요성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오토바이 헬멧의 안전에 대한 중요성은 이미 세계 각국에서 자국의 안전 기준을 정하고 이에 적합한 제품만을 허가하고 있는 데서도 잘 알 수 있다. 대표적인 안전 규격 인증으로는 우리나라의 KS를 비롯해, 미국의 DOT(연방 교통성), SNELL 재단 인증, 유럽공동체의 ECE, 일본의 JIS(일본 산업규격), 영국의 BSI 등이 있다.
(1) 국내 오토바이 헬멧 산업
국내의 헬멧 산업은 경쟁이 거의 없으며 HJC가 독점하고 있는 수준이다. 국내의 오토바이 헬멧산업은 업계에 세계1위의 기업이 있지만 상당히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오토바이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우호적이지 못하며 심지어 부정적 측면을 부각한다는 사회경제학적 특성이 있다는 분석이 있다. 즉, 오토바이가 가지는 수송의 편리함과 신속성에 비해 이를 이용하는 주요 계층이 사회에서 그다지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중국집의 배달원과 퀵 서비스, 그리고 다방의 배달원이라고 할 정도로 오토바이는 대중적으로 자가 교통수단이라는 입지를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차량 보급의 증가와 함께 이용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다.
또한 선진국에 비해 안전 의식이 부족하고 오토바이에 대한 법규 준수의 의식이 자리 잡고 있지 못하다는 점 또한 헬멧 시장의 걸림돌이라고 할 수 있다. 헬멧을 쓰고 다니는 것이 본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높일 수 있다는 데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자신은 헬멧을 쓰고 다니는 것이 불편하다는 일부의 안전 불감증이 헬멧에 대한 거부로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오토바이에 대한 기성세대의 선입관과 함께 젊어서 오토바이를 즐기는 층에서 헬멧에 대한 문제의식을 크게 가지지 못한 채 겉멋으로 시작하는 점 또한 문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국내 헬멧산업의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이며 오토바이 매니아층과 기다 업종의 수요로 인해 유지되고는 있지만 앞으로의 발전은 어려운 실정이다.
(2) 미국시장 환경
미국은 풍부한 부존자원(석탄, 석유, 천연가스, 구리, 철강, 목재 등)과 각종 발달된 산업기술을 토대로 하여, 이념대립의 냉전시대가 종식된 후, 세계경제의 지도자로 등장하였고,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은 본토의 대부분이 온대에 속할 뿐만 아니라 광대한 평야는 농/목업의 발달에 적합하여, 세계 2위의 농업생산국을 이룬다. 석탄철광석유 등 지하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자원을 개발하여 공업화를 이룩한 선진공업국으로서, 제12차 세계대전 때에는 모두 전승국(戰勝國) 쪽에 가담하여 물자와 자본의 공급국으로서 방대한 자본축적에 성공, 산업자본주의국가의 지도국가 지위를 구축하였다.
1) 세계 최대의 단일시장, 완전경쟁시장, 소비자 주권이 보장되는 시장
- 세계시장의 17%를 차지하는 거대시장
- 시장개방율 100%, 평균관세 5%(공산품)의 개방된 시장
- 풍부한 상품정보로 합리적 소비자 행동이 가능한 buyer\'s market으로 미국시장은 다른 시장에서의 성공척도
- 반품제도, recall 제도의 일반화 등
2) 광대한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유통업체가 판매망을 장악
- 대형 할인점 및 전문점이 성장하고 생산업체의 유통업 진출이 확산되고 있음
- 최근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로 새로운 형태의 시장으로 등장
3) 수입 장벽이 존재
- 개방된 시장으로 각 국의 진출이 추진됨에 따라 반덤핑상계관세 등을 통한 실질적 수입규제 수행
- 전 세계 반덤핑의 40%를 미국이 발동
4)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산업협력 파트너
- IMD 보고서에서 92년 이래 국가경쟁력 1위를 유지
- 기술개발(특허보유 최다)등을 통한 지식기반사회로의 급속한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첨단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
- 다국적 기업을 중심으로 세계경영 차원에서 기업의 해외 생산 확대를 추구하고 있어, 유망한 투자유치 대상국
5) 미국 시장의 고객 분석
미국은 가장 많은 라이더수를 보유한 국가로 총 등록된 라이더 수가 4,525,000명(전체 배기량)이다. 이 중 125cc급 이상 되는 모터사이클을 타는 라이더의 수는 1,500,000명이며 그 중 반 이상이 할리 데이비슨 풍의 아메리칸 스타일 바이크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미국 라이더들의 연평균 수입은 44,100 US 달러로 라이더의 생활수준이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곳이다. 이를 잘 알리는 예로 미국시장에서는 모터사이클 어패럴 쪽으로만 토탈 4억 3천만 불에 달하는 시장이 존재하고 있다.
(3) 미국시장 진출배경
HJC은 51개국에 헬멧을 수출하고, 세계점유율 51%를 자랑하는 세계굴지의 헬멧을 생산하는 기업이지만 처음부터 HJC가 세계 헬멧시장의 최고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HJC는 1974년 현재 HJC의 사장인 홍완기가 부도직전의 헬멧회사를 인수 하면서 탄생했다. 그 이후로 1982년 국내 헬멧 시장으로 등극하게 된다. 그러나 그때 당시 국내의 헬멧시장은 좁았고, 1980년대에는 해외수출이 경제외수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31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