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로영화분석] 이터널선샤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멜로영화분석] 이터널선샤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
1. 멜로드라마의 정의
2. 멜로드라마의 역사
3. 멜로드라마의 전형적 특징
4. 멜로드라마의 아이콘
5. 멜로드라마의 효과

<이터널 선샤인>
1. 서론
2. 줄거리 - 등장인물에 따라
3. 복잡한 시간구조
4. 장면분석
5. 도상분석
6. 분위기 형성요소
7. 주제
8. 결론

본문내용

관한 물건, 감정적 맵을 토대로 밤중에 자는 틈을 타 기억을 지워낸다. 기억은 가장 최근의 기억부터 예전의 기억으로 돌아가며 차례로 지워낸다. 가장 최근의 기억들이 먼저 지워지고 초기의 기억이 나중에 지워지는 구조를 택한 것은 잊고 지내던 기억들을 더듬는 과정에서 가장 순수했던 시절의 아련한 추억들이 선명해질수록 강해지는 조엘이 클레멘타인에게 느끼는 애틋함을 보다 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헤어짐의 원인은 지금으로부터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 축적이 되었지만 ‘사랑’이란 감정은 만남이 시작되었던 그 옛날부터 간직해왔음을 영화는 말하고 싶은 것이다.
(5) 기억
영화에서 언급하는 가장 중요한 도상으로, 주제와도 밀접하게 관련이 된다. 조엘과의 싸움 이후 홧김에 기억을 지워버린 클레멘타인과 그런 클레멘타인을 원망하며 자신도 따라 기억을 지우는 조엘. 그러나 사라져가는 기억 속 그녀의 모습은 그저 사랑스럽기만 하고, 그녀의 기억을 지우지 않기 위해 몸부림치지만 결국 기억은 사라진다. 기억이 사라져도 조엘이 다시 만나 사랑하게 되는 건 클레멘타인이고, 클레멘타인 역시 다시 만난 조엘을 사랑하게 된다.
<기억상실 소재로 한 영화>
대부분의 기존 기억소재 영화들이, 알츠하이머처럼 어쩔 수 없는 병으로 인한 기억상실을 이야기 했다면 이터널 선샤인 속 기억상실은 주인공이 원해서 지워 낸 의도된 기억상실이다. 그러나, 클레멘타인이 자신의 기억을 지웠다는 사실을 알고 그녀를 원망하며 울부짖었듯이 또 기억 삭제를 의뢰해서 기억을 지우는 와중에도 그녀에 대한 기억을 잃기 싫어 몸부림쳤듯이 어떤 식이든 사랑했던 사람의 기억을 잃는 것은 슬픈 일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6. 분위기 형성 요소
(1) 핸드헬드(Handheld) 사람이 카메라를 직접 들고 찍음. 또는 그런 촬영 기법.
이터널 선샤인에서는 카메라가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않는다. 고정된 화면은 거의 보이지 않고 크고 작은 떨림으로 가끔은 정신없기도 하다. 대개의 쇼트들이 핸드헬드로 작업되었다. 이렇게 유독 핸드헬드 카메라에 의한 촬영이 잦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영화의 소재인 ‘기억’을 하나의 흐름으로 인식하기 위한 감독의 의도였을 것이다. 잊고 지냈던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기억들을 하나씩 더듬어 가는, 자의식속의 조엘이 처한 상황을 보다 유동적으로 그리고자 했던 연출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렇게 제거되는 기억들에 대한 조엘의 안타까운 심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묘사하기 위한 방식이기도 하다. 핸드헬드에 의한 고정되지 않은 화면의 불안정함은 클레멘타인에 대한 기억의 잔량이 적어질수록 커지는데 이런 불안감은 단지 화면의 움직임으로만 표현되지 않고 깜깜한 배경 속에서 인물에게만 스포트라이트를 비춘다든지, 희미한 불빛으로 감지하기 힘든 움직임을 가까스로 잡아내는 등의 방식을 통해 의식의 흐름에 따른 인물의 심리상태를 표현하고자 한다. 그런데 주목할만한 것은 간간히 나오는 고정된 화면들이다. 특히 찰스강에 나란히 누워 별자리를 바라보는 두 인물의 모습은 ‘이대로 죽어도 좋아’ 라고 속으로 외치고 있는 듯 하다. 하이앵글 카메라의 포지션을 높은 곳에 두고 낮은 곳을 향하여 촬영하는 앵글
로 촬영된 이 장면은 본래 부감촬영 대상물을 위에서 내려다보며 찍는 촬영
이 가질 수 있는 의기소침, 왜소, 주눅과 같은 의미를 지니기 보다는 유동적인 물이 얼어붙어 있듯이 굽이치던 이들의 기억의 소거 상태에서 감정 상태가 보다 안정감을 되찾고 있음을 하얀 얼음을 통해 보다 포괄적으로 보여주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또 조엘과 클레멘타인이 깊게 금이 간 지점을 옆에 두고 누워있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감정의 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지키고 싶어 하는 심정을 읽어 낼 수 있다.
(2) 클레멘타인의 머리색 변화
영화의 미술적 요소로는 가장 크게 클레멘타인의 머리색 변화를 말할 수 있다. 관객들은 영화를 보면서 대부분의 시간동안 조엘의 감정 선을 따라가기 때문에 클레멘타인의 감정변화에는 끼어들기 힘들 수 있기 때문에 그녀의 머리색깔의 변화들을 고려하는 것은 그 감정들을 읽는데 중요한 언어가 될 수 있다. 시간을 순행 시키면 그녀의 머리색은 지저분한 연녹색 → 새빨간색 → 귤색 → 지저분한 파란색으로 변한다. 연녹색의 머리색은 현재 그녀의 상황이 어떤 이유 때문인지는 몰라도 그리 만족스럽지 못함을 말해준다. 색은 바래있고, 정리되지 않았으며 다른 색과 뒤섞여 지저분한 모습은 그녀가 조엘을 발견했을 때의 기뻐하는 표정과 대조된다. 둘의 관계가 새롭게 형성되면서 조엘은 새빨갛게 물을 들이는데 이를 통해 열정적으로 시작되는 감정을 읽을 수 있다. 귤색은 보다 그 감정이 조금은 묽어졌음을 의미하면서도 조금은 현실적으로 서로를 대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후에 선명했던 머리색이 다시 지저분해지고 시술 후에 지저분한 파란색 머리를 한 클레멘타인을 통해 그녀가 다시 연녹색을 했던 때의 감정상태로 돌아갔음을 알 수 있다.
(3) 화면 색 변화
화면의 색은 하이키(High key) 사진이나 영화에서 화면을 전체적으로 밝게 처리하는 일
와 로키(Low key) 사진이나 영화에서 화면 전체가 어두우면서도 극적이거나 음울한 분위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어두운 색조나 그림자로 처리하는 일
상황에 따라 달리 쓰이는데 이는 인물간의 관계가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에 따라 변한다. 사랑이 싹트거나 무르익는 때의 조명이나 시간적 배경은 밝고 아침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둘의 관계가 소원해지고 이별을 맞이한다거나 조엘의 의식 속에서 기억이 사라지려는 찰나의 색은 어둡고 칙칙하다. 이렇게 보면 이터널 선샤인에는 조명뿐만 아니라 상당히 인물들의 캐릭터나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등, 대조적인 소재나 상황들이 자주 등장한다. 이렇게 심한 기복의 정도에 따라 관객들도 긴장과 갈등에 더욱 동참할 수 있게 된다.
(4) 소리
영화의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소리(Sound)이다. 소리는 단순한 음향효과나 멜로디를 갖춘 음악들을 말하는데 이터널 선샤인은 두 가지 모두를 적절하게 영화에 적용시킨다.
1) 조엘의 나레이션 : 관객이 보다 쉽게 그의 심리를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3.31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