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축산물브랜드 현황 및 생산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수축산물브랜드 현황 및 생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먹거리 제공을 위하여 생산, 도축, 가공, 판매 전 단계에서 위생안전 관리(Farm to Table)
· 사육단계 : 적정 사육밀도, 동물약품 안전사용, 축사 등 방역철저, 친환경적 사육환경 등
· 도축단계 : HACCP 도축장 및 가공장 이용, 교차오염 방지 등
· 유통단계 : 냉장유통체계(Cold Chain System)에 의한 수송과 보관 준수

○ 안정적 물량공급
· 의미 : 유통업체 등이 요구하는 일정품질의 축산물을 적시에 요구한 물량 공급 능력,
적정 이상의 사육두수, 브랜드 출하물량 및 브랜드명 소매판매량 확보
2. 축산물의 생산소비현황
1) 생산량
· 돼지고기의 생산량을 보면, ‘99년 국내생산량이 701천톤에서 ’08년 709천톤으로 별차이 없지만 10년간에 걸쳐 분뇨처리문제, 신규진입규제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 추세를 보이다 근래에 완만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2) 연간 1인당 소비량
· 돼지고기 소비는 ’99년 16.1kg에서 ’08년 19.1kg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총 육류소비량은 ‘08년 35.9kg으로 늘었지만 쇠고기 소비량은 줄었다. 또한 돼지고기의 생산량은 증가추세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비량의 증가로 보면 수입량이 늘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3) 자급도
· 돼지고기의 자급률은 ‘99년 대비 81.6%에서 ’08년 76.5%로 약 5%정도 줄어들어 부족분을 수입육으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닭고기의 경우는 10년 전과 별 차이가 없다.
4) 돼지고기의 공급과 수요
위 표를 보면, 먼저 공급(Supply)에서 공급계는 점차 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는데, 수입육의 공급량은 ‘98년 56,917톤에서 ’07년 275,662톤으로 증가 했고, 그에 반해 국내산 공급량은 ‘98년 749,152톤에서 ’07년 725,807톤으로 감소했다. 따라서 수요(Damand)에서도 수입육의 소비가 점점 높아지는 걸 볼 수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 돼지고기의 자급률이 낮아지고 값싼 수입육의 소비가 많아진다는 걸 다시 한번 보여주는 표이다.
3. 브랜드 돼지고기 생산업체 현황
브랜드 돼지고기 생산업체 현황은 1992년 (주)퓨리나코리아의 린포크 브랜드육을 시작으로 현재 260여개 브랜드가 넘어서고 있다. 브랜드의 명칭은 보통 회사명, 첨가물, 지역성, 청정하고 깨끗함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주요 판매처로는 수출, 자체매장, 백화점 또는 대형매장 등이며, 한편 외식산업과 프랜차이즈사업으로도 확대되어가고 있다. 한 때 기능성 돼지고기로서 오메가 지방산(DHA)을 첨가한 퓨리나사료(퓨리나 디자이너포크), (주)도드람(도드람 DHA포크), (주)미원(DHA+하이포크), (주)우방과학(에디슨 DHA포크) 돼지고기들이 붐을 이루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을 활용한 브랜드 돼지고기가 많이 탄생하고 있다.
운영주체 형태로는 계열화 주도형【도드람유통(도드람포크, 전업농가형), 대상농장(하이포크, 기업농가형)】, 육가공업체 주도형【유통체계와 서비스 차별화, 썬포크, 영포크】, 자사원료 판매촉진형【사료 및 종돈업체 판매사업 비참여, 퓨리나코리아(린포크)】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선홍색을 띄고, 냄새가 없고,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으며,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고, 보수력이 높고, 담백하며, 부드럽고, 쫄깃쫄깃하고, 항생제 등 잔류물질이 없고, 필수아미노산이 많은 것으로 판촉하고 있다.
개별적 특징으로는 천령(illite 급여), 가천린포크, 참도투(홍삼박, 한약박, 참나무숯, 생균제 등 급여), 동해청정해오름포크, 강성이명품포크(미네랄과 30여가지 생약 첨가), 육미락, 해피델리(카렌 급여), 신안섬마을돼지고기(황토 급여), 황토포크(황토 급여), 롯데(후레쉬포크, ISO9001/14001 인증획득, 도축장 HACCP), 도드람(종돈, 사료, 사양관리 통일), 사조로하이, 팜사랑, 가야그린포크, 한라산도야지(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과 제주도로부터 품질인증 획득), 수원왕갈비, CLA포크(CLA 첨가), 셀렌포크(셀레늄20배), 참고을, 정성포크(현수가공), 장군포크, 보담【토코페롤 강화, 제주도 지정 FCG(Fresh air, Clean water, Green field)마크 획득】, 길포크(효모효소제 첨가), 크린포크(수직계열화), 꼬바기(메가리치 급여), 청미원(계열화 농장), 제주포크, 철원청정육, 정우미네랄포크(흑운모 급여), 도뚜리, 마시델(Pig win 프로그램 도입, 미국 UDSN 기준 설립), 팔공포크(토코페롤 강화, 일본잔류물질 검사 면제업체), 약돌돼지(Ge, Se, Ce, Ho 등 급여), 프로포크(카르니친 및 토코페롤 높음, KS 인증, HACCP 지정업체),하이포크(ISO9002, HACCP, KS 획득), 맑은고기(수직계열화), 생생포크(HACCP, 일본 검역 면제업체), 천하참포크(토코페롤 급여),훔메(마이스터 운영) 등이 있다.
생생포크
장군포크
포크빌
인삼포크진생원
웰팜포크
백두대간포크
(주)해드림 푸드
돈마루
의성마늘포크
제주유채꽃도새기
제주불로포크
4. 고품질 명품우수축산물 생산방안
○ 현재 돼지브랜드 주요평가 항목
· 고품질(배점 : 25점) : 1++등급 출현율, A·B등급 출현율
· 품질관리(배점 : 25점) : 종돈통일, 사료통일, 비육후기사료, 출하시기
· 브랜드관리(배점 : 20점) : 사육기반(모돈두수), 브랜드출하물량, 브랜드명 소매판매 비율
· 위생안전성(배점 : 30점) : 동물약품안전사용·방역, 사육환경, 출하단계, 도축단계, 가공단계, 유통단계(운반)
· 기타(배점 : 5점) : HACCP지정 농가 참여, 해양배출 농가 비율, 축산분뇨자원화, 브랜드관리 규정 보유, 홍보실적
○ 명품브랜드 생산방안
현 행
개 정
축산업자
-사료회사로부터 공급
-사양관리 프로그램 전혀 없음
-각 농장별 사육환경이 달라
브랜드 규격돈 생산의 어려움
-청년층의 인력부족
-국산 유기농사료공급을 통한 명품육생산(부자마케팅)
-사양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규격돈 생산 환경조성
-유기농+HACCP인증목장 확대
-전문학교 등 전문인력 양성
도축업자
-식육처리기능사 자격 소지자 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3.31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