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문화 아이들(TCK)의 정체성 분석 및 교육적 대안 탐색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3문화 아이들(TCK)의 정체성 분석 및 교육적 대안 탐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 4
4. 선행연구 검토 7

Ⅱ. TCK 특성과 세계화 시대의 정체성 15
1. TCK와 세계화 15
1) TCK의 정의와 특성 15
2) 세계화의 성격과 범위 17
3) 세계화 시대의 TCK의 강점과 약점 22
2. TCK와 관련한 한국의 교육 현황 26
1) 획일적인 학교 체제 26
2) 학력중심 경쟁체제 30
3) 해외에 있는 TCK 교육에 대한 문제점 33
3. 세계화 시대의 정체성 40
1) 정체성의 개념 및 특성 40
2) 세계화시대의 정체성 담론 41
3)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43
4) 세계화와 정체성의 관련성 45

Ⅲ. TCK의 정체성과 한국교육의 문제점 분석 48
1. 분석 방법 및 인터뷰 질문 내용 48
2. TCK의 정체성 분석 51
1) 한국사람과 관련한 TCK의 자기인식 51
2) TCK의 세계시민 자질 56
3) 지역에 대한 TCK의 애착심 59
4) TCK의 모호한 정체성 61
3. TCK와 관련한 한국교육의 문제점 분석 66

Ⅳ. TCK를 위한 한국 교육의 개선 방안 70
1. TCK를 위한 한국 교육의 방향 70
1)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강화 70
2) 다양한 문화적 경험의 유지 및 신장 72
3) TCK와 한국에서만 성장한 학생들과의 상생 73
4) 지역시민성 함양 74
2. TCK를 위한 교육 환경 조성 76
1) 한국에 국제학교 설립 76
2) 귀국학생반 확대 설치 및 지원 강화 80
3) 해외 국제학교에 한국 교사 진출 84
3. TCK를 위한 사회과 교육의 개선방안 86
1) 다원적 문화, 가치교육의 지향 86
2) 국제이해교육의 강화 88

Ⅴ. 결론 및 제언 91

참고자료 94

본문내용

한신 외(2004).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인천광역시 초-중등교육에 미칠 영향 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교육청.
원남숙(2006). TCK와 일반청소년의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유형의 비교 연구. 고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재현(1995). 지방화와 지구화, 그리고 시민운동. 서울 : 한울.
이선희(1993). 한국선교사의 타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합신학연구원.
윤조열(2000). 재중동포 교육현황 및 요구 조사 : 청도지역을 중심으로. 인천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승종(1997). 지방화, 세계화 시대의 시민의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사회와 교육 제 24집.
이인규(1998). 한국교육의 시민개념 구체화를 위한 탐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인제 외(1998). 귀국학생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한국교육과정평가 원.
이장영(1997). 해외 귀국청소년의 국내적응 연구. 아산재단 연구보고서 제 33 집.
이정우(2007). 다양한 인종-민족 집단에 대한 예비교사의 고정관념 : 사회과 예비교사 교육에의 함의. 시민교육연구 제 39권 제 1호.
이종각(1995). 교육인류학의 탐색. 서울 : 도서출판 하우.
임성택(2003).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의 외국인에 대한 한국학생들의 고정관념 분석. 교육학연구 제 41권 제 3호.
임화자(2005). 지역 정체성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부산 지역을 중심으 로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인실(2003). 다문화 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이 한국 교사 교육과정 개 혁에 주는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제 21권 제 3호.
장현근(1997). 군자와 세계 시민. 유럽연구 통권 제 5호.
전숙자 외(1999). 국제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 사회과교육학연구 제 3호.
전형일(2003). 해외 귀국청소년의 고등학교 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전 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광순(2006). 초등학생의 유학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제 9권 2호.
정근식 외(2000). 디아스포라, 귀환, 출현적 정체성-사할린 한인의 역사적 경 험. 재외한인연구 제 9호.
정순진(1996). 해외유학생들의 문화적 적응방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정재옥(2003). 해외 귀국중학생의 특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제상욱(2002). 한국 선교사 자녀교육 집중 연구.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조 벽(2004). 나는 대한민국 교사다 : 조벽교수의 새시대 교육자 생존 전략. 서울 : 해냄.
조영달(2005). 제도공간의 질적연구 방법론. 서울 : 교육과학사.
조창현(1990). 지방자치의 이론과 실제. 서울 : 동아일보사.
진동섭 외(2003). 재외동포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최병모(2001).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주요 쟁점. 교과교육학 연구 제 5권 1호.
최양숙(2005). 비동거 가족 경험 - 기러기 아빠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최용규(1997). 제 7차 교육과정 개정 시안. 사회과교육학연구 제 2호.
최화순(1990). 해외 귀국아동의 적응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한상길 외(1998). 세계화 시대의 인간교육에 관한 연구 : 자민족 중심주의와 세계시민성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제 36권 제 4호.
토마스 프리드먼, 신동욱 역(2001).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 1, 2. 서울 : 창해.
토마스 프리드먼, 김상철 역(2006). 세계는 평평하다. 서울 : 창해.
피터 드러커, 이재규 역(2001). 프로폐셔널의 조건. 서울 : 청림.
한승완(2001). 통일민족국가 형성을 위한 시론. 사회와 철학연구회.
홍윤기(2001). 지구화 조건 안에서 본 문화 정체성과 주체성. 사회와 철학 Vol 1.
Banks, J. A(1994).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Boston : Allyn and Bacon.
Bauman, Zygmunt(1993). Postmodern ethics. London : Blackwell.
Blakar, R(1984). Communication : A social perspective on clinical issues. Norway : Universitetsfolaget.
Elizabeth Park(2006). A Bud about to Bloom. 서울 : 순출판사.
Giddens, Anthony(2001). Sociology. 김미숙 외 역(2003). 서울 : 을유문화 사.
Halsey, A. H., Lauder, H., Brown, P. & Wells, A. S.(1997). Education, Culture, Economy and Societ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Lowndes, Vivien(1995). Citizenship and urban politics. Lodon : Sage Publications Ltd.
Pollock, David C, Ruth E Van Reken(1999). The Third Culture Kid - Experience : Growing up among. Worlds Intercultural Press.
Robertson, R(1995). Glocalization : Social Theory and Global Culture. London : Sage.
Woods, P(1983). Sociology and the school : An interactionist viewpoint. London : RKP. 손직수 역(1998). 학교사회학 : 상호작용론적 견해. 서울 : 원미사.
http://krim.org/2007/sub3-sor.html
http://www.goodteacher.org
http://www.yonhapnews.co.kr
http://www.imaeil.com
http://www.state.gov/m/a/os/1257.htm
  • 가격10,000
  • 페이지수100페이지
  • 등록일2010.04.0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