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영화 훓어보기
1. 영화 소개
2. 감독 소개
3. 등장 인물
4. 시놉시스와 주요장면
Ⅱ.영화 파고들기
1. 개인을 감시하는 사회주의 독재국가 동독
2. 비즐리의 변화 그리고 동독의 변화
1. 영화 소개
2. 감독 소개
3. 등장 인물
4. 시놉시스와 주요장면
Ⅱ.영화 파고들기
1. 개인을 감시하는 사회주의 독재국가 동독
2. 비즐리의 변화 그리고 동독의 변화
본문내용
럽게 적을 것이다.
이것이 모두 국가의 안전을 위해서다.
그렇게 죽은 사람들 모두가국가의 안전과 안녕을 위한 것이다.
독일민주공화국은 1977년 이후로 자살자의 통계를 내지 않고 있다.
알다시피 자살은... 이미 최선을 위한 것이다.
그들은 피 흘리지 않는, 열정이 없는 삶을 참지 못했기 때문이다.
죽음 만이 그들에게 유일한 희망이었다.
2. 비즐리의 변화 그리고 동독의 변화
1) 비즐러의 변화
- 드라이만의 피아노 소리를 듣고 우는 비즐러 →“착한 사람의 소나타”
- 크리스타를 만나는 비즐러 →“난 당신의 관객이에요.”
- 드라이만의 책을 구입하는 비즐러 →“아니요. 이 책은 나를 위한 겁니다.”
2) 동독의 변화
- 억압 사회에서 자유로운 사회로...
- 감시하는 국가에서 동참하는 국가로...
- 권력자을 위한 사회에서 개인을 위한 사회로...
<해 설>
비즐러라는 비밀요원의 감정과 삶의 변화를 통해 사회주의 체제 속의 동독의 현실과 통일 전후의 급변하는 독일의 모습을 잘 들어 내고 있는 영화이다.
1980년대 중반 통일 직전의 동독은 사회주의의 극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국가의 권력자들은 권력을 남용하여 무엇이든 얻고자 하는 것을 얻었다. 개인의 사생활을 파헤치는 것은 물론이고, 그들의 꿈과 예술 그리고 순결까지도 빼앗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개인의 삶은 무참히 짓밟혔고 유린당했다.
그러나 그들은 변화를 기대하며 예술을 향한 열정을 꺼뜨리지 않았다. 그들의 삶의 전부라고도 할 수 있는 음악과 글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릴 수 있었다. 이들의 예술을 향한 열정은 비즐러의 감정을 변화시켰다. 감시자였던 그가 이제는 그들의 삶에 개입하기 시작했고, 그들의 삶에 연민을 느끼고, 결국 드라이만을 돕게 된다. 타자기를 숨기는 그의 모습에서 그의 변화를 확실히 볼 수 있다. 그의 행동은 자발적으로 일어난 그의 선택이었다. 그는 어느새 변해 있었고, 그리고 행동했다.
비즐러의 변화는 독일의 변화를 대변한다. 영화의 초반에 나오는 비즐리의 모습은 무자비하고 잔혹하기 까지 한다. 비즐러의 모습은 동독의 모습을 대변한다. 억압과 탄압, 절대 권력만이 난무하는 독재국가가 바로 동독이었다. 비즐러 만큼이나 동독은 잔인하고 무지비했다.
그러던 그에게 드라이만과 크리스타를 감시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그의 삶은 지시와 복종에 의한 타의적이고 기계적인 삶이었다. 선택의 의한 삶이 아니라 끌려가는 삶이었다.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국민은 그저 수동적인 존재들을 뿐이었다. 그 일부분을 비즐러가 차지 하고 있었던 것이다.
두 사람을 감시하던 비즐러는 그들의 삶과 태도에 매력을 느끼기 시작한다. 그의 변화는 조금씩 일어났다. 감정의 변화에서, 가치관의 변화로... 결국 그의 행동까지 변화하게 만든다. 그가 크리스타를 찾아가는 장면에서 확실히 그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장관과의 만남을 괴로워하며 크리스타는 술집을 찾아간다. 그녀에게 비즐러는 다가가서 말한다. “난 당신의 관객이에요.” 그녀를 감시하고 있던 그가 스스로를 그녀의 관객이라고 소개한다. 이 장면에서 동독은 더 이상 감시자가 아닌 국민과 함께하는 존재가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가 책을 구입하는 장면에서도 동독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점원이 “선물이에요?”라고 묻자 그는 “이 책은 나를 위한 겁니다.”라고 대답한다. 동독의 변화는 더 이상 권력자들의 것이 아니다. 이제는 국민들의 동독이 된 것이다.
이제까지 비즐러라는 인물의 변화를 통해 통일 전후의 동독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모두가 바라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났다. 억압과 탄압의 동독이 이제는 자유의 나라가 되었다. 그 암울했던 동독 이제는 한 권의 추억으로 기억될 뿐이다.
이것이 모두 국가의 안전을 위해서다.
그렇게 죽은 사람들 모두가국가의 안전과 안녕을 위한 것이다.
독일민주공화국은 1977년 이후로 자살자의 통계를 내지 않고 있다.
알다시피 자살은... 이미 최선을 위한 것이다.
그들은 피 흘리지 않는, 열정이 없는 삶을 참지 못했기 때문이다.
죽음 만이 그들에게 유일한 희망이었다.
2. 비즐리의 변화 그리고 동독의 변화
1) 비즐러의 변화
- 드라이만의 피아노 소리를 듣고 우는 비즐러 →“착한 사람의 소나타”
- 크리스타를 만나는 비즐러 →“난 당신의 관객이에요.”
- 드라이만의 책을 구입하는 비즐러 →“아니요. 이 책은 나를 위한 겁니다.”
2) 동독의 변화
- 억압 사회에서 자유로운 사회로...
- 감시하는 국가에서 동참하는 국가로...
- 권력자을 위한 사회에서 개인을 위한 사회로...
<해 설>
비즐러라는 비밀요원의 감정과 삶의 변화를 통해 사회주의 체제 속의 동독의 현실과 통일 전후의 급변하는 독일의 모습을 잘 들어 내고 있는 영화이다.
1980년대 중반 통일 직전의 동독은 사회주의의 극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국가의 권력자들은 권력을 남용하여 무엇이든 얻고자 하는 것을 얻었다. 개인의 사생활을 파헤치는 것은 물론이고, 그들의 꿈과 예술 그리고 순결까지도 빼앗았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개인의 삶은 무참히 짓밟혔고 유린당했다.
그러나 그들은 변화를 기대하며 예술을 향한 열정을 꺼뜨리지 않았다. 그들의 삶의 전부라고도 할 수 있는 음악과 글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릴 수 있었다. 이들의 예술을 향한 열정은 비즐러의 감정을 변화시켰다. 감시자였던 그가 이제는 그들의 삶에 개입하기 시작했고, 그들의 삶에 연민을 느끼고, 결국 드라이만을 돕게 된다. 타자기를 숨기는 그의 모습에서 그의 변화를 확실히 볼 수 있다. 그의 행동은 자발적으로 일어난 그의 선택이었다. 그는 어느새 변해 있었고, 그리고 행동했다.
비즐러의 변화는 독일의 변화를 대변한다. 영화의 초반에 나오는 비즐리의 모습은 무자비하고 잔혹하기 까지 한다. 비즐러의 모습은 동독의 모습을 대변한다. 억압과 탄압, 절대 권력만이 난무하는 독재국가가 바로 동독이었다. 비즐러 만큼이나 동독은 잔인하고 무지비했다.
그러던 그에게 드라이만과 크리스타를 감시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그의 삶은 지시와 복종에 의한 타의적이고 기계적인 삶이었다. 선택의 의한 삶이 아니라 끌려가는 삶이었다.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국민은 그저 수동적인 존재들을 뿐이었다. 그 일부분을 비즐러가 차지 하고 있었던 것이다.
두 사람을 감시하던 비즐러는 그들의 삶과 태도에 매력을 느끼기 시작한다. 그의 변화는 조금씩 일어났다. 감정의 변화에서, 가치관의 변화로... 결국 그의 행동까지 변화하게 만든다. 그가 크리스타를 찾아가는 장면에서 확실히 그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장관과의 만남을 괴로워하며 크리스타는 술집을 찾아간다. 그녀에게 비즐러는 다가가서 말한다. “난 당신의 관객이에요.” 그녀를 감시하고 있던 그가 스스로를 그녀의 관객이라고 소개한다. 이 장면에서 동독은 더 이상 감시자가 아닌 국민과 함께하는 존재가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가 책을 구입하는 장면에서도 동독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점원이 “선물이에요?”라고 묻자 그는 “이 책은 나를 위한 겁니다.”라고 대답한다. 동독의 변화는 더 이상 권력자들의 것이 아니다. 이제는 국민들의 동독이 된 것이다.
이제까지 비즐러라는 인물의 변화를 통해 통일 전후의 동독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모두가 바라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났다. 억압과 탄압의 동독이 이제는 자유의 나라가 되었다. 그 암울했던 동독 이제는 한 권의 추억으로 기억될 뿐이다.
추천자료
[영화감상문]인생은 아름다워
[미시시피버닝]영화감상문
[올해최신A+우수자료]가위손[가위손 영화감상문][가위손 감상문][가위손 영화감상][영화 가위...
특별한 소재를 다룬 영화감상문 모음
더 코브 슬픈 돌고래의 진실[더 코브-슬픈돌고래의 진실]슬픈 돌고래의 진실[더코브 슬픈돌고...
울지마 톤즈 영화감상문, 이태석 신부님 - 영광을 버리고 봉사를 택하다, 가장 낮은 곳에 손...
'소스코드(Source Code)' 영화감상문
[영화감상문] (최신A+) 브이 포 벤데타 (V For Vendetta) [브이포벤데타 분석적영화감상문][...
동성애와 「패왕별희」 영화감상문
[정신건강론 : 사회복지상담] 물질관련장애와 「28일동안」 영화감상문
킹스 스피치 (The King`s Speech) 영화감상문
<<마션 영화 감상문>>마션 영화감상문,마션 과학영화 감상문,마션을 보고,마션 줄거리,마션 ...
[A+ 영화감상문]노무현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