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 고부가가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VA 고부가가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EVA란?
(1) EVA의 개념
(2) EVA경영의 중요성

2) EVA의 활용방안
(1) EVA 지표의 개발
(2) EVA의 활용
(2) EVA의 활용효과

3) EVA의 산출

4) EVA 경영의 특징

5) EVA 경영의 특성

6) EVA 증대방안

7) EVA 경영의 사례
(1) 국내외 도입현황 및 국내 기업의 EVA
(2) 투자유망종목 선정 시 활용되는 EVA
(3) 삼성그룹의 핵심 경영지표로 EVA 등장
(4) 성과평가로 EVA의 활용 (한국타이어)
(5) EVA 높이려면 자산매각이 효과적

8) EVA 경영의 시사점

9)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기적으로 기업의 수익성을 제고 시킬 수 있다. 나아가 EVA를 기초로 보수를 결정하면 기업가치와 연결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경영자의 보수를 기업의 부가가치 이익과 연계시키면 기업목표와 경영자의 목표가 일치되어 기업가치 증대를 위한 자발적인 노력을 유도하게 된다.
- EVA가 활용 가능한 분야
경영성과 평가
·사업부별로 정확한 업적평가 측정
·단일지표로서 경영성과 평가적용 용이
개별사업의 투자결정
·투하자본의 효율성(경제성)에 대한 사전적 및 사후적 평가 기준 제공
경영관리
·업무개선에 의한 기업가치 제고
·사업구조의 리스트럭처링을 통하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한계사업의 철수, 집중육성사업, 신규사업의 투자결정기분 제공)
·최적자본구조의 달성에 대한 기준 제공
동기부여
·임직원의 인센티브 보상결정기준
·임직원의 주인의식 고취
자료-상업은행,“EVA 개념을 이용한 기업경영”,「상은조사」, 1998.9 p.10.
5) EVA 의 산출
①투하자본의 측정
투하자본(Invested Capital : IC)을 측정하는 이유는 기업 전체 자산을 영업 활동과 관련된 자산과 영업활동과 관련이 없는 자산으로 구분하여 정보이용자에게 기업의 자금운용과 조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투하자본의 계산
투하자본(IC) = 순운전자본 + 순고정자산
· 순운전자본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유동자산 - 비이자발생 유동부채
=(유동자산-비영업관련유동자산)-(유동부채 단기차입금)
=(당좌자산+재고자산-영업과무관하게 보유중인 유동자산)-(매입채무+선수금 등)
순고정자산= 투자자산 + 유형자산 + 무형자산
투자자산- 영업보증금, 장기성매출채권, 장기성
예금과 영업관련 투자유가증권등..
유형자산- 토지,건물,기계장치 등 토지의 경우
장부가액보다는 공시지가 등 시가를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
무형자산- 영업권,연구개발비,특허권 등의 자산
을 의미한다.
② 자본비용(cost of capital)의 측정
기업이 자본을 조달한 것에 대하여 그 자본제공자가 대가로 지급할 것을 요구하는 비용을 의미. 가중평균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 WACC )으로 측정한다.
자본비용의 개념은 기회비용에 대한 보상적 개념으로서의 이자율을 뜻하며, 위험률에 대한 보상적 성격을 말한다.
WACC=S×Ke+B×Kd
S + BS + B
( S : 자기자본, B : 타인자본, Ke : 자기자본비용, Kd : 타인자본비용 )
타인자본비용 = 부채실질이자율 × ( 1 - 유효법인세율)
부채실질이자율 : 순이자비용÷ 이자지불부채
이자비용 : 지급이자 및 할인료+사채이자+차입관련 제비용
자기자본비용 : 주주가 특정기업의 주식에 투자할 경우에 요구하는 수익률
③ 세후순영업이익(NOPLAT)의 계산
세후순영업이익은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경상이익에서 법인세비용 등을 차감한 영업상의 이익을 말한다.
세후순영업이익=영업이익+기타영업관련수익-기타영업관련비용-실효법인세
④ 투하자본이익율(ROIC)의 계산
투하자본이익율을 의미하는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는 일정기간동안 사업에 투자한 자본에서 얼마의 수익을 얻었는지를 알려주는 수치를 말한다.
투하자본수익율(ROIC) = 투하자본회전율 Ⅹ 세후영업이익율
= (매출액/투하자본) Ⅹ (NOPLAT/매출액)
⑤ EVA계산
EVA계산시 유의사항은 투하자본에 대비하여 계산되는 세후순영업이익의 구성요소가 반드시 투하자본을 구성하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손익인가를 체크하고, 자본비용을 계산하기 위한 투하자본은 연평균투하자본을 사용하기 위해 (기초+기말)/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EVA 경영의 특징
① 가치창조경영(VBM:Value Based Management)
EVA는 현금 흐름과 자본비용을 고려하여 수익성과 자본의 효율성을 중시하는 성과 평가지표이다. 따라서 EVA 경영은 측정된 EVA를 기준으로 실적이 우수한 사업과 미래 유망사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한계사업의 정리를 통하여 현금흐름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수익중시경영이며 가치를 창조하는 경영이다.
② 주주중시경영
EVA가 추구하는 기업 현금흐름의 극대화는 기업 경영의 최종 위험부담자인 주주의 이익극대화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EVA는 기존 손익계산서에 기반을 둔 주가수익비율(PER) 이나 주당순이익(EPS)등 다른 투자분석지표보다도 더 주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대차대조표까지 연결시킨 투자분석지표 로서 국내외적으로 선호되고 있다.
③ 책임경영
EVA는 경영자의 성과 평가와 보수 및 보상을 연계함으로써 인센티브를 통한 동기부여를 도모하여 경영자로 하여금 주인의식을 가지고 책임경영을 하도록 유도한다.
EVA경영을 실행에 옮기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저성장, 고경쟁 시대를 맞이한 국내 기업들은 과거 외형적 성장위주의 경영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발상의 전환과 함께 새로운 척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EVA 경영은 현금흐름의 극대화라는 양적 확대(성장성)와 자본의 효율성 향상이라는 질적 확대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바람직한 경영방식으로 “새로운 잣대”를 제공할 수 있다.
5) EVA 경영의 특성
EVA는 전통적 이익지표인 회계적이익과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차이가 있다.
① EVA는 기업의 영업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용된 모든 자본비용을 차감하고 남은 잔여이익이다.
② EVA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명시적인 경영위험을 부담하는데 대한 보상율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경영위험에 대한 측정은 일반적으로 베타계수를 이용하여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을 기초로 추정된다. EVA를 계산하기 위하여 기업의 영업이익은 세후부채비용과 자기자본비용을 기업이 계획하는 목표자본구성비율로 가중한 가중평균자본비용으로 자본환원한다.
③ EVA는 진정한 경제적 성과를 측정하는데 야기되는 왜곡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보고된 회계결과를 수정하여 이용한다.
- EVA의 장점과 단점
*장점
·자본비용을 고려한 기간별 가치창출을 측정할 수 있다.
·전통적 회계시스템의 단점 유지 EVA는 전통적 회계시스템과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고 이해하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0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