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빈곤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빈곤아동을 위한 아동복지실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빈곤아동의 개념

2. 빈곤아동의 문제

3. 빈곤아동을 위한 복지서비스 현황

4. 빈곤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복지실천 방향

5. 기관사례 (부스러기사랑나눔회)
(1) 기관소개
(2) 사업소개

7. 빈나 2020운동

본문내용

통해 지역사회복지사들이 더욱 전문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있는 대학(원)생과 초보사회복지사 를 지역사회복지사로 양성하는 기초·고급교육과정(총 60시간)을 실시하고 있다.
· 연구사업: 매년 지역사회복지사가 개입한 사례 진행과정과 평가 내용을 실은 사례연구집 을 발간하고 있으며, 2004년도에는 지역사회복지사 실무메뉴얼 개발, 세미나 등을 통해 지 역사회복지사 실천모델을 정립하고자 한다.
- 사업진행방법
2005~2020 빈곤아동 결식아동이 한명도 없는 나라 만들기 운동
(빈나 2020운동)
1. 빈나 2020운동의 배경
- 2004년 대구에서 4살짜리 아이가 배가 고파 죽어갔고, 2005년 1월7일 태어난 지 3일된 아이도 분유가 없어서 죽어 간 사건을 기점으로 부실한 지원체계와 무사 안일한 실적 중심 지방 행정이 폭로된 부실도시락 사건이 확대되면서 부스러기사랑나눔회 사회복지사와 실무 자의 자체 반성과 회개운동이 일어났다. 2005년 1월 11일 부스러기사랑나눔회 직원 화요 예배시간과 이후시간에 우리나라의 빈곤 아동들을 위해서도 2020년까지 목표를 세우고 ‘빈나2020 운동’ 첫 여는 모임을 가지고 서명을 착수하였다. 빈나 2020 운동의 확산으로 18세 이하의 빈곤아동이 모두 유엔 아동권리 협약이 정하는 생존의 권리 발달의 권리 학 습의 권리 복지의 권리 문화의 권리 참여의 권리를 보장받게 될 것이다. 빈나 2020은 우 리 모두가 함께 가꾸어 가는 우리 모두의 꽃밭이며 우리 모두의 과제이며 목적이며 삶의 자리이다.
2. 빈나 2020의 입장
하나, 우리는 이 땅의 모든 아동들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기 원합니다.
하나, 우리는 빈곤의 이유로 더 이상 아동들이 죽어가거나 영양이 적절한 급식을 제공받지 못하는 것을 거부합니다.
하나, 우리는 부모의 빈곤 때문에 먹는 것, 입는 것, 주거환경이 18세미만 아동, 청소년이 자라나는데 적절하지 못한 경우 국가가 아동을 위한 우선적 생존권보장 제공을 촉구 합니다.
하나, 우리는 모든 아동에게 부모의 배경과 상관없이 대한민국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 권을 제공하기를 촉구합니다.
하나, 우리는 모든 아동에게 부모의 배경과 상관없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건강권과 의료 권을 제공하기를 촉구합니다.
하나, 우리는 모든 아동에게 부모의 배경과 상관없이 건강한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를 촉구합니다.
하나, 우리는 지역사회가 우선적으로 빈곤/결식아동을 발굴하고 우선적으로 보호하기를 촉 구합니다.
하나, 우리는 우리가 함께하고 있는 빈곤/결식아동이 자신의 권리를 찾고 건강한 사회인으 로 자라나기 위해서 최선의 보호와 교육 제공을 위해 더욱 노력합니다.
하나, 우리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 안에서 아동을 보호 양육하는 단체를 육성하 고 지원하기를 촉구합니다.
하나, 우리는 정부가 빈곤아동/결식아동에 대한 기초 자료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빈곤 아동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제시를 촉구합니다.
하나, 우리는 이를 위해서 대통령 산하 아동특별위원회를 설치하여 실행하기를 촉구합니다.
하나, 우리는 빈곤/결식아동이 한 명도 없는 나라가 될 때가지 빈나2020 운동을 쉬지 않고 전개해 나갈 것 입니다.
하나, 빈나 2020운동을 통해 이 땅의 빈곤/결식아동이 없어지는 날까지 민간, 정부, 기업 모두가 함께 동참하기를 강력히 촉구합니다.
<2005년 1월 31일 2020년까지 빈곤/결식아동이 한명도 없는 나라 만들기 운동 서명자 일동>
3. 사업목표
- 국가와 지방자치 단체 민간 사회단체와 기업과 개인이 함께 협력하여 참여함으로써 빈곤 아동 결식아동의 권리를 보호하여 빈곤아동 결식아동이 한 명도 없는 나라를 2020년도까 지 단계적으로 만들어 나간다.
4. 사업내용
1) 1차년도(2005-2007)
빈곤아동 결식아동권리 국가의 법적 제도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발대식 / 서명운동 (2020명)
전문가단 구성(220명) 정책제안
· 실태조사 욕구조사 기초선 마련
지역아동센터 확충 예산지원
지자체 /대통령 선거 공약화
대통령 산하 아동특별위원회 설치
정부 전담기구 일원화
빈곤아동 결식아동을 위한 입법
빈곤아동 결식아동 정책
모니터링감시단운영
2) 2차년도(2008-2010)
아동 권리 교육 실시 의무화
빈곤아동 학대 방임자 치료 프로그램 의무사항 조치
총선공약을 통약 전국단위 확산
전문 사회복지사 증원
학교 사회복지 사업 확대
지역사회복지사 제도 정착 확대
1차년도 사업 평가
무료급식 / 무료교육 / 무료의료
지원 체계 확대
빈자 2020 전화 개설
3) 3차년도(2011-2013)
빈곤아동 결식아동 권리옹호 제도
지속을 위한 세금제도 개혁
2차 실태조사 욕구조사 기초선 조사
빈곤아동 수당 빈곤가족수당 전면지급
빈곤아동의 날 지정
2차년도 사업 평가
4) 4차년도(2014-2016)
빈곤아동 결식아동의 재발 방지를 위한 법적 제도적 강하
5) 5차년도(2017-2019)
빈곤아동 결식아동 수 30% 유지를 위한 지속 사업 전개
6) 2020년
빈곤아동 결식아동 수 0% 선언
빈곤아동 결식아동 재발 방지 사업
빈나 2020 경험을 아시아 아프리카
빈곤국에 나누기
빈나 2020 사업 총 평가
`우리 생명을 지켜주세요!!
엄마! 돈 없다고
아파트에서 우리를 던져
죽이지 마세요! 살려주세요
아빠! 돈이 없어 살기가 힘들다고 한강
물에 빠트리지 마세요! 우리 죽어요!
물이 너무 차갑고 무서워요!
몸이 아파요! 배고 고파요! 나죽어요
먹을 것을 주세요! 배가고파 죽겠어요
살고 싶어요! 분유를 주세요
설탕물은 배고파요
아동빈곤율 9.8%(2020년)
x 2004년도 14세 이하 아동 총수
9,632,613명
14세 이하 빈곤아동 수는
943,996명
18세 이하의
빈곤아동수는 100만명!!
기초생활보장수급권 135만명 중 30만명
차상위계층 사각지대320만명 중 아동 47만명
차하위계층 해체가정 학대 방임 아동20만명
결식아동수 학교에서 급식비 못내는 아동30만
학령전아동 가출 자퇴청소년까지 정확히 몰라
빈곤아동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4.0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