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상안정상태로 있으나 후에는 양다리에 베개를 넣은 Willm\'s positon을 취하도록 한다.
** 척추 수술 환자의 간호내용
- 고절부위의 안정성유지
- 척추가 비틀어 지고 골절부위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한 체위변경시 반드시 통나무 굴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환자의 배측의 긴장을 예방하기 위해 옆으로 누운 경우 다리사이와 등뒤에 배게를 놓아준다. 처방된 수준이상으로 침상머리를 올리는 것을 피한다. 환자가 움직이거나 침상 밖으로 나가기전에 처방된 코르셋이나 brace를 해준다
신경 및 순환계문제의 예방
수술 후 초기24-48시간 동안 매시간 마다 신경계와 순환계의 상태를 파악한다. 이기능이 감소되면 즉시 주치의에게 알린다. 이것은 골절부위의 변위나 압박상태를 의미한다. 하루에 4번이상 ROM을 실시한다.
안위증진
체위를 자주 변경한다. 환자가 편안한지 확인하기 위해 잠시동안 기다린다. 불편감이 즉시 느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심리적 안위 증진
환자는 상황에 대한 두려움 분노 무력감을 가질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 하도록 격려한다. 가능하면 환자가 심리적 사회적 상담을 하도록 격려한다. 재활기관의 도움을 받도록 주선한다.
환자이동의 목적,종류 및 방법
< 목 적 >
침상에 있는 동안에도 팔굽혀 펴기 운동을 하여 팔과 어깨의 근육을 강화
< 종 류 >
경사 침대 이용, Circolective 침대 사용
< 방 법 >
` 침대위에 반듯하게 앉아 사용
` 손아래에 책을 놓는다.
` 책위로 힘을 주면서 몸을 일으킴
` 근육의 힘이 체중이 이기지 못할때는 가벼운 판을 이용해 의사 사이에 놓고 그 판대로 미끄러져 이용
오늘은 94병동의 형태와 위치를 파악해보았는데 장점과 단점이 함께 섞여 있는 구조를 보였다.
간호사 스테이션이 병동의 중심에 있어서 간호업무를 할 때 간호사의 동선이 짧다.
또한 스테이션이 병실을 둘러싼 중심에 있기 때문에 모든 병실의 상황판단이 빠르며 환자요구도에 대한 일처리가 신속하며 만족도도 높다.
하지만 스테이션 안쪽의 준비실은 모든 간호사들이 투약을 준비하는 곳인데, 모든 팀의 간호사가 들어가서 준비하기엔 비좁아 보이며, 라운딩 시 끌고 다니는 카트를 준비실 안에 모두 넣어놓기 때문에 더 비좁게 느껴진다. 그곳에는 컨베이어 이동시스템까지 있어서 실제로 투약을 준비해야 하는 공간은 좁고 복잡하게 느껴진다.
또한 94병동에는 보호자를 위한 화장실이 없다. 병실마다 있는 화장실과 병동복도에 있는 장애인 화장실을 제외하고는 화장실이 없기 때문에 보호자들이나 방문객들이 93병동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겪는다.
또 휠체어나 CPM기, 폴대를 넣어두는 곳이 없어 복도 한켠에 놓고 이동커튼으로 쳐놓았는데 빈방이 부족하기 때문에 해놓은 방법이지만 외관상 깔끔해보이지 않았다.
Daily log 5.
8. 7. 금요일
다리에 골절이 있거나 수술을 한 환자들이 목발을 많이 사용하는데 오늘은 목발환자의 보행에 관한 교육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목발보행을 하는 환자의 목적
목적
-운동성을 증가 시킨다
-보행을 통해 대상자에게 독립심을 증진시킨다
-다친 다리의 장애를 예방한다
종류, 방법
①네발걸음(four-point gait)-양쪽 다리모두에 체중이 가해진다.오른쪽 목발 왼쪽발 왼쪽 목
발 오른쪽 발의 순서대로 걷는다
②두발걸음(two-point gait)-양쪽 다리에 모두 힘을 가해지나 four-point gait보다 속도가 빠르다. 오른쪽 목발과 왼발이 동시에 전진하고 그다음 왼쪽 목발과 오른쪽 발이 동시에 나아간다
③세발걸음(three-point gait)-한쪽 다리에만 힘이 가해진다. 다른 쪽 다리는 힘를 견이어
** 척추 수술 환자의 간호내용
- 고절부위의 안정성유지
- 척추가 비틀어 지고 골절부위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한 체위변경시 반드시 통나무 굴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환자의 배측의 긴장을 예방하기 위해 옆으로 누운 경우 다리사이와 등뒤에 배게를 놓아준다. 처방된 수준이상으로 침상머리를 올리는 것을 피한다. 환자가 움직이거나 침상 밖으로 나가기전에 처방된 코르셋이나 brace를 해준다
신경 및 순환계문제의 예방
수술 후 초기24-48시간 동안 매시간 마다 신경계와 순환계의 상태를 파악한다. 이기능이 감소되면 즉시 주치의에게 알린다. 이것은 골절부위의 변위나 압박상태를 의미한다. 하루에 4번이상 ROM을 실시한다.
안위증진
체위를 자주 변경한다. 환자가 편안한지 확인하기 위해 잠시동안 기다린다. 불편감이 즉시 느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심리적 안위 증진
환자는 상황에 대한 두려움 분노 무력감을 가질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 하도록 격려한다. 가능하면 환자가 심리적 사회적 상담을 하도록 격려한다. 재활기관의 도움을 받도록 주선한다.
환자이동의 목적,종류 및 방법
< 목 적 >
침상에 있는 동안에도 팔굽혀 펴기 운동을 하여 팔과 어깨의 근육을 강화
< 종 류 >
경사 침대 이용, Circolective 침대 사용
< 방 법 >
` 침대위에 반듯하게 앉아 사용
` 손아래에 책을 놓는다.
` 책위로 힘을 주면서 몸을 일으킴
` 근육의 힘이 체중이 이기지 못할때는 가벼운 판을 이용해 의사 사이에 놓고 그 판대로 미끄러져 이용
오늘은 94병동의 형태와 위치를 파악해보았는데 장점과 단점이 함께 섞여 있는 구조를 보였다.
간호사 스테이션이 병동의 중심에 있어서 간호업무를 할 때 간호사의 동선이 짧다.
또한 스테이션이 병실을 둘러싼 중심에 있기 때문에 모든 병실의 상황판단이 빠르며 환자요구도에 대한 일처리가 신속하며 만족도도 높다.
하지만 스테이션 안쪽의 준비실은 모든 간호사들이 투약을 준비하는 곳인데, 모든 팀의 간호사가 들어가서 준비하기엔 비좁아 보이며, 라운딩 시 끌고 다니는 카트를 준비실 안에 모두 넣어놓기 때문에 더 비좁게 느껴진다. 그곳에는 컨베이어 이동시스템까지 있어서 실제로 투약을 준비해야 하는 공간은 좁고 복잡하게 느껴진다.
또한 94병동에는 보호자를 위한 화장실이 없다. 병실마다 있는 화장실과 병동복도에 있는 장애인 화장실을 제외하고는 화장실이 없기 때문에 보호자들이나 방문객들이 93병동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겪는다.
또 휠체어나 CPM기, 폴대를 넣어두는 곳이 없어 복도 한켠에 놓고 이동커튼으로 쳐놓았는데 빈방이 부족하기 때문에 해놓은 방법이지만 외관상 깔끔해보이지 않았다.
Daily log 5.
8. 7. 금요일
다리에 골절이 있거나 수술을 한 환자들이 목발을 많이 사용하는데 오늘은 목발환자의 보행에 관한 교육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목발보행을 하는 환자의 목적
목적
-운동성을 증가 시킨다
-보행을 통해 대상자에게 독립심을 증진시킨다
-다친 다리의 장애를 예방한다
종류, 방법
①네발걸음(four-point gait)-양쪽 다리모두에 체중이 가해진다.오른쪽 목발 왼쪽발 왼쪽 목
발 오른쪽 발의 순서대로 걷는다
②두발걸음(two-point gait)-양쪽 다리에 모두 힘을 가해지나 four-point gait보다 속도가 빠르다. 오른쪽 목발과 왼발이 동시에 전진하고 그다음 왼쪽 목발과 오른쪽 발이 동시에 나아간다
③세발걸음(three-point gait)-한쪽 다리에만 힘이 가해진다. 다른 쪽 다리는 힘를 견이어
키워드
추천자료
간호관리
간호스트레스관리
간호관리 문제해결과정 보고서
간호관리자의 분류 및 역할
전략적 간호관리 (1) 건강관리조직(예: 병원)이 갖는 특성들을 설명, (2) 학생 여러분들이 실...
간호관리 리더쉽(리더십) 응급실 설명 강화
전략적간호관리 4학년 1학기 과제물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보건의료 시스템을 재구성하게 하는 압력요인을 제시하고 그 세부...
간호관리 - 갈등관리 (사례추가)
간호학 4학년 1학기 전략적 간호관리 레포트
전략적간호관리 레포트
전략적간호관리(2)
전략적 간호관리 1
[2018 전략적간호관리] 전략계획이 무엇인지 설명 (전략계획의 과정 포함) 하고, 의료조직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