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뇨의 발생 원인과 현상 및 영향과 대책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엘니뇨의 어원 및 정의

2. 엘니뇨의 영향

3. 엘니뇨의 현상

4. 엘니뇨 발생 원인

5. 엘니뇨 대책 방안

본문내용

EL-NINO SOUTHHERN OSCILLATION(ENSO", John L. Daily,
http://www.vision.net.au/~daily/elnino.htm)
엘니뇨 대책 방안
과거 82∼83년에 걸쳐 엘니뇨현상이 발달했던 당시 페루는 GNP의 12%가량이 감소하는 등 농업·수산업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을 입었으며 미국은 83년 여름에 가뭄으로 수백명이 더위로 사망하고, 가축과 농작물의 피해등 열대지역에 위치한 나라들은 농산물의 피해를 입었던 것을 감안할 때, 결코 방심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지구촌 세계 곳곳에서는 이상기상을 초래하는 엘니뇨 현상에 대해 대처 방안을 모색중에 있다.
엘니뇨가 거의 절정에 달할때까지 예측을 하지 못했던 82∼83년 엘니뇨 때와는 달리 그간의 노력으로 선진국의 엘니뇨감시와 예측능력은 상당히 발전된 수준이다.
선진국들은 엘니뇨의 발달을 미리 예측하여 경각심을 일깨우고 예기치 않은 자연재해를 줄이기 위하여 농업·수산업을 비롯한 각종 산업에 홍보를 게을리 하지 않고, 엘니뇨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산불등에 의한 생태계의 파괴는 회복하는데 최소 50년이상이 걸린다고 한다. 인도네시아와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하여 우리나라도 기상청 전문가 5인과 학계인사 3인으로 "엘니뇨 대책반"을 구성했으며, 미국 국제 기후예측연구소 등과 연계해 대책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또한 관련부처들과 함께 엘니뇨 워크샵을 개최하여 보다 내실있는 대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며, 엘니뇨 및 기후변화에 대한 범정부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4.07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