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니냐가 온다, 과학동아, 동아사이언스
기지개 켜는 ‘라니냐’한겨울 강추위 몰고 올까, 시사저널
민경덕(2001), 대기환경과학, 시그마프레스
마이클 그랜츠 작, 오재호·권원태 역(2002), 엘리뇨와 라니냐 기후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아르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가 주변 어족이 집단 폐사할 수도 있다고 지적하였다. 라니냐도 엘리뇨와 마찬가지로 현재로선 발생과정은 물론 활동주기와 기상에 미치는 영향 등이 대부분 뚜렷이 규명이 되지 않아서 대책마련이 쉽지 않다고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다. 단지 해수면 온도가 변한 것만으로도 광범위하게 전 세계에 걸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보면 나비의 날갯짓과 엘니뇨와 라니냐를 비유해서 생각해도 맞지 않을까?
그리고 또 다른 시각에서 생각해보면 어떤 특정 이상기후 현상이 꼭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냐년에 발생하는 태풍의 수는 375개로 연평균 31.3개, 엘니뇨년에 발생하는 태풍의 수는 492개로 연평균 27.3개, 평년에 발생하는 태풍의 수는 795개로 연평균 26.5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라니냐년의 태풍 발생 수는 엘니뇨년의 태풍발생 수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라니냐
① 라니냐 상태는 열대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대기 바람의 대규모 변화의 특징적인 현상이다.
② 동태평양을 가로지르는 대기 하층에서의 편동풍(동에서 서로)의 증가와 열대 동태평양의 대류권계면 부근의 대기 상층에서의 편서풍(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