첸카이거 장예모 문화대혁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첸카이거 장예모 문화대혁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첸카이거(陳기歌1952.8.12~)
2. 장예모(張藝謨, 1950~)
3. 제5세대 감독의 선봉장인 첸 카이거
4. 첸카이거 장예모 문화대혁명 논평
5. 장예모, 첸카이거, 5세대

본문내용

제5세대 영화라 불리는 새로운 경향의 영화들이 등장하였다. 천카이거[陳凱歌] 감독의 《황토지(黃土地)》(1984)를 비롯하여 《대열병(大列兵)》(1986), 우톈밍[吳天明] 감독의 《인생(人生)》(1984), 황젠신[黃建新] 감독의 《흑포사건(黑砲事件)》(1985), 장이머우[張藝謀] 감독의 《붉은 수수밭[紅高粱]》(1987), 톈좡좡[田壯壯] 감독의 《도마적(盜馬賊)》(1984) 등이 그 대표작이다.
이 영화들의 특징은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중국의 역사와 민중의 삶에 대한 성찰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90년대에 들어와 중국영화는 셰페이[謝飛] 감독의 《향혼녀(香魂女)》(1993년 베를린영화제 금곰상), 천카이게 감독의 《패왕별희(覇王別姬)》(1994년 칸영화제 파르므도르상), 톈좡좡 감독의 《푸른 연》(1993년 도쿄영화제 그랑프리), 장이머우 감독의 《산다》(1994년 칸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등 활기찬 활동을 하였다.
5. 장예모, 첸카이거, 5세대
1) 5세대
5세대 감독은 쉽게 말하면 북경 영화학교 78학번들이다.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1966년 휴교령에 들어갔던 북경 영화학교가 등소평의 개혁 정책에 힘입어 1978년 다시 문을 열게 됐고 82년 졸업생들을 일컬어 5세대 감독이라 한다. 5세대 감독에는 천 카이꺼(陳凱歌), 장예모(張藝謨), 티엔 주왕주왕(田壯壯), 장 준자오(張軍劒)등이 있다. \'제 5세대\'의 출연을 알린 영화는 천 카이꺼의 <황토지>이며 문혁 이후 최초로 해외 영화제에서 찬사와 주목을 받은 영화다. 문혁시기에 그들은 \'하방\'체험을 통해 중국 민중이 생활을 생생하게 보고 느꼈으며 공산 이념의 허구성을 절실히 깨닫게 됐다. 그 때문에 5세대 영화들은 한결같이 혁명 후의 사회 현실을 직시하고 과거를 반성고, 역사적인 상황에 의해 좌절되는 인간상, 여성 지위 향상 문제, 세대간의 갈등, 사고방식의 변화, 그리고 그 변화의 절실한 필요성 등을 나타냈다. 광선과 색채의 독특한 도입도 이 세대 감독들의 특징이다. 이 세대는 지난 세대들이 무의식적으로 따랐던 영화적 관행과 인습들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과 비판을 가한다.
2) 첸카이거
첸 카이거는 중국의 역사와 개인의 삶을 대비 또는 투영하면서 중국인의 과거와 현재를 다각도로 조명하며 특히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심을 표현하면서 우화적, 직관적, 철학적인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그는 상징을 이용해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있지만, 단지 그가 경험한 시대적 변화를 영화 속에 진실하게 담아내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그의 초기작품 <황토지><대열병><해자왕>이 자신의 실체험을 근거로 한 지난 과거에 대한 반성을 뜻하는 작품이었다면 4년여의 공백 기간을 가진 이후의 작품인 <현 위의 인생>이나 <패왕별희>는 현재의 보편적 중국인에 대한 잊혀지고 지워져 버린 주체성 회복을 위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3) 장예모
<황토지> <대열병> <노정> 등 대표적인 제5세대 영화들에서 촬영감독을 맡아 충격적인 영상미학을 보여주었던 장예모는 <붉은 수수밭>으로 감독에 데뷔했다. 그는 특히 인간의 욕망을 자연스럽게 분출하며 여성의 심리 묘사에 탁월하다. 여성에 대한 관점은 제5세대 중 장예모가 가장 진보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의 영화에서 나타나는 여성 이미지는 힘있고 독자적이고 강한 존재로 부각된다. 그의 영상은 강렬한 색채와 자연광 사용으로 뛰어난 사실성과 극적 효과를 주며 제5세대 중 가장 유머감각이 뛰어난 사실적 이야기 구성을 보여준다. <국두> <홍등> <귀주이야기> 등 장예모 작품의 내러티브 구조는 중국적이기 보다는 서구적 취향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4.08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