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자연주의\', 칭찬의 뜻으로 \'사실주의\'란 말을 쓰는 사람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 자연주의는 과학적 방법을 더하여 사실주의를 더욱 철저화 시킨 것이다. 사실주의의 초연한 중립적 태도에 어떤 특수한 인간관을 부과하는 것이 자연주의의 근본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자연주의자들은 사실주의의 근본취지를 갈고 다듬고 강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자연주의를 사실주의와는 달리 하나의 분명한 교리로 만들어 준 중요한 새로운 요소들을 부과한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자연주의는 사실주의보다 더욱 구체적이며 동시에 더욱 한정적이다. 즉, 자연주의는 분명한 이론과 분명한 유파와 분명한 실천을 갖춘 하나의 문학운동인 것이다. 하나의 유파와 하나의 방법이라는 점에서 자연주의는 사실주의와 다르다.
사실주의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으로 끝나지만 자연주의는 관찰하는 그것으로 끝나지 않고 과학자와 똑같은 입장에서 모든 현실을 실험대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의사가 인간을 해부하는 것과 똑같은 태도로 인간 사회를 해부한다. 또한 사실주의가 감각적인 데 반하여 자연주의는 실험적이다. 자연주의는 생물학이 사용하는 방법을 작품에 사용한다. 졸라의 <실험 소설론>이나 <연극에 있어서의 자연주의>는 그러한 방법에 의해 씌어진 것이다. 사실주의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그려내는 그것으로 끝나기 때문에 어떠한 통일성이 없는데 반하여 자연주의는 과학자와 똑같은 태도로 모든 현실을 해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한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실주의는 허무 같은 것으로 기울어지기 쉽고 자연주의는 어떤 이상 같은 것을 꿈꾸게 된다.
http://100.naver.com/100.php?id=131723
http://blog.naver.com/reportblog/60015707692
http://www.chungdong.or.kr/middroom/ksh/munhak/realism.htm
http://cafe.naver.com/dahang/3581
유윤열, 희소전공영어개론서, 도서출판 열린교육, 2001
김의락, 미국문학과 현대미국소설,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8
김성곤, 미국문학과 작각들의 초상, 서울대하교출판부, 1993
조오지 퍼킨스 와 바버러 퍼킨스, 미국문학의 전통, 한신문화사, 1997
현광식과 백낙승, 미국문학사, 대학출판사, 1997
유희태, 영미문학 문제집, 박문각, 2002
그러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는 분명히 차이가 있다. 자연주의는 과학적 방법을 더하여 사실주의를 더욱 철저화 시킨 것이다. 사실주의의 초연한 중립적 태도에 어떤 특수한 인간관을 부과하는 것이 자연주의의 근본을 이루고 있다. 그리하여 자연주의자들은 사실주의의 근본취지를 갈고 다듬고 강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자연주의를 사실주의와는 달리 하나의 분명한 교리로 만들어 준 중요한 새로운 요소들을 부과한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자연주의는 사실주의보다 더욱 구체적이며 동시에 더욱 한정적이다. 즉, 자연주의는 분명한 이론과 분명한 유파와 분명한 실천을 갖춘 하나의 문학운동인 것이다. 하나의 유파와 하나의 방법이라는 점에서 자연주의는 사실주의와 다르다.
사실주의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으로 끝나지만 자연주의는 관찰하는 그것으로 끝나지 않고 과학자와 똑같은 입장에서 모든 현실을 실험대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의사가 인간을 해부하는 것과 똑같은 태도로 인간 사회를 해부한다. 또한 사실주의가 감각적인 데 반하여 자연주의는 실험적이다. 자연주의는 생물학이 사용하는 방법을 작품에 사용한다. 졸라의 <실험 소설론>이나 <연극에 있어서의 자연주의>는 그러한 방법에 의해 씌어진 것이다. 사실주의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그려내는 그것으로 끝나기 때문에 어떠한 통일성이 없는데 반하여 자연주의는 과학자와 똑같은 태도로 모든 현실을 해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한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실주의는 허무 같은 것으로 기울어지기 쉽고 자연주의는 어떤 이상 같은 것을 꿈꾸게 된다.
http://100.naver.com/100.php?id=131723
http://blog.naver.com/reportblog/60015707692
http://www.chungdong.or.kr/middroom/ksh/munhak/realism.htm
http://cafe.naver.com/dahang/3581
유윤열, 희소전공영어개론서, 도서출판 열린교육, 2001
김의락, 미국문학과 현대미국소설,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98
김성곤, 미국문학과 작각들의 초상, 서울대하교출판부, 1993
조오지 퍼킨스 와 바버러 퍼킨스, 미국문학의 전통, 한신문화사, 1997
현광식과 백낙승, 미국문학사, 대학출판사, 1997
유희태, 영미문학 문제집, 박문각,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