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식품소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능성 식품소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기능성 식품의 배경

1.2 기능성식품의 정의

1.3 건강식품 및 기능성식품의 현황

2. 기능성 지질소재의 종류와 생산

2.1 기능성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종류와 기능

2.2 미생물에 의한 감마리놀렌산 (GLA)의 생산

2.3 EPA 및 DHA의 생산

3. 장내균총 개선소재의 탐색 및 평가

3.1 장내균총의 생리적 역할과 조절

3.2 유효 소재의 in vitro 검색

3.3 유효소재의 in vivo 평가

4. 당뇨조절 식품소재의 탐색 및 평가

4.1 유효소재의 in vitro 검색방법

4.2 실험동물을 이용한 평가방법

4.3 인체의 혈당 및 혈당지수 (glycemic index)측정

4.4 주요곡류의 혈당반응

4.5 당뇨환자의 혈당조절 평가

5. 결 론

본문내용

바와 같이 이들 추출물들은 대조구에 비해 Bifidobacteria의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유해균인 Clostridia의 균수는 대체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표 9. 원지, 양파 및 쑥의 추출물이 흰쥐에 장내균총변화에 미치는 영향(22)
Treatment
No. of bacterial counts
Total anaerobe
Bifidobacteria
Lactobacilli
Clostridia
E. coli
Control
9.5±0.6
6.7±0.6
8.6±0.8
6.1±0.3
7.8±0.9
5% Polygalae
10.2±0.1
8.2±0.6
10.0±0.6
6.3±0.2
8.3±1.1
5% Onion
9.6±0.3
7.9±0.6
7.4±1.1
6.3±0.4
7.8±0.8
10% Onion
9.7±0.1
8.5±0.5
8.8×1.2
6.0±0.3
6.7±0.4
5% Mugwort
9.4±0.1
8.1±0.3
8.4±0.8
6.1±0.1
6.6±0.8
10% Mugwort
8.7±0.6
7.4±0.4
5.9±0.4
5.2±0.6
7.5±1.1
3.3.3 돼지를 이용한 실험결과
Fructo-올리고당을 포함한 이눌린이 주요성분인 돼지감자의 분말을 자돈사료에 2.5~5%량 첨가하여 40일간 사양시킨 결과 돼지의 설사를 일으키는 E. coli를 포함하는 장내 유해균인 Enterobacteriaceae는 투여전에 비하여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역시 유해균인 Clostridium 속균은 투여후 관찰되지 않았다(표 10). 그러나 유산균인 Streptococcus 및 Lactobacillus는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돼지감자의 투여가 장내 균총변화에 유리한 개선작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24). 이러한 결과는 돼지사료에 설사방지등의 목적으로 첨가하는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표 10. 돼지감자의 섭취가 자돈의 장내균총에 미치는 영향
Microorganisms
Control
Treatment(2.5%)
Treatment(5.0%)
Enterobacteriaceae
6.13±0.72a
6.70±0.93
5.64±1.21
Salmonella
3.10±0.00
-b
3.10±0.59
Streptococcus
8.89±0.39
8.56±1.00
9.14±0.29
Lactobacillus
8.39±0.68
8.62±0.42
8.52±0.72
Clostridium
-
-
-
Total count
9.04±0.41
9.07±0.34
9.31±0.34
a: Mean ±SD of log10 sounts of bacteria/g of feces
b: negative
4. 당뇨조절 식품소재의 탐색 및 평가
식생활 및 생활양식이 변화하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당뇨환자는 계속 증가하여 현재 국내 총인구의 3~5%인 130만~200만 명에 달하고 이중 80% 이상이 인슐린 비의존형 (Non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제2형 당뇨병) 환자로서 인슐린은 생성되지만 포도당이 세포에서 효율적으로 처리되지 못하기 때문에 발병하고 따라서 인슐린은 보충할 필요가 없고 주로 식이요법을 통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방법이 필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국내에는 아직도 주식으로 섭취하는 식품이나 식이소재 또는 식단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용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의 연구실에서는 국내에서 생산, 소비되고 있는 주요 곡류 및 두류 등의 섭취가 혈당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4.1 유효소재의 in vitro 검색방법
제2형 당뇨의 경우 식후 전분이 소화, 흡수되어 혈당이 급격하게 너무 높아지는 것이 문제이므로 소화액에 의한 전분의 가수분해를 어느 정도 완만하게 일어나도록 억제시킬 수 있다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각종 시료의 전분량을 일정하게 취한 다음 pepsin을 처리한후 α-amylase를 처리하여 전분의 가수분해를 실시하여 유리된 glucose를 측정하여 시료의 종류에 따른 가수분해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옥수수 전분이나 쌀전분에 평가하려는 시료의 일정량을 첨가한 다음 가수분해를 실시하여 이들 첨가한 시료가 가수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혈당상승을 억제시키는 시료를 검색하였다.
4.2 실험동물을 이용한 평가방법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 모델동물로서는 흰쥐에 Strepozotocin등을 복강으로 주사하여 인슐린을 생산할 수 없는 당뇨병 쥐를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인슐린 비의존형 모델동물로서는 실험동물 전문 육종기관에서 분양 받아 실험에 사용할 수 있는 데 이때 혈당량 변화, 혈장 인슐린 농도변화, 내당능의 변화 등을 측정하여 형질이 실험목적에 적합한 수준으로 판단되어야만 이용할 수 있다. 4~6주간 사양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안와정맥층에서 채혈하여 혈당량을 측정할 수 있고 사양이 끝난 후에는 혈장중 각종 지질성분과 함께 총당화혈색소 (total glycated homoglobin) 함량 등을 분석하여 혈당조절 능력을 평가하였다.
4.3 인체의 혈당 및 혈당지수 (glycemic index)측정
정상인 및 제2형 당뇨환자 모두 실험대상자들은 12시간 동안 절식한 다음 공복상태로 손끝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측정한 후 당질 50g이 함유된 식이를 섭취시킨 다음 15, 30, 60, 90, 120분에 손끝에서 계속 채혈하여 혈당 측정계를 반복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 실험대상자들은 사전 조사에 의하여 일정한 범위내에서 안정적으로 변화하는 사람들만 선별하여야 한다. 혈당변화는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로 표시하였는데 이는 Jenkins등(25)이 제시한 바와 같이 50g glucose 섭취후 2시간 동안의 혈당반응면적과 실험식이 섭취후의 혈당반응면적을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4.4 주요곡류의 혈당반응
메밀, 메조, 멥쌀, 찹쌀, 보리, 율무, 차수수, 차조, 현미멥쌀, 현미찹쌀을 정상성인에게 섭취시킨 후 혈당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표 11과 같이 glucose가 100일

키워드

기능성,   식품,   당뇨,   혈당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4.08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