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0자 자원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800자 자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象形]
甲文字에서 立은 사람이 팔을 벌리고 땅위에 서 있는 모양을 본떴다. 이런 자형에서 \'서다\'의 뜻이 나왔다.
#. (ㅁ)
* 馬(말 마)
말 馬는 말의 모양을 본뜬 글자[象形]
甲文字에서 馬는 말의 머리와 등 그리고 다리 및 꼬리 등의 옆모양을 본떴다. 이런 자형에서 \'말\'의 뜻이 나왔다.
* 麻(삼 마, 저릴 마, 깨 마)
삼 麻는 집과 삼 자라는 모양의 뜻을 결합한 글자[會意]
金文字에서 麻는 삼대를 잘라 집에서 삶아 껍질을 벗기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삼\'의 뜻이 나왔다.
* 磨(갈 마, 연자방아 마)
갈 磨는 삼 마(麻)의 음 및 뜻과 돌[石]의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小篆字에서 磨는 삼껍질을 빨아서 부드럽게 하듯이 돌을 갈아 매끈하게 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갈다\'의 뜻이 나왔다.
* 莫(없을 막, 저물 모, 아닐 막)
저물 莫는 풀과 해의 뜻을 결합한 글자[會意]
甲文字에서 莫는 해가 풀 속으로 떨어 지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저물다\'의 뜻이 나왔다. 후에 가차되어 \'없다\'의 뜻으로 쓰였으며, 다시 막(莫)자에 해(日)를 추가하여 저물다(暮)의 뜻을 나타냈다.
* 幕(막 막, 덮을 막, 가릴 막)
장막 幕은 저물 막(莫)의 음 및 뜻과 천[巾]의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甲文字에서 幕은 날이 저물때 해가 풀속에 가려지듯 천으로 해를 덮어 가리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장막\',\'덮다\'의 뜻이 나왔다.
* 漠(사막 막, 아득할 막)
사막 漠은 물[水]의 뜻과 없을 막(莫)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小篆字에서 漠은 강우량이 적고 물이 증발하여 없어진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사막\'의 뜻이 나왔다.
* 萬(일만 만, 전갈 만, 벌 만)
일만 萬은 독침을 가진 곤충의 모양을 본뜬 글자[象形]
甲文字에서 萬은 두 개의 팔, 머리, 몸, 그리고 꼬리에 독침이 있는 \'곤충\'을 본떴다. 이런 자형에서 \'전갈\', \'벌\'의 뜻이 나왔으나, 후에 가차되어 \'만\'이란 숫자의 단위로 쓰인다.
* 晩(늦을 만, 저물 만, 저녁 만)
저물 晩은 해[日]의 뜻과 면할 면(免)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小篆字에서 晩은 토끼가 꼬리를 감추듯 해가 서산으로 져서 사방이 캄캄해진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저물다\'의 뜻이 나왔다.
* 滿(찰 만, 가득할 만)
가득할 滿은 물의 뜻과 평평할 만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小篆字에서 滿은 물이 그릇에 넘쳐 흘러 평평한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가득하다\'의 뜻이 나왔다.
* 漫(질펀할 만, 부질없을 만, 흩어질 만)
질펀할 漫은 물의 뜻과 터질 만(曼)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小篆字에서 漫은 물이 넘쳐 멀리까지 질펀하게 흐르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질펀하다\'의 뜻이 나왔다.
* 慢(게으를 만, 거만할 만, 느릴 만)
게으를 慢은 마음의 뜻과 길게 끌 만(曼)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小篆字에서 慢은 마음이 나태하고 몸이 늘어진 상태를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게으르다\'의 뜻이 나왔다.
* 末(끝 말, 마칠 말, 덜 말)
끝 末은 나무 끝을 가리킨 글자 [指事]
金文字에서 末은 한그루 나무의 끝을 가리켰다. 이런 자형에서 나무 \'끝\'의 뜻이 나왔다.
* 亡(망할 망, 잃을 망, 달아날 망)
망할 亡은 사람과 숨는다의 뜻을 결합한 글자 [會意]
甲文字에서 亡은 사람이 잘못되어 숨어서 지내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망하다\', \'잃다\'의 뜻이 나왔다.
* 忙(바쁠 망, 애탈 망)
바쁠 忙은 마음의 뜻과 잃을 망(亡)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小篆字에서 忙은 마음을 잃을 정도로 분주한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바쁘다\'의 뜻이 나왔다.
* 忘(잊을 망, 잃어버릴 망)
잊을 忘은 없을 망(亡)의 음 및 뜻과 마음[心]의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金文字에서 忘은 마음속의 생각이 떠나서 없어져 버린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잊다\'의 뜻이 나왔다.
* 望(바랄 망, 우러러볼 망)
바랄 望은 없을 망(亡)의 음 및 뜻과 달[月] 그리고 우뚝서다의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金文字에서 望은 신하가 임금을 바라보는 것과 같이 달을 우러러 보는 것을 나타냈으며, 小篆字에서는 길 떠난 사람이 돌아오기를 달보녀 기다리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바라다\'의 뜻이 나왔다.
* 茫(아득할 망, 망망할 망, 빠를 망)
망망할 茫은 풀[艸]과 물[水]의 뜻 그리고 없을 망(亡)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隸書字에서 茫은 초목이 물결처럼 아득하여 끝이 없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망망하다\', \'아득하다\'의 뜻이 나왔다.
* 妄(망령될 망, 속일 망)
망녕될 妄은 잃을 망(亡)의 음 및 뜻과 여자[女]의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金文字에서 妄은 여자가 예법을 잃어 버리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망령되다\'의 뜻이 나왔다.
* 罔(그물 망, 없을 망, 속일 망)
없을 罔은 그물의 뜻과 잃을 망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甲文字에서 罔은 그물 모양을 나타냈으나, 小篆字에서는 그물에 걸렸던 고기가 도망가서 없어진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없다\'의 뜻이 나왔다.
* 每(매양 매, 각각 매, 우거질 매)
매양 每는 풀싹의 뜻과 어미모의 음 및 뜻이 결합한 글자[形聲]
甲文字에서 每는 어미포기에서 새로운 싹이 무성하게 돋아나는 것과 母의 이체자로 여자가 머리에 장식을 꾸민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우거지다\'의 뜻이 나왔으나, 후에 전성되어 \'매양\'의 뜻으로 쓰인다.
* 買(살 매)
살 買는 그물 망의 음 및 뜻과 조개[貝]의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甲文字에서 買는 돈으로 산 물건을 망태기에 넣은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사다\'의 뜻이 나왔다.
* 賣(팔 매, 퍼뜨릴 매)
팔 賣는 나오다와 사다의 뜻을 결합한 글자[會意]
金文字에서 賣는 사둔 물건을 다시 내 놓아 재화를 취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런 자형에서 \'팔다\'의 뜻이 나왔다.
* 妹(누이 매)
누이 妹는 여자[女]의 뜻과 아닐 미(未)의 음 및 뜻을 결합한 글자[形聲]
甲文字에서 妹는 아직 나이가 적고 성숙하지 않은 여자를 나타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200
  • 페이지수156페이지
  • 등록일2010.04.0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