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마이 셀프 앤 아이린(Me, Myself Irene) 통한 정신분석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 마이 셀프 앤 아이린(Me, Myself Irene) 통한 정신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정신 착란성 편집증

Ⅲ. 자아도취성 발작증

Ⅳ. 영화 속 주인공 분석

Ⅴ. 결론

본문내용

평 불만하는 찰리를 바보처럼 대한다. 오히려 악마에 가까운 정신분열증에 걸린 행크는 약간의 폭력성은 갖추고 있지만 코미디라는 특성상 전혀 문제시 되지 않게 넘어가고 있다. 영화에서 행크는 결단력 있고 자기할말을 하는 등 찰리와는 대조적으로 진정한 나처럼 관람객들에게 다가온다.
다시 정상인 찰리로 돌아온 찰리는 처음에 착하기만 한 찰리가 아니다. 변해진 찰리는 행크의 모습을 너무나 많이 닮아서 자기의 의사를 확실히 표현할 줄도 알고 예전처럼 화를 삭히고 있지는 않다. 여기서 감독은 무엇을 말하려고 했던 것일까? 분명 감독은 찰리와 행크 중 어떤 것이 진정한 나이라는 결론을 내리지는 않는다. 다만 변해진 찰리의 모습에서 정상과 비정상의 구분은 무의미하고 그 사이의 확실한 벽은 없음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