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과 전통 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과 전통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옥의 특징

1) 한옥은 기단이 높다.

2) 한옥은 처마가 깊다.

3) 곡선의 조화

4) 담장의 조화

5) 자연과의 조화

6) 한옥에는 인격이 있다.

본문내용

옥의 우수성과 미는 이미 세계의 건축가들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 언젠가 접했던 이야기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 이야기를 소개하자면 외국의 유명한 건축가가 서울을 방문하면서 두 번 놀랐다고 한다. 첫 번째는 경복궁을 둘러보면서 자연과 가장 잘 어울리는 건출물이 한국에 있다는 것과 두 번째는 서울을 돌아보면서 그렇게 멋진 건축문화를 가진 나라의 도시가 온통 콘크리트 숲이라는 사실에 또 한 번 놀랐다고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개발 도상국이었던 우리나라는 우수한 건축문화를 잠시 잊고 우선 쉬운대로 모래와 시멘트를 비벼 올려 회색 도시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의 우수한 전통을 계승 발전할 때이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말들을 한다. 한옥의 구조와 멋에는 주택문화에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는 비밀들이 숨겨져 있다. 수 백년이 지나도 튼튼히 서있는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은 수명이 몇 십 년밖에 안되는 콘크리트 건물과는 비교할 수 없는 내구성을 지니고 있다. 용마루와 추녀 및 서까래의 곡선의 아름다움은 직선과 삼각형으로 지은 서양 건축물이 도저히 따라올 수 없는 멋이다. 적절히 냉난방의 조화를 이룬 온돌과 마루의 구조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모습이다. 사계절의 자연을 거스르기 보다는 순응과 함께 더위와 추위를 이겨내는 지혜를 담고 있다. 온돌의 우수성은 보일러의 편리성에서는 떨어질지 모르지만 기능면에서 그 어떤 난방보다 뛰어나다. 하루의 피곤함을 잊고 다음날 일터에 가뿐히 갈 수 있는 온돌의 장점은 달구워진 구들과 황토 바닥은 밤새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여 사람의 몸을 최상의 컨디션으로 만들어준다.
근래에 들어 새집 증후군 등 현대의 건물들이 사람에게 주는 폐해가 들어나고 있다. 건강한 집. 쾌적한 집은 이 시대를 사는 모든 사람들이 갖는 소망이다. 이러한 집은 화려하고 멋있게 지어진 강철 콘크리트 집이 아니라 생태적 순환의 틀이 살아있는 집일 것이다. 자연에서 온 재료를 자연스럽게 쓰고 자연으로 돌려보낼 수 있는 한옥이야말로 우리의 환경을 지키고 건강을 지키는, 자연과 건축의 이상적인 결합이 이루어진 살아있는 가옥이지 않을까? 이제는 사람의 건강과 수명을 생각하며 조상의 슬기가 스며있는 한옥을 통해 새로운 건축문화를 창조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세계는 개성 있는 민족 문화가 자기 특성을 뽐내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산업 사회의 무거운 틀을 벗으며 문화 경쟁 시대로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한국 건축계가 진흥하려면 개성 넘치는 한옥을 앞장서서 세워야 한다. 김치된장불고기를 먹으면 한식이라 부른다. 바지저고리치마를 입으면 한복이라 부른다. 구들이 있고 마루가 있는 집이면 한옥이라 부른다. 다른 나라서 볼 수 없는 의식주를 우리는 한식, 한복, 한옥이라 하고 우리의 글을 한글이라 한다. 이들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조선조의 그것과 오늘날의 그것은 다르다. 한옥이 우리의 정신과 전통을 담고 있는 그릇이라면 결국 한옥이라는 것도 문화와 전통이라는 흐름 속에서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새롭게 변화 시켜 나가야겠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