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심리학의 소개
2. 사회생활과 자기
3. 인상형성과 귀인
4. 사회생활 속의 추론과 판단
5. 태도와 태도변화
6. 사람들 간의 교류와 사랑
7. 인간의 공격성
8. 사회적 갈등과 친사회적 행위
9. 집단 속의 개인
2. 사회생활과 자기
3. 인상형성과 귀인
4. 사회생활 속의 추론과 판단
5. 태도와 태도변화
6. 사람들 간의 교류와 사랑
7. 인간의 공격성
8. 사회적 갈등과 친사회적 행위
9. 집단 속의 개인
본문내용
ation) : 익명성(anony)
- 집단속에 있을 때 - 익명성증가, 주의강도(attention) 감소, 평가우려 감소
- 실험 - 다리 위에 올라가서 죽겠다고 엄포 → 사람들이 모인다.
낮 : 그냥 웅성 된다.
밤 : 30분 지나도 안 뛰니깐.. 집에 간다고 뛰어내려라~~(어두워서 누가 소리 지르는지 모를 거니깐)
- KKK단 실험 - 백인우월주의자가 유색인종에게 린치 하는 집단, 복장은 눈만 뚫린 하얀 천
A집단 : KKK단 복장 → B집단에 비해 훨씬 강한 전기충격 가함
B집단 : 평상 복장
● 동조(Conformity)
- 혼자 있으면 하지 않는데, 타인의 영향을 받아서(타인과 함께 있으면) 행동을 하게 됨
- Sherif의 실험 - 자동운동현상(Autokinesis Phenomena)실험
A상황 : 암실에서 광점(점)을 쏜다. → 광점을 계속 보세요. → 점은 움직이지 않는데,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이거가 자동운동현상)
1차실험 후 → 점이 얼마나 움직였나요?A : 7CmB : 25~40Cm
2차실험 후 → 점이 얼마나 움직였나요?A : 7CmB : 25Cm
3차실험 후 → 점이 얼마나 움직였나요?A : 7CmB : 15Cm
B는 A에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 실제로 B는 정확하게 얼마나 움직였는지 모른다.
- 정보가 명확하지 않을 때,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동조하려는 경향성이 있다.
- Solomon Asch의 실험(1955) - 6사람이 앉아있고 슬라이드를 보여줌
A와 같은 길이의 선분을 B에서 찾으세요.나는 6번.. 1번이 3번, 2번도 3번, 3번도 3번, 4번도 3번..
정답은 물론 2번 5번도 3번.. 나(6번)도.. 3번을 말하게 된다.
정보가 명확한 경우에도 동조하게 된다.
Why? 사회적 인정, 수용을 받으려는 욕구
Why? 이탈에의 두려움
*집단의 응집성이나 집단의 크기에 따라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준다.
- 집단의 크기와 동조
실험실에서 : 3~4명일 때 동조현상 가장 많이 일어남
Milgram의 실험 : 뉴욕 맨해튼 거리에서 한 사람이 서서 하늘을 보고 있을 때, 지나가는 사람들이 얼
마나 하늘은 쳐다보나 실험/ 수가 점차 늘어나니깐, 쳐다보고 가는 사람 증가
Mann의 실험 : 버스 기다리는 사람이 몇 명일 때, 줄을 많이 설까? → 6명 정도일 때
Why? 지각적 장의 문제임, 실험실에서 3~4명은 매우 큰 느낌 But, 열린 장소에서는 적게 느껴짐
● 복종(Compliance)
- 동조는 아주 직접적인 강요를 하지 않음, 복종은 아주 직접적으로 강요를 함
이거 해, 안 하면, 죽어..ㅡ_ㅡ;;
- Milgram의 복종실험 - A는 피험자, B는 협조자/ A에게 처벌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이라고 하고
B에게 문제를 내서 못 맞히면, 전기쇼크를 주라고 시킴
전기쇼크는 약함에서 죽을 만큼 강함까지 다양..(실재로는 전기쇼크가 가지 않음, 연기하는 것)
점차로 전기쇼크가 강해짐. 실험자(흰 가운을 입고 권위자 같은..)가 더 강하게 하라고 시킴
A는 실험자가 더 권위 있어 보일수록 더 복종을 함, 실험자가 내가 책임집니다 라고 하면 더 잘함
12월 4일
● Milgram의 복종의 조건
- 피해자와의 (정서적)거리
- 권위 있는 인물
- 기관의 권위가 있으면 더 복종을 한다.
- 복종 이탈자↑면, 이탈자가 더 늘어나고, 복종의 양은 급격하게 줄어든다.
● 집단 간 교류
- 집단과 집단 간의 교류
ex) 남자와 여자/ 백인과 흑인
- 집단적대감 - 편견(감정), 고정관념(인지), 차별대우(행동)로 구성된다.
태도는 감정, 인지,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집단적대감도 똑같다.
고정관념 : 여러 가지 생각들/ 편견 : 감정적 요소/ 차별대우 : 행동적 요소
ex) 직장에서 여성이 있다. 나는 여성에 대한 집단적대감이 있다.
고정관념 : 여자들은 일이 있어도 집안일이 우선일거야.
편견 : 그래서 난 여자가 싫어
차별대우 : 여자한테는 보너스 더 적게 줘.
- 현실에 근거 - 집단적대감은 현실에 근거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상호작용상황을 생각하고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게 된다.
XX야 → 적대감↑간 행동 → 역시나!!
● 편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다.
- 편견에 대한 유형 - 집단갈등이론/ 사회적 학습이론/ 인지이론/ 심리역학이론
- 집단갈등이론
현실적 집단갈등이론 - 실질적인 재원의 차이 때문에 서로 한정된 재원으로 차지하려고 해서 경쟁상태가
생겨서 갈등이 증가/ 밀리는 쪽(피해를 더 많이 받은 쪽)이 더 많이 느낀다.
상대적 박탈감 - 가진자와 못가진자/ 못가진자가 편견을 더 많이 가짐
- 사회적 학습 - 사회화를 통해 형성/ 집단에 속해서 그 집단 속에서 사회화를 받아왔음
- 인지이론 - 자기와 다른, 특출한 현상, 자극에 대해 왜곡되게 생각한다.
범주화 시킨다.(청일점, 홍일점)
- 심리역학 이론 - 편견은 개인의 내적동기에 의해 발생
권위주의적인 성격 : 지배적 아버지, 처벌적 어머니에게서 발달된다. 상대방을 억압하려함
● 어떻게 편견을 감소시킬 것인가?
- 태도 변화와 비슷하다.
- 초기 사회화과정에서 편견을 가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 교육수준이 높으면 편견이 적다고 함
긍정적 해석 : 교육을 받으면서 편견이 잘못된 것이구나! 라는 것을 접할 기회가 많다.
부정적 해석 : 교육을 많이 받으면 사회적 바람직성이 높다(편견이 있으나, 공개적으로 말하지 않는 것).
- 직접적 접촉 - 편견 집단에 대해 직접적 접촉을 하면, 편견이 감소할 수 있다.
Allport의 연구 : 단순히 접촉하면 역으로 편견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단서가 필요하다.
동일한 Status 필요(수준, 지위)
공동적 작업을 한다면 결과가 성공적이어야 한다.
친밀한 접촉이 이루어졌을 때
동등한 기회보장 필요
*In-group의 구성원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시나요?
친구집단은 Clique(4~5명, Social Skill을 길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rowd(정체감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가 그 집단에 들어가고 싶어 해서 들어가지는
것이 아니다)
In-group이 부정적이 되면..
집단이탈
비교대상변경
비교준거의 변화
개혁
- 집단속에 있을 때 - 익명성증가, 주의강도(attention) 감소, 평가우려 감소
- 실험 - 다리 위에 올라가서 죽겠다고 엄포 → 사람들이 모인다.
낮 : 그냥 웅성 된다.
밤 : 30분 지나도 안 뛰니깐.. 집에 간다고 뛰어내려라~~(어두워서 누가 소리 지르는지 모를 거니깐)
- KKK단 실험 - 백인우월주의자가 유색인종에게 린치 하는 집단, 복장은 눈만 뚫린 하얀 천
A집단 : KKK단 복장 → B집단에 비해 훨씬 강한 전기충격 가함
B집단 : 평상 복장
● 동조(Conformity)
- 혼자 있으면 하지 않는데, 타인의 영향을 받아서(타인과 함께 있으면) 행동을 하게 됨
- Sherif의 실험 - 자동운동현상(Autokinesis Phenomena)실험
A상황 : 암실에서 광점(점)을 쏜다. → 광점을 계속 보세요. → 점은 움직이지 않는데,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이거가 자동운동현상)
1차실험 후 → 점이 얼마나 움직였나요?A : 7CmB : 25~40Cm
2차실험 후 → 점이 얼마나 움직였나요?A : 7CmB : 25Cm
3차실험 후 → 점이 얼마나 움직였나요?A : 7CmB : 15Cm
B는 A에 점차 가까워지고 있다. 실제로 B는 정확하게 얼마나 움직였는지 모른다.
- 정보가 명확하지 않을 때,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동조하려는 경향성이 있다.
- Solomon Asch의 실험(1955) - 6사람이 앉아있고 슬라이드를 보여줌
A와 같은 길이의 선분을 B에서 찾으세요.나는 6번.. 1번이 3번, 2번도 3번, 3번도 3번, 4번도 3번..
정답은 물론 2번 5번도 3번.. 나(6번)도.. 3번을 말하게 된다.
정보가 명확한 경우에도 동조하게 된다.
Why? 사회적 인정, 수용을 받으려는 욕구
Why? 이탈에의 두려움
*집단의 응집성이나 집단의 크기에 따라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준다.
- 집단의 크기와 동조
실험실에서 : 3~4명일 때 동조현상 가장 많이 일어남
Milgram의 실험 : 뉴욕 맨해튼 거리에서 한 사람이 서서 하늘을 보고 있을 때, 지나가는 사람들이 얼
마나 하늘은 쳐다보나 실험/ 수가 점차 늘어나니깐, 쳐다보고 가는 사람 증가
Mann의 실험 : 버스 기다리는 사람이 몇 명일 때, 줄을 많이 설까? → 6명 정도일 때
Why? 지각적 장의 문제임, 실험실에서 3~4명은 매우 큰 느낌 But, 열린 장소에서는 적게 느껴짐
● 복종(Compliance)
- 동조는 아주 직접적인 강요를 하지 않음, 복종은 아주 직접적으로 강요를 함
이거 해, 안 하면, 죽어..ㅡ_ㅡ;;
- Milgram의 복종실험 - A는 피험자, B는 협조자/ A에게 처벌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이라고 하고
B에게 문제를 내서 못 맞히면, 전기쇼크를 주라고 시킴
전기쇼크는 약함에서 죽을 만큼 강함까지 다양..(실재로는 전기쇼크가 가지 않음, 연기하는 것)
점차로 전기쇼크가 강해짐. 실험자(흰 가운을 입고 권위자 같은..)가 더 강하게 하라고 시킴
A는 실험자가 더 권위 있어 보일수록 더 복종을 함, 실험자가 내가 책임집니다 라고 하면 더 잘함
12월 4일
● Milgram의 복종의 조건
- 피해자와의 (정서적)거리
- 권위 있는 인물
- 기관의 권위가 있으면 더 복종을 한다.
- 복종 이탈자↑면, 이탈자가 더 늘어나고, 복종의 양은 급격하게 줄어든다.
● 집단 간 교류
- 집단과 집단 간의 교류
ex) 남자와 여자/ 백인과 흑인
- 집단적대감 - 편견(감정), 고정관념(인지), 차별대우(행동)로 구성된다.
태도는 감정, 인지,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집단적대감도 똑같다.
고정관념 : 여러 가지 생각들/ 편견 : 감정적 요소/ 차별대우 : 행동적 요소
ex) 직장에서 여성이 있다. 나는 여성에 대한 집단적대감이 있다.
고정관념 : 여자들은 일이 있어도 집안일이 우선일거야.
편견 : 그래서 난 여자가 싫어
차별대우 : 여자한테는 보너스 더 적게 줘.
- 현실에 근거 - 집단적대감은 현실에 근거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상호작용상황을 생각하고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게 된다.
XX야 → 적대감↑간 행동 → 역시나!!
● 편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다.
- 편견에 대한 유형 - 집단갈등이론/ 사회적 학습이론/ 인지이론/ 심리역학이론
- 집단갈등이론
현실적 집단갈등이론 - 실질적인 재원의 차이 때문에 서로 한정된 재원으로 차지하려고 해서 경쟁상태가
생겨서 갈등이 증가/ 밀리는 쪽(피해를 더 많이 받은 쪽)이 더 많이 느낀다.
상대적 박탈감 - 가진자와 못가진자/ 못가진자가 편견을 더 많이 가짐
- 사회적 학습 - 사회화를 통해 형성/ 집단에 속해서 그 집단 속에서 사회화를 받아왔음
- 인지이론 - 자기와 다른, 특출한 현상, 자극에 대해 왜곡되게 생각한다.
범주화 시킨다.(청일점, 홍일점)
- 심리역학 이론 - 편견은 개인의 내적동기에 의해 발생
권위주의적인 성격 : 지배적 아버지, 처벌적 어머니에게서 발달된다. 상대방을 억압하려함
● 어떻게 편견을 감소시킬 것인가?
- 태도 변화와 비슷하다.
- 초기 사회화과정에서 편견을 가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 교육수준이 높으면 편견이 적다고 함
긍정적 해석 : 교육을 받으면서 편견이 잘못된 것이구나! 라는 것을 접할 기회가 많다.
부정적 해석 : 교육을 많이 받으면 사회적 바람직성이 높다(편견이 있으나, 공개적으로 말하지 않는 것).
- 직접적 접촉 - 편견 집단에 대해 직접적 접촉을 하면, 편견이 감소할 수 있다.
Allport의 연구 : 단순히 접촉하면 역으로 편견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단서가 필요하다.
동일한 Status 필요(수준, 지위)
공동적 작업을 한다면 결과가 성공적이어야 한다.
친밀한 접촉이 이루어졌을 때
동등한 기회보장 필요
*In-group의 구성원들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시나요?
친구집단은 Clique(4~5명, Social Skill을 길러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rowd(정체감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가 그 집단에 들어가고 싶어 해서 들어가지는
것이 아니다)
In-group이 부정적이 되면..
집단이탈
비교대상변경
비교준거의 변화
개혁
추천자료
[심리학] 사회영향(사회적영향) social influence 의 이해 2007.4
이상심리학, 불안 및 정신지체적 장애, 정동장애와 정신분열증,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장애
[심리학] 성격형성에 대한 사회학습이론과 정신분석이론
[긍정심리학] 주관적 행복의 이해 -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
심리학개론-발달과 학습에 대한 개념정의를 하고, 인지사회 및 정서발달에 대해 설명
에릭슨의 자아심리학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한 발달단계의 특성과 사회복지실천의 과제를 본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성격심리학이론 - 융, 스키...
노년기 (노인의 정의, 개념, 노년기의 정의, 노년기의 생물학적 체계, 노화이론, 노년기의 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본주의 성격이론 (人本主義性格理論)≫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기본 ...
정신분석이론과 분석심리학을 비교 분석하고 장단점을 기술한 후 이론을 사회복지 실천과정에...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
(방통대 생활과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