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요작품
2.평가
3.작품세계와 분석
4.연대기
5.시해석
2.평가
3.작품세계와 분석
4.연대기
5.시해석
본문내용
Enoch Arden〉
인기는 절정.
이 시는 이녹이 사랑하는 아내 애니를 위하여 모든 것을 희생하는 숭고한 사랑을 그림.
새로운 아서 왕 전설류의 〈목가〉
1869년 〈성배와 그외 시들 The Holy Grail, and Other Poems〉로 출판
테니슨은 시극에 대한 생각(1874년)
1875년 〈메리 여왕 Queen Mary〉⇒ 요약판으로 1876년 라이시움에서 상연.
구분
내용
해럴드 Harold (1876, 공연 1877)
베케트 Becket (1884)
5월의 약속 The Promise of May(\'시골 비극‘)
5월의 약속 공연은 실패(1882년 11월 글로브)
그의 유일한 산문 작품
이 극은 당대의 종교적도덕적정치적 성향에 대한 테니슨의 점증하는 낙담과 분노를 보여줌.
이미 〈나인틴스 센추리 The Nineteenth Century〉(1881. 11)에 〈낙담 Despair〉이라는 시를
발표해 물의를 일으킴.
⇒ 그 시로 인해 스윈번의 모방시와 수많은 논설강의강론이 나왔다.
후기의 테니슨의 신념에 대한 좀더 적극적인 입장
〈티레시아스 외(外) Tiresias and Other Poems〉(1885)에 출간
〈옛 현인 The Ancient Sage〉에 나타남.
여기에서 시인은 전생과 후생에 대한 암시적인 느낌을 기록
1884년 테니슨은 어느 정도 망설인 끝에 귀족작위를 받아들임.
1886년 주로 근대의 퇴폐에 대한 힐책으로 이루짐.
초기시에서 보여준 필연적인 인간 진보에 대한 믿음을 철회했던
〈60년 후의 록슬리 홀 Locksley Hall Sixty Years After〉이 들어 있는 새 시집을 출간.
⇒ 그당시 유행했던 진보적 사상에 대한 도전으로 글래드스턴
1887년 1월 〈나인틴스 센추리〉에 반박하는 글을 씀.
1889년 〈장벽을 넘어 Crossing the Bar〉라는 유명한 단시를 씀.
테니슨은 와이트 섬으로 가는 도중
1889년 〈드미터 외 Demeter and Other Poems〉를 출간
〈봄의 경과 The Progress of Spring〉의 도입부로 훨씬 일찍 씌어졌고 재발견된 훌륭한
서정시 〈메리 보일에게 To Mary Boyle〉와, 그의 시작 생활의 우화적 결산인 〈멀린과 섬광 Merlin and the Gleam〉이 들어 있다.
1892년 희곡 〈포레스터스 The Foresters〉가 뉴욕 시에서 성공적공연.
<이논의 죽음, 아크바의 꿈 외 The Death of Oenone, Akbar\'s Dream, and Other Poems〉의 교열을 볼 수 .있음
건강 악화되었으나 마지막 시집
한시인의 죽음
1892년 8월 (83세)가 된 테니슨 : 건강 악화
10월 6일 :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그의 정신상태는 수정처럼 맑았다고 함.
숨을 거두는 그날까지 세익스피어의 심벨린을 읽고 크게 즐거워 하였다고 전해짐.
웨스턴민스터 대사원(Westminster Abbey)의 ‘시인들의 묘역’에 그의
절친한 친구 브라우닝 옆에 안장됨
평 가
테니슨에 대한 현대적 평가
〈율리시스〉의 지속적인 위대성, 서정시들의 독특한 예리함, 무엇보다도 빅토리아 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시로서의 〈인 메모리엄〉의 지위 등을 인정하면서 시작되었다.
테니슨 작품의 현실적희극적인 면은 현대에 와서 더욱 각광받고 있음.
<모래톱을 넘어>나 <담장 틈바귀에 핀 한송이 꽃 Flower in the Crannied Wall>
그의 위대성의 근원을 이루는, 인생의 신비에 대한 경외감은 지난 세기의 독자들과 마찬가지로 20세기의 독자들에게도 감동을 주고 있다. 비록 테니슨의 작품들이 빅토리아 시대의 전성기 보다는 덜 기억되고 있다 하더라도, 남아 있는 그의 작품들은 쉽사리 잊혀지지 않을 것 같다.
Break Break Break ;부서져라 부서져라 부서져라
이 시는 간접적인 대상들을 통하여 - 암초와 암초를 향해 돌진하는 바다,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외침과 망중한을 즐기는 젊은 수부, 당당하게 항해하는 배들- 친구의 죽음으로 인한 결정적인 부재, 친구에 대한 그리움과 자신의 고립에 대한 심중을 노래하고 있다.
체구의 당당함에 비해 몹시 수줍음을 타던 그에게 Cambridge시절의 교우관계는 큰 힘이 되었다. 그 중에도 Arthur Hallam은 흉금이 통하는 친구로 나중에 누이동생과 약혼하게 된다. 그러나 1983년 대륙 여행을 하던 중 22세의 나이로 아까운 생을 마감하였다. 이 슬픔은 그가 14년간 읊은 장편시「In Memoriam」에 잘 나타나 있고, Break, Break, Break에서도 친구 잃은 애통함을 파도가 부서지듯이 아프도록 분출해내고 있다. 친구의 무덤이 있는 Bristol해협에서 읊은 시가 아닌가 싶다.
Break, break, break,
부서져라, 부서져라, 부서져라
On thy cold gray stones, O Sea!
그대의 차디찬 회색 바위 위에, 오 바다여!
And I would that my tongue could utter
내 혀로 말할 수 있었으면 좋은련만.
The thoughts that arise in me.
내 속에서 잠깨어 일어나는 생각들을.
O, well for the fisherman\'s boy,
오, 어부의 아들은 좋겠구나,
That he shouts with his sister at play!
놀면서 누이와 소리지르니!
O, well for the sailor lad,
오, 젊은 수부(水夫)는 좋겠구나,
That he sings in his boat on the bay!
바다 위 그의 배에서 노래 부르니!
And the stately ships go on
당당한 배들도 언덕아래
To their haven under the hill;
그들의 안식처로 항해하는데;
But O for the touch of a vanish\'d hand,
오 사라진 손의 감촉이여,
And the sound of a voice that is still!
소리없는 목소리여!
Break, break, break
부서져라, 부서져라, 부서져라
At the foot of thy crags, O Sea!
그대의 벼랑 기
인기는 절정.
이 시는 이녹이 사랑하는 아내 애니를 위하여 모든 것을 희생하는 숭고한 사랑을 그림.
새로운 아서 왕 전설류의 〈목가〉
1869년 〈성배와 그외 시들 The Holy Grail, and Other Poems〉로 출판
테니슨은 시극에 대한 생각(1874년)
1875년 〈메리 여왕 Queen Mary〉⇒ 요약판으로 1876년 라이시움에서 상연.
구분
내용
해럴드 Harold (1876, 공연 1877)
베케트 Becket (1884)
5월의 약속 The Promise of May(\'시골 비극‘)
5월의 약속 공연은 실패(1882년 11월 글로브)
그의 유일한 산문 작품
이 극은 당대의 종교적도덕적정치적 성향에 대한 테니슨의 점증하는 낙담과 분노를 보여줌.
이미 〈나인틴스 센추리 The Nineteenth Century〉(1881. 11)에 〈낙담 Despair〉이라는 시를
발표해 물의를 일으킴.
⇒ 그 시로 인해 스윈번의 모방시와 수많은 논설강의강론이 나왔다.
후기의 테니슨의 신념에 대한 좀더 적극적인 입장
〈티레시아스 외(外) Tiresias and Other Poems〉(1885)에 출간
〈옛 현인 The Ancient Sage〉에 나타남.
여기에서 시인은 전생과 후생에 대한 암시적인 느낌을 기록
1884년 테니슨은 어느 정도 망설인 끝에 귀족작위를 받아들임.
1886년 주로 근대의 퇴폐에 대한 힐책으로 이루짐.
초기시에서 보여준 필연적인 인간 진보에 대한 믿음을 철회했던
〈60년 후의 록슬리 홀 Locksley Hall Sixty Years After〉이 들어 있는 새 시집을 출간.
⇒ 그당시 유행했던 진보적 사상에 대한 도전으로 글래드스턴
1887년 1월 〈나인틴스 센추리〉에 반박하는 글을 씀.
1889년 〈장벽을 넘어 Crossing the Bar〉라는 유명한 단시를 씀.
테니슨은 와이트 섬으로 가는 도중
1889년 〈드미터 외 Demeter and Other Poems〉를 출간
〈봄의 경과 The Progress of Spring〉의 도입부로 훨씬 일찍 씌어졌고 재발견된 훌륭한
서정시 〈메리 보일에게 To Mary Boyle〉와, 그의 시작 생활의 우화적 결산인 〈멀린과 섬광 Merlin and the Gleam〉이 들어 있다.
1892년 희곡 〈포레스터스 The Foresters〉가 뉴욕 시에서 성공적공연.
<이논의 죽음, 아크바의 꿈 외 The Death of Oenone, Akbar\'s Dream, and Other Poems〉의 교열을 볼 수 .있음
건강 악화되었으나 마지막 시집
한시인의 죽음
1892년 8월 (83세)가 된 테니슨 : 건강 악화
10월 6일 :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그의 정신상태는 수정처럼 맑았다고 함.
숨을 거두는 그날까지 세익스피어의 심벨린을 읽고 크게 즐거워 하였다고 전해짐.
웨스턴민스터 대사원(Westminster Abbey)의 ‘시인들의 묘역’에 그의
절친한 친구 브라우닝 옆에 안장됨
평 가
테니슨에 대한 현대적 평가
〈율리시스〉의 지속적인 위대성, 서정시들의 독특한 예리함, 무엇보다도 빅토리아 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시로서의 〈인 메모리엄〉의 지위 등을 인정하면서 시작되었다.
테니슨 작품의 현실적희극적인 면은 현대에 와서 더욱 각광받고 있음.
<모래톱을 넘어>나 <담장 틈바귀에 핀 한송이 꽃 Flower in the Crannied Wall>
그의 위대성의 근원을 이루는, 인생의 신비에 대한 경외감은 지난 세기의 독자들과 마찬가지로 20세기의 독자들에게도 감동을 주고 있다. 비록 테니슨의 작품들이 빅토리아 시대의 전성기 보다는 덜 기억되고 있다 하더라도, 남아 있는 그의 작품들은 쉽사리 잊혀지지 않을 것 같다.
Break Break Break ;부서져라 부서져라 부서져라
이 시는 간접적인 대상들을 통하여 - 암초와 암초를 향해 돌진하는 바다,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외침과 망중한을 즐기는 젊은 수부, 당당하게 항해하는 배들- 친구의 죽음으로 인한 결정적인 부재, 친구에 대한 그리움과 자신의 고립에 대한 심중을 노래하고 있다.
체구의 당당함에 비해 몹시 수줍음을 타던 그에게 Cambridge시절의 교우관계는 큰 힘이 되었다. 그 중에도 Arthur Hallam은 흉금이 통하는 친구로 나중에 누이동생과 약혼하게 된다. 그러나 1983년 대륙 여행을 하던 중 22세의 나이로 아까운 생을 마감하였다. 이 슬픔은 그가 14년간 읊은 장편시「In Memoriam」에 잘 나타나 있고, Break, Break, Break에서도 친구 잃은 애통함을 파도가 부서지듯이 아프도록 분출해내고 있다. 친구의 무덤이 있는 Bristol해협에서 읊은 시가 아닌가 싶다.
Break, break, break,
부서져라, 부서져라, 부서져라
On thy cold gray stones, O Sea!
그대의 차디찬 회색 바위 위에, 오 바다여!
And I would that my tongue could utter
내 혀로 말할 수 있었으면 좋은련만.
The thoughts that arise in me.
내 속에서 잠깨어 일어나는 생각들을.
O, well for the fisherman\'s boy,
오, 어부의 아들은 좋겠구나,
That he shouts with his sister at play!
놀면서 누이와 소리지르니!
O, well for the sailor lad,
오, 젊은 수부(水夫)는 좋겠구나,
That he sings in his boat on the bay!
바다 위 그의 배에서 노래 부르니!
And the stately ships go on
당당한 배들도 언덕아래
To their haven under the hill;
그들의 안식처로 항해하는데;
But O for the touch of a vanish\'d hand,
오 사라진 손의 감촉이여,
And the sound of a voice that is still!
소리없는 목소리여!
Break, break, break
부서져라, 부서져라, 부서져라
At the foot of thy crags, O Sea!
그대의 벼랑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