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Emotion(Affect, Mood)
Memory
Intelligence
Judgement
Defence Mechanism
Stream of thought
Content of thought
Perception
Memory
Intelligence
Judgement
Defence Mechanism
Stream of thought
Content of thought
Perception
본문내용
ce(연관)
-Irrelevance(무연관): 상대방의 질문내용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는 대답 즉, 동문서답 식 의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
6. Coherence(수미일치)
-Incoherence(수미불일치, 지리멸렬): 사고의 논리성이 없어 말의 앞, 뒤가 맞지 않고 일 관성이 없음. 횡성수설, 지리멸렬의 극심한 상태는 말비빔.(word salad)
7. Verbigeration(음송증): 언어의 상동증으로 의미가 없는 말의 지속적인 반복.
-Word salad(말비빔)
8. Perseverance(보속증): 화제를 바꾸려는 노력과 새로운 자극에도 불구하고 떠올랐던 생 각이 계속 떠올라 사고의 진행이 제자리에서 맴돌고 더 이상 진 전이 되지 않는 정신 병리적 현상.
9. Neologism(신어조작증): 자신에게는 특별한 의미가 있으나 듣는 이에게는 의미가 없는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내는 현상.
Content of thought(사고의 내용의 장애)
1. Delusion(망상): 이유나 논리로서 교정되어질 수 없고, 그 사람의 교육정도나 환경에 조 화되지 않는 논리적으로 그릇된 믿음. 논리로서 교정이 불가능하다.
- Delusions of grandeur(과대망상)
- Delusions of persecution(피해망상)
- Ideas of Referance(관계망상)
- Passivity (ideas of control) (조정망상: 조종망상)
2. Hypochondria(건강염려증): 신체기증의 세부에 대한 병적인 집착과 신체적 과도한 걱정, 염려를 포함하며, 조직의 손상 없이 질병이 있다는 신념을 갖는 신체형 장애.
3. Preoccupations and obsessions(강박사고): 의식내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강화한 관 념, 사고, 정서, 충동, 원하지 않으나 의식으로부터 수의적으로 배제할 수 없는 생각.
-Phobia(공포): 과도한 불안과 관련된 병적인 두려움.
4. Depersonalization(이인증): 자신에 대한 비현실감과 소외감을 느낌. 타인으로부터 자신 을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비현실성과 이방인 같은 감정 을 느끼고 전체적 혹은 부분적 자아의 분리와 자아개념의 비 조직화와 분열을 경험한다.
Perception(지각, 인지)
:외부로부터 들어온 감각자극을 과거의 경험과 결부시켜 조직화하고 해석해서 그 외부자극과 자신과의 관례를 이해하는 능력.
1. Hallucination(환각): 외부의 자극이 없음에도 마치 실제의 자극이 있는 것처럼 지각되는 현상.
-Auditory H. (환청)
-Visual H. (환시)
-Olfactory H. (환후)
-If of taste tactile or haptic H. (환촉)
-Hypnogagic H. (입면시환각)
-Pseudo H.(가성환각)
-Kinesthetic or psychomotor H. (운동환각)
-Ideas of passivity or influence.
2. Illusions(착각): 실제로 받아들여진 외부자극이 해석 과정에서 잘못 판단되어지는 현상.
-Irrelevance(무연관): 상대방의 질문내용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는 대답 즉, 동문서답 식 의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
6. Coherence(수미일치)
-Incoherence(수미불일치, 지리멸렬): 사고의 논리성이 없어 말의 앞, 뒤가 맞지 않고 일 관성이 없음. 횡성수설, 지리멸렬의 극심한 상태는 말비빔.(word salad)
7. Verbigeration(음송증): 언어의 상동증으로 의미가 없는 말의 지속적인 반복.
-Word salad(말비빔)
8. Perseverance(보속증): 화제를 바꾸려는 노력과 새로운 자극에도 불구하고 떠올랐던 생 각이 계속 떠올라 사고의 진행이 제자리에서 맴돌고 더 이상 진 전이 되지 않는 정신 병리적 현상.
9. Neologism(신어조작증): 자신에게는 특별한 의미가 있으나 듣는 이에게는 의미가 없는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내는 현상.
Content of thought(사고의 내용의 장애)
1. Delusion(망상): 이유나 논리로서 교정되어질 수 없고, 그 사람의 교육정도나 환경에 조 화되지 않는 논리적으로 그릇된 믿음. 논리로서 교정이 불가능하다.
- Delusions of grandeur(과대망상)
- Delusions of persecution(피해망상)
- Ideas of Referance(관계망상)
- Passivity (ideas of control) (조정망상: 조종망상)
2. Hypochondria(건강염려증): 신체기증의 세부에 대한 병적인 집착과 신체적 과도한 걱정, 염려를 포함하며, 조직의 손상 없이 질병이 있다는 신념을 갖는 신체형 장애.
3. Preoccupations and obsessions(강박사고): 의식내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강화한 관 념, 사고, 정서, 충동, 원하지 않으나 의식으로부터 수의적으로 배제할 수 없는 생각.
-Phobia(공포): 과도한 불안과 관련된 병적인 두려움.
4. Depersonalization(이인증): 자신에 대한 비현실감과 소외감을 느낌. 타인으로부터 자신 을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비현실성과 이방인 같은 감정 을 느끼고 전체적 혹은 부분적 자아의 분리와 자아개념의 비 조직화와 분열을 경험한다.
Perception(지각, 인지)
:외부로부터 들어온 감각자극을 과거의 경험과 결부시켜 조직화하고 해석해서 그 외부자극과 자신과의 관례를 이해하는 능력.
1. Hallucination(환각): 외부의 자극이 없음에도 마치 실제의 자극이 있는 것처럼 지각되는 현상.
-Auditory H. (환청)
-Visual H. (환시)
-Olfactory H. (환후)
-If of taste tactile or haptic H. (환촉)
-Hypnogagic H. (입면시환각)
-Pseudo H.(가성환각)
-Kinesthetic or psychomotor H. (운동환각)
-Ideas of passivity or influence.
2. Illusions(착각): 실제로 받아들여진 외부자극이 해석 과정에서 잘못 판단되어지는 현상.
추천자료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ADHD)에 대해
[정신간호사]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인간특성과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정신간...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이해와 사회복...
우울증 정신간호학 컨퍼런스
최근 아동청소년들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진단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자신의...
최근 아동청소년들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이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도 비슷한 ...
[CASE STUDY] 정신간호학 알콜중독 케이스 스터디 - 알콜중독 대상자에 관련된 사례연구보고서
(특수아교육A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 개념, 원인, 특성, 판별및평가방법, 교육방안-...
정신(건강)간호의 기본개념 1 정신건강간호학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 정신...
정신건강증진, 위기간호, 정신질환예방, 위기중재, 위기간호사정, 정신건강증진모형, 정신건...
정신사회재활, 정신사회재활모형, 정신사회재활목적, 정신사회재활원칙, 정신사회재활간호과...
[정신과실습] Schizophrenia(정신분열병) 케이스, 케이스정신과, 정신간호, 간호과정, 케이스...
특수아교육B형 2017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원인,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