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원
학습 내용
시간수
지도방법
참고사항 및 준비물
시간
차시
3-1.
지구의
모양과 크기
(1) 지구가 둥근 증거는 무엇 일까?
지구가 둥근 여러 가지 증거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1
1/8
지구의 모양에 관한 세계관의 변천을 이해한다.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이해한다.
이미지 자료
PPT
동영상자료
(2) 지구의 크기는 어떻게
구할까?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방법을 설명한 후, 농구공의 크기를 측정하는 탐구 활동을 한다.
1
2/8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측정 과정을 이해한다.
직접실험을 통하여 이해를 돕는다.
이미지 자료
PPT
조사 및
조별활동
3-2.
태양계
탐사
(1) 태양은 어떤 별 일까?
망원경의 사용법과 구조 설명한다.
태양의 특징을 설명한다.
1
3/8
망원경의 종류와 구조를 안다.
태양 표면에 나타나는 여러 현상을
이해한다.
태양활동에 의해 지구에서 여러 가지현상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이미지 자료
PPT
동영상자료
1
4/8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수성,금성,화성)의 특징을 이해한다.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의 특징을 이해한다.
태양계를 구성하는 작은 천체(소행성, 혜성)의 특징을 이해한다.
(2) 행성의 특징은 무엇일까?
인터넷 등의 최신자료를 이용하여태양과 행성을 조사하여 특징을 정리하고 설명한다.
이미지 자료
PPT
동영상자료
Ⅱ. 진단
▶ 대상학급 2학년 1반
재적 인원: 36명
검사 인원: 36
1. 학습실태분석(36명)
(1) 교과취미
국어
영어
수학
체육
음악
미술
사회
기가
한문
과학
계
유취미
5
4
3
5
6
5
2
1
2
2
35
무취미
3
3
6
3
-
2
5
3
5
5
구 분
매우 흥미
흥미
보 통
흥미없음
계
인 원
5
4
17
9
35
(2) 과학 교과 흥미도
구분
5권이상
3~5권
1~2권
없다
계
인원
2
1
7
25
35
(3) 과학 관련 참고도서 보유 현황
(4) 과학 문제 해결 방법
구분
스스로 해결
그냥 넘김
참고서에 의존
친구,선생님께 질문
계
인원
2
24
5
4
35
(5) 결과분석
① 본 학급학생들의 과목 선호도 조사 결과 체육음악미술 등 실습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수학사회과학 등의 선호도가 낮았다.
② 문제 해결 방법으로 비교적 그냥 넘기는 경향이 컸으며, 참고서에 의존하거나 친구나 선생님께 질문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③ 과학 관련 참고도서 보유는 없다고 대답하는 학생들이 거의 전부였으며 1~2권 있다고 말한 학생들도 조금은 되었다.
2. 기초 지식 배양
과학적 지식
1.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다.
2.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평행하다.
수학적 지식
ㅡ 원에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θ)는 호의길이(l)에 비례한다.
360도 : 2ㅠR = θ : l
ㅡ 엇각의 원리
1. 지구의 모양
ⓐ 옛날 사람들 ㅡ 편평하다, 원반형이다, 원통형이다......으로 생각
ⓑ 실제 지구 ㅡ 둥글다. (인공위성에서 봤을때)
ㅡ 적도쪽이 극쪽보다 약간 부푼 구형에 가까운 타원체.
2.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
ⓐ 월식(지구가 달을 가리는 현상) 때 달에 비치는 지구의 그림자 ㅡ 둥글다.
ⓑ 항구로 들어오는 배의 모습 ㅡ 돛대부터 보이기 시작
ⓒ 북극성의 고도 ㅡ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 지표면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사람이 볼수 있는 시야가 넓어진다.
3.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광선이 평행하다.
이유는 지구의 반지름은 약 6400km이므로 지름은 약 12800km이다.
그런데 지구와 태양사이의 거리는 약 1억5천만km입니다.
즉 지구 지름의 약 1만2천배 가까이 됩니다.
비추는 면적(지구의 크기)에 비하여 대단히 먼거리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어떤 물체를 바라봤을째 우리 눈을 중심으로 그 물체(공이라고 가정하면)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의 세 점을 이으면 물체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 사이에는 사잇각이 나타납니다.
그런데 그 사잇각은 물체가 멀리 있을수록 작아지지요.(멀리 있는 물체가 작아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태양
↙↙↓↓↘↘햇빛
ㅡㅡㅡㅡㅡ땅
즉 지표면과 태양 사이의 각도(고도라고 합니다.)는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 수학적 지식
1. 엇각의 원리
* 과학적 지식
일단 엇각의 크기가 같다 했으므로
(파란색 각) = (초록색 각)
또한 맞꼭지각에 의해
(초록색 각) =(빨간색 각)
따라서,
(빨간색 각) = (파란색 각)
그런데 동위각 상에 있다.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면 평행하므로
∴ l // m
2. 중심각과 호의 길이는 비례한다.
만일,
중심각 호의길이 부채꼴의 넓이
30˚ 2 2.5π(파이)
─────────────────────
60˚ ? ?
─────────────────────
120˚ ? ?
─────────────────────
150˚ ? ?
─────────────────────
호의길이와 부채꼴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한다. 이다.
따라서 중심각의 크기가 2배가 되면 나머지것들도 다 2배가 된다.
따라서 60도에 대해서 중심각의 크기가 2배 되므로 호의 길이도 2배가 되야하므로 4 가 나오고, 부채꼴의 넓이도 2배가 되어야 하므로 5π가 나와야 한다.
Ⅲ. 본시 학습 지도안
1. 학습 지도안
과목
과학 2
학과
지구환경과학과
2학년 1반
일시
2006.
05 . 22 .
단원
Ⅲ. 지구와 별 3-1. 지구의 모양과 크기 (2) 지구의 크기는 어떻게 구할까?
학습
목표
1.에라스토테네스의 지구의 측정방법을 이해한다.
2.농구공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다.
단계
학습
흐름도
학습 요항
교 수 학 습 활 동
학습매체
및 활용상 유의점
교 사
학 생
도입
(5‘)
시작
↓
전시
학습
확인
↓
학습
목표
↓
인사하고
출석확인
전시학습
내용확인
학습목표
제시
동기유발
인사 및 출석확인
전시 학습내용을 PPT자료를 보고 간단한
문답을 통하여 확인한다.
학습목표를 다 같이
읽어보게 한다.
준비한 이야기를 해주면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인사하고 대답한다.
지명받은 학생이 대답한다.
준비된 PPT자료를 본다.
학습목표를 확인하고
다 같이 읽는다.
꼭 눈
학습 내용
시간수
지도방법
참고사항 및 준비물
시간
차시
3-1.
지구의
모양과 크기
(1) 지구가 둥근 증거는 무엇 일까?
지구가 둥근 여러 가지 증거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1
1/8
지구의 모양에 관한 세계관의 변천을 이해한다.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하는 여러 가지 현상을 이해한다.
이미지 자료
PPT
동영상자료
(2) 지구의 크기는 어떻게
구할까?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크기 측정방법을 설명한 후, 농구공의 크기를 측정하는 탐구 활동을 한다.
1
2/8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측정 과정을 이해한다.
직접실험을 통하여 이해를 돕는다.
이미지 자료
PPT
조사 및
조별활동
3-2.
태양계
탐사
(1) 태양은 어떤 별 일까?
망원경의 사용법과 구조 설명한다.
태양의 특징을 설명한다.
1
3/8
망원경의 종류와 구조를 안다.
태양 표면에 나타나는 여러 현상을
이해한다.
태양활동에 의해 지구에서 여러 가지현상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이미지 자료
PPT
동영상자료
1
4/8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수성,금성,화성)의 특징을 이해한다.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의 특징을 이해한다.
태양계를 구성하는 작은 천체(소행성, 혜성)의 특징을 이해한다.
(2) 행성의 특징은 무엇일까?
인터넷 등의 최신자료를 이용하여태양과 행성을 조사하여 특징을 정리하고 설명한다.
이미지 자료
PPT
동영상자료
Ⅱ. 진단
▶ 대상학급 2학년 1반
재적 인원: 36명
검사 인원: 36
1. 학습실태분석(36명)
(1) 교과취미
국어
영어
수학
체육
음악
미술
사회
기가
한문
과학
계
유취미
5
4
3
5
6
5
2
1
2
2
35
무취미
3
3
6
3
-
2
5
3
5
5
구 분
매우 흥미
흥미
보 통
흥미없음
계
인 원
5
4
17
9
35
(2) 과학 교과 흥미도
구분
5권이상
3~5권
1~2권
없다
계
인원
2
1
7
25
35
(3) 과학 관련 참고도서 보유 현황
(4) 과학 문제 해결 방법
구분
스스로 해결
그냥 넘김
참고서에 의존
친구,선생님께 질문
계
인원
2
24
5
4
35
(5) 결과분석
① 본 학급학생들의 과목 선호도 조사 결과 체육음악미술 등 실습과목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수학사회과학 등의 선호도가 낮았다.
② 문제 해결 방법으로 비교적 그냥 넘기는 경향이 컸으며, 참고서에 의존하거나 친구나 선생님께 질문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③ 과학 관련 참고도서 보유는 없다고 대답하는 학생들이 거의 전부였으며 1~2권 있다고 말한 학생들도 조금은 되었다.
2. 기초 지식 배양
과학적 지식
1. 지구는 완전한 구형이다.
2.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광선은 평행하다.
수학적 지식
ㅡ 원에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θ)는 호의길이(l)에 비례한다.
360도 : 2ㅠR = θ : l
ㅡ 엇각의 원리
1. 지구의 모양
ⓐ 옛날 사람들 ㅡ 편평하다, 원반형이다, 원통형이다......으로 생각
ⓑ 실제 지구 ㅡ 둥글다. (인공위성에서 봤을때)
ㅡ 적도쪽이 극쪽보다 약간 부푼 구형에 가까운 타원체.
2.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
ⓐ 월식(지구가 달을 가리는 현상) 때 달에 비치는 지구의 그림자 ㅡ 둥글다.
ⓑ 항구로 들어오는 배의 모습 ㅡ 돛대부터 보이기 시작
ⓒ 북극성의 고도 ㅡ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 지표면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사람이 볼수 있는 시야가 넓어진다.
3. 지구에 들어오는 태양광선이 평행하다.
이유는 지구의 반지름은 약 6400km이므로 지름은 약 12800km이다.
그런데 지구와 태양사이의 거리는 약 1억5천만km입니다.
즉 지구 지름의 약 1만2천배 가까이 됩니다.
비추는 면적(지구의 크기)에 비하여 대단히 먼거리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어떤 물체를 바라봤을째 우리 눈을 중심으로 그 물체(공이라고 가정하면)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의 세 점을 이으면 물체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 사이에는 사잇각이 나타납니다.
그런데 그 사잇각은 물체가 멀리 있을수록 작아지지요.(멀리 있는 물체가 작아보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태양
↙↙↓↓↘↘햇빛
ㅡㅡㅡㅡㅡ땅
즉 지표면과 태양 사이의 각도(고도라고 합니다.)는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 수학적 지식
1. 엇각의 원리
* 과학적 지식
일단 엇각의 크기가 같다 했으므로
(파란색 각) = (초록색 각)
또한 맞꼭지각에 의해
(초록색 각) =(빨간색 각)
따라서,
(빨간색 각) = (파란색 각)
그런데 동위각 상에 있다.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면 평행하므로
∴ l // m
2. 중심각과 호의 길이는 비례한다.
만일,
중심각 호의길이 부채꼴의 넓이
30˚ 2 2.5π(파이)
─────────────────────
60˚ ? ?
─────────────────────
120˚ ? ?
─────────────────────
150˚ ? ?
─────────────────────
호의길이와 부채꼴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한다. 이다.
따라서 중심각의 크기가 2배가 되면 나머지것들도 다 2배가 된다.
따라서 60도에 대해서 중심각의 크기가 2배 되므로 호의 길이도 2배가 되야하므로 4 가 나오고, 부채꼴의 넓이도 2배가 되어야 하므로 5π가 나와야 한다.
Ⅲ. 본시 학습 지도안
1. 학습 지도안
과목
과학 2
학과
지구환경과학과
2학년 1반
일시
2006.
05 . 22 .
단원
Ⅲ. 지구와 별 3-1. 지구의 모양과 크기 (2) 지구의 크기는 어떻게 구할까?
학습
목표
1.에라스토테네스의 지구의 측정방법을 이해한다.
2.농구공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다.
단계
학습
흐름도
학습 요항
교 수 학 습 활 동
학습매체
및 활용상 유의점
교 사
학 생
도입
(5‘)
시작
↓
전시
학습
확인
↓
학습
목표
↓
인사하고
출석확인
전시학습
내용확인
학습목표
제시
동기유발
인사 및 출석확인
전시 학습내용을 PPT자료를 보고 간단한
문답을 통하여 확인한다.
학습목표를 다 같이
읽어보게 한다.
준비한 이야기를 해주면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인사하고 대답한다.
지명받은 학생이 대답한다.
준비된 PPT자료를 본다.
학습목표를 확인하고
다 같이 읽는다.
꼭 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