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금융시장의 발달이 통화성 금융기관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러나 비록 통화성 금융기관의 시장점유율이 낮아진다 하여도 그 자산의 절대량은 증가한 다. 즉 금융시장의 발달 및 비통화성 금융기관의 발달은 통화성 금융기관에 불리한 작용을 하지 않는다.
8)금융실명제
한국은 금리규제와 함께 금융의 가명제를 오랫동안 허용하여 왔다. 금융실명제 실시에 대 한 요구는 끈질기게 계속되어 왔다. 드디어 1993년 8월에 금융실명제를 단행하였다. 보안은 잘 지켜졌다. 금융실명제의 목적은 경제의 모습을 이해하고 정책에 이용하는 데 있어서 실 물의 흐름과 함께 자금의 흐름을 정확히 포착한다는 데 있다. 그 하나의 예로 조세의 공정한 실시에 금융실명제가 이용된다.
9)금리자유화 금리자유화 [ 金利自由化 ] : 모든 금융기관이 어떤 규제에 의하여 통일된 금리를 적용하지 않고 각 금융기관이 독자적인 금리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제도로 이행(移行)시키려는 것.
1993년 10월 정부는 금리자유화를 단행했다. 금리자유화 조치는 바로 이때까지 인위적으로 결정되던 이자율을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균형이자율로 복귀시킨다는 것이다.
11.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
1)국제통화
현대에도 국제 통화는 무역의 결과로 생겨났다. 현재 미국의 달러와 영국의 파운드가 주 요 국제통화이다. 그러나 어떤 나라는 아직도 국제거래를 금으로 결제하고, 그 금을 자국 의 은행에 보관하기를 원한다. 이렇게 하여 금은 아직도 화폐의 세계에서 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모여서 유엔에 국제통화기금을 설립하였다. 이 기구는 세계의 중앙은행이라 할 수 있다. 이 기구는 1968년에 국제신용제도를 발족시켰고, 이 제도가 완 전히 궤도에 오르면 사실상 금의 필요성은 없어진다. 금이 화폐로서의 역할을 마침내 내 놓은 자리를 달러가 메우고 있다.
2)국제통화 사이의 그레샴 법칙
40년의 국제통화기금 국제 통화 기금(國際通貨基金) : 국제 금융 기관의 한 가지. 국제 연합의 전문 기관으로 가입국이 자금을 내어 기금(基金)을 만들고, 이의 이용에 의하여 국제 무역의 증대나 통화의 안정을 꾀함. 아이엠에프(IMF).
의 역사는 한마디로 그레샴의 법칙이 잘 적용된 보기 드믄 화폐적 변화라 할 수 있다. 그레샴의 법칙은 하나의 경제사회에 여러 종류의 통화가 존재하고, 이들 통화 사이의 교환비율이 명목적으로 일정하게 묶에 있을 때 통화 사이의 실제가치가 변하면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게 된다는 현상을 말한다.
3)‘브레튼 우즈 체제’로의 출범
1947년 IMF가 브레튼 우즈 체제로 처음 출범하였을 때 그 기본원칙은, 첫째 금을 각국의 통화가치의 기준으로 삼는 금본위제도, 둘째 각국 통화의 교환성을 인정하는 금환본위제 도,셋째 각국 통화의 교환비를 고정시킨 고정환율제도, 넷째 국제수지 적자국이 IMF기금 에서 차입할 수 있는 국제수지 조정제도였다. 브레튼 우즈 체제가 성공적으로 유지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마지막 원칙이 제대로 운용될 수 있는냐에 달려 있었다 할 수 있다. 그 런데 이 마지막 원칙은 소위 국제유통성의 모든 문제와 연결되어 처음부터 제대로 지켜질 수 없었다. 마침내 이 같은 미봉책으로는 더 이상 초기 IMF체제가 지켜질 수 없게 되자, 그레샴 현상의 원천적인 셋째 원칙을 폐기하고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는 킹스턴 체제를 성립하게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4)‘킹스턴 체제’로의 이행을 도운 스미소니안 체제
국제통화를 안정시키기 위한 각국 사이의 협상이 스미소니안 협정이다. 이 협정에서의 환 율체제는 여전히 고정환율체제이지만 잠정적으로 환율변동폭을 전보다 넓게 하는 와이더 마진제를 채택하였다. 스미소니안 체제는 원래의 브레튼 우즈 체제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 고 있으나 금태환의 정지로 사실상 달러본위제가 된 셈이다. 이러한 점에서 뒤에 등장하 는 킹스턴 체제로 이행하는 다리역활을 하고 있다. 스미소니안 협정이후 남은 문제는 변 동환율제를 공식적으로 채택하는 일이었다. 이것은 킹스턴 회의에서 합의되었다. 킹스턴 체제는 변동환율제 변동환율제 [ 變動換率制 ,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 각국 통화의 가치, 즉 환율을 고정하지 않고 시장의 추세에 따라 변동하는 제도.
와 금공정가격의 폐지 이외에 표준 바스켓 방식을 채택하였다.
Ⅲ. 결 론
이렇게 오늘날 돈의 흐름 속에는 한 개인의 모든 정서적, 정신적, 육체적 면면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돈의 흐름을 확대해 들여다보면 사회 구성원들의 미묘한 모습들을 알 수 있게 된다. 돈은 단순한 교환도구 이상이 되었으며 우리의 모든 판단과 삶의 태도 이면에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돈의 흐름이 결부되어 있다고 자신도 모르게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검소하며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다고 방송에 소개된 중소기업 사장이 어느 날 뇌물을 받았다고 뉴스 프로그램에 대서특필되는 경우, 그 사람을 판단하는 우리의 마음속에는 돈이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은 안락한 노후를 위해서, 돈 걱정에서 해방되고 싶은 욕망에 현실의 많은 아름다운 것들을 놓치고 있다. 돈을 벌어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모르고 있는 경우도 많다.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명확히 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돈이 현재 유통되는 양상으로 남아 있는 한, 목적이 애매한 축적과 불리기는 사람들의 의식에서 계속될 것이다. 돈이란 에너지가 유익한 에너지로써 작용하려면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우리는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리고 성공욕구, 육체적 욕망에 돈을 쓰고 자존심, 체면, 개성을 살리기 위해 즉, 자기 만족을 얻기 위해 돈이란 에너지를 사용한다. 한편 사랑과 용서, 동정이라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또한 의지의 실현, 자기 표현을 위해 더 나아가 통찰, 지혜를 통해 돈을 사용하거나 벌어들이며, 영적인 활동을 위해 돈이란 에너지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신의 돈을 보는 관점이 전자인지 후자인지에 따라 삶을 짐으로 보느냐 아니면 선물로 보느냐는 관점으로 크게 구별된다. 자신이 만약 삶을 무겁게 느끼고 있다면 관점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8)금융실명제
한국은 금리규제와 함께 금융의 가명제를 오랫동안 허용하여 왔다. 금융실명제 실시에 대 한 요구는 끈질기게 계속되어 왔다. 드디어 1993년 8월에 금융실명제를 단행하였다. 보안은 잘 지켜졌다. 금융실명제의 목적은 경제의 모습을 이해하고 정책에 이용하는 데 있어서 실 물의 흐름과 함께 자금의 흐름을 정확히 포착한다는 데 있다. 그 하나의 예로 조세의 공정한 실시에 금융실명제가 이용된다.
9)금리자유화 금리자유화 [ 金利自由化 ] : 모든 금융기관이 어떤 규제에 의하여 통일된 금리를 적용하지 않고 각 금융기관이 독자적인 금리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는 제도로 이행(移行)시키려는 것.
1993년 10월 정부는 금리자유화를 단행했다. 금리자유화 조치는 바로 이때까지 인위적으로 결정되던 이자율을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균형이자율로 복귀시킨다는 것이다.
11.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
1)국제통화
현대에도 국제 통화는 무역의 결과로 생겨났다. 현재 미국의 달러와 영국의 파운드가 주 요 국제통화이다. 그러나 어떤 나라는 아직도 국제거래를 금으로 결제하고, 그 금을 자국 의 은행에 보관하기를 원한다. 이렇게 하여 금은 아직도 화폐의 세계에서 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모여서 유엔에 국제통화기금을 설립하였다. 이 기구는 세계의 중앙은행이라 할 수 있다. 이 기구는 1968년에 국제신용제도를 발족시켰고, 이 제도가 완 전히 궤도에 오르면 사실상 금의 필요성은 없어진다. 금이 화폐로서의 역할을 마침내 내 놓은 자리를 달러가 메우고 있다.
2)국제통화 사이의 그레샴 법칙
40년의 국제통화기금 국제 통화 기금(國際通貨基金) : 국제 금융 기관의 한 가지. 국제 연합의 전문 기관으로 가입국이 자금을 내어 기금(基金)을 만들고, 이의 이용에 의하여 국제 무역의 증대나 통화의 안정을 꾀함. 아이엠에프(IMF).
의 역사는 한마디로 그레샴의 법칙이 잘 적용된 보기 드믄 화폐적 변화라 할 수 있다. 그레샴의 법칙은 하나의 경제사회에 여러 종류의 통화가 존재하고, 이들 통화 사이의 교환비율이 명목적으로 일정하게 묶에 있을 때 통화 사이의 실제가치가 변하면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게 된다는 현상을 말한다.
3)‘브레튼 우즈 체제’로의 출범
1947년 IMF가 브레튼 우즈 체제로 처음 출범하였을 때 그 기본원칙은, 첫째 금을 각국의 통화가치의 기준으로 삼는 금본위제도, 둘째 각국 통화의 교환성을 인정하는 금환본위제 도,셋째 각국 통화의 교환비를 고정시킨 고정환율제도, 넷째 국제수지 적자국이 IMF기금 에서 차입할 수 있는 국제수지 조정제도였다. 브레튼 우즈 체제가 성공적으로 유지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마지막 원칙이 제대로 운용될 수 있는냐에 달려 있었다 할 수 있다. 그 런데 이 마지막 원칙은 소위 국제유통성의 모든 문제와 연결되어 처음부터 제대로 지켜질 수 없었다. 마침내 이 같은 미봉책으로는 더 이상 초기 IMF체제가 지켜질 수 없게 되자, 그레샴 현상의 원천적인 셋째 원칙을 폐기하고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는 킹스턴 체제를 성립하게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4)‘킹스턴 체제’로의 이행을 도운 스미소니안 체제
국제통화를 안정시키기 위한 각국 사이의 협상이 스미소니안 협정이다. 이 협정에서의 환 율체제는 여전히 고정환율체제이지만 잠정적으로 환율변동폭을 전보다 넓게 하는 와이더 마진제를 채택하였다. 스미소니안 체제는 원래의 브레튼 우즈 체제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 고 있으나 금태환의 정지로 사실상 달러본위제가 된 셈이다. 이러한 점에서 뒤에 등장하 는 킹스턴 체제로 이행하는 다리역활을 하고 있다. 스미소니안 협정이후 남은 문제는 변 동환율제를 공식적으로 채택하는 일이었다. 이것은 킹스턴 회의에서 합의되었다. 킹스턴 체제는 변동환율제 변동환율제 [ 變動換率制 ,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 각국 통화의 가치, 즉 환율을 고정하지 않고 시장의 추세에 따라 변동하는 제도.
와 금공정가격의 폐지 이외에 표준 바스켓 방식을 채택하였다.
Ⅲ. 결 론
이렇게 오늘날 돈의 흐름 속에는 한 개인의 모든 정서적, 정신적, 육체적 면면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돈의 흐름을 확대해 들여다보면 사회 구성원들의 미묘한 모습들을 알 수 있게 된다. 돈은 단순한 교환도구 이상이 되었으며 우리의 모든 판단과 삶의 태도 이면에는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돈의 흐름이 결부되어 있다고 자신도 모르게 생각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검소하며 성공적인 삶을 살고 있다고 방송에 소개된 중소기업 사장이 어느 날 뇌물을 받았다고 뉴스 프로그램에 대서특필되는 경우, 그 사람을 판단하는 우리의 마음속에는 돈이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람들은 안락한 노후를 위해서, 돈 걱정에서 해방되고 싶은 욕망에 현실의 많은 아름다운 것들을 놓치고 있다. 돈을 벌어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모르고 있는 경우도 많다. 무엇을 할 것인가를 명확히 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돈이 현재 유통되는 양상으로 남아 있는 한, 목적이 애매한 축적과 불리기는 사람들의 의식에서 계속될 것이다. 돈이란 에너지가 유익한 에너지로써 작용하려면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우리는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리고 성공욕구, 육체적 욕망에 돈을 쓰고 자존심, 체면, 개성을 살리기 위해 즉, 자기 만족을 얻기 위해 돈이란 에너지를 사용한다. 한편 사랑과 용서, 동정이라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또한 의지의 실현, 자기 표현을 위해 더 나아가 통찰, 지혜를 통해 돈을 사용하거나 벌어들이며, 영적인 활동을 위해 돈이란 에너지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신의 돈을 보는 관점이 전자인지 후자인지에 따라 삶을 짐으로 보느냐 아니면 선물로 보느냐는 관점으로 크게 구별된다. 자신이 만약 삶을 무겁게 느끼고 있다면 관점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추천자료
21C 미래 직업(유망직업)
아담 스미스 <국부론 상권>
<무역실무>구상무역
상업의 과거와 미래에 대하여
시장경제의 역사
사람들은 왜 돈 때문에 살인을 하는가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직업]직업의 개념, 중요성과 의의, 성격, 변화하는 직업 세계와 직업 선택, 산업구조의 변화...
미시경제학, 더 넓은 지평을 향하여(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 구조주의 경제학, 스라피언 경...
국제 무역 발전 역사, 발전 과정, 국제무역 이론의 발전, 중상주의, 중농주의, 고전학파무역...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해석
[국제경영]구상무역의 종류와 한국의 기업들이 구상무역을 하고 있는 사례에 대해 작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