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1.ISO 9000 개요
2.ISO 9001 개요
3.ISO 14000 개요
4.ISO 14001 개요
5.ISO 22000 개요
2.ISO 9001 개요
3.ISO 14000 개요
4.ISO 14001 개요
5.ISO 22000 개요
본문내용
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 선진국들은 소비자의 식품안전 기대수준이 급상승함에 따라 식품안전관리의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과거의 품목별, 유통단계별로 다원화 된 행정과 법체계를 탈피하고 보다 효율적인 식품안전
관리체계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전개
- 정부의 '식품안전기본법' 제정 등 식품안전관리체계가 강화되고 있으나, 조직 및 인력여건상 정부주도의 감시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정부는 안전한 식품생산 기반구축을 위한 지도 및 육성 사업에 주력하고, 동시에 민간 자율에 의한 'ISO 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템)' 도입 및 정착을 통한 자율적 식품안전관리체계 구축이 시급
- * 식품안전관련 정부부처 : 복지부(식약청), 농림부, 해양수산부 등 8개
- * 관련 법령 : 식품위생법, 축산물가공처리법, 수산물품질관리법 등 24종
순서
HACCP
ISO 22000
1
정부 주도 중심 + 민간
민간 주도
2
규제중심
정부중심의 강제성/민간의 자율성
고객만족중심-자율성
3
지역성 - 국가별 해석
통용성 - 범세계성
4
12절차 7원칙
객관적 규격
5
부가적 프로그램 필요
포괄적, 효율적
6
경직성
유연성, 개방성
7
구체적 접근 - How, 제품별
시스템적 접근 - What,목표
1 적용범위
2 인용규격
3 용어 및 정의
4 식품안전경영시스템
4.1 일반요구사항
4.2 문서화 요구사항
5 경영책임
5.1 경영의지
5.2 식품안전방침
5.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기획
5.4 책임과 권한
5.5 식품안전팀장
5.6 의사소통
5.7 비상시 대비 및 대응
5.8 경영검토
6. 자원관리
6.1 자원확보
6.2 인적자원
6.3 기반구조
6.4 업무환경
7. 안전한 제품의기획 및 실현
7.1 일반사항
7.2 선행요건 프로그램
7.3 위해분석을 위한 예비 단계
7.4 위해요소 분석
7.5 운영 PRPs 의 설계 및 재설계
7.6 HACCP 계획의 설계 및 재설계
7.7 예비정보 및 PRP(s)와 HACCP계획을 규정한 문서의 갱신
7.8 검증기획
7.9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운영
8.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검증, 유효성 확인 및 개선
8.1 일반사항
8.2 모니터링 및 측정
8.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검증
8.4 관리수단 조합의 유효성 확인
8.5 개선1
최근 식품산업의 HACCP인증제도가 각나라별로 운영방법이 상이하고, 정부주도 방식으로 강제성을 띠고 있는 반면에 ISO22000은 민간주도형으로 자율성있게 고객만족을 중심으로 식품안전경영 시스템을 수립.운영할 수 있는 인증으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한 식품안전 경영 시스템이며, 식품산업에 있어서 고객만족을 위한 국제적으로 필수적인 인증으로 요구되고 있음.
예) 국내의 경우 농림부에서 주관하고 있는 축산과 식약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품목(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으로 정해저 있고 이외의 품목에는 별도의 규제가 없음
우리나라에서는 ISO인증제도를 정부가 주도적으로 시행해오다 최근에야 민간에 넘겼다.(1998년 기준) 이와 달리 미국이나 영국 등에선 일찍부터 민간기구가 제도시행을 맡고 있다. 이 나라들에선 인증기관을 감독할 인정기관부터 민간주도로 세워졌다. 그 후 ISO인증이 국가경제에 큰 의미를 갖게 되면서 정부가 인정기관을 승인하는 순서를 밟았다. 우리 나라의 ISO인증제도는 정부주도로 운영된 덕에 짧은 기간에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국가간 상호인정문제 등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할 사안들이 늘어나면서 한계점도 드러나고 있다.세계적으로 ISO인증과 관련된 협약이나 협정이 이뤄질 경우 그 때마다 법률을 개정해야 하는 것이다. 또 정부가 ISO인증을 법률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무역장벽으로 비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깨닫고 우리 정부도 제도운영을 민간에 완전히 넘길 계획이다. 이 점을 감안해 영국 미국 일본 세나라의 ISO인증제도를 우리 것과 비교해본다.
◆ 영국
민간기구인 영국인정기구(UKAS)가 인증기관들을 지정하고 있다. 시험검사소 지정도 이 기관이 맡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증기관 지정은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KAB)가 맡고 있다. 처음엔 정부가 해오다 지난 96년에야 이 기관으로 넘겼다. 시험검사소 지정은 아직도 산업자원부 산하 국립 기술 품질원이 담당한다. 영국의 경우 인정기관은 크게 인정기관 지정 인증기관(NACCB)과 시험검사소지정 인정기관(NAMAS)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지난 96년 UKAS산하로 통합됐다.
영국에선 ISO인증을 받으려는 업체를 심사하는 인증심사원 인증을 별도의 민간기관이 하고 있다. ISO9000 심사원 인증은 IRCA가, ISO14000 심사원 인증은 EARA가 맡는다. 이들은 나름의 규정을 만들어 심사원 양성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심사원 인증은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가 전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KAB가 법률에 근거하고 있는 것과 달리 UKAS는 영국 상무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공신력을 확보하고 있다.
◆ 미국
민간기구인 미국인정기구(RAB)가 인정업무를 맡고 있다. 이 기관은 지난해초부터는 미국 국가규격을 제정하는 국립표준원(AMSI)과 업무협약을 맺고 공동명의로 ISO인증기관 인정업무를 하고 있다. RAB는 인증기관 지정업무외에도 연수과정 지정업무와 심사원 등록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법적으론 민간기구이면서 역할은 우리나라의 KAB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RAB는 간접적으로 공신력을 확보하고 있다. 협력기관인 AMSI가 표준화정책을 담당하는 정부기구인 국립표준기술원(NIST)과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이다.
◆ 일본
일본인정기구(JAB)가 ISO인증제도의 운영을 맡고 있다. 이 기관도 영국의 UKAS와 마찬가지로 민간기구이다. JAB는 통상성 및 국립기술원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ISO심사원 인증은 ISO9000의 경우 JRCA가, ISO14000은 JEMI가 각각 맡고 있다.
- 선진국들은 소비자의 식품안전 기대수준이 급상승함에 따라 식품안전관리의 원칙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과거의 품목별, 유통단계별로 다원화 된 행정과 법체계를 탈피하고 보다 효율적인 식품안전
관리체계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전개
- 정부의 '식품안전기본법' 제정 등 식품안전관리체계가 강화되고 있으나, 조직 및 인력여건상 정부주도의 감시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정부는 안전한 식품생산 기반구축을 위한 지도 및 육성 사업에 주력하고, 동시에 민간 자율에 의한 'ISO 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템)' 도입 및 정착을 통한 자율적 식품안전관리체계 구축이 시급
- * 식품안전관련 정부부처 : 복지부(식약청), 농림부, 해양수산부 등 8개
- * 관련 법령 : 식품위생법, 축산물가공처리법, 수산물품질관리법 등 24종
순서
HACCP
ISO 22000
1
정부 주도 중심 + 민간
민간 주도
2
규제중심
정부중심의 강제성/민간의 자율성
고객만족중심-자율성
3
지역성 - 국가별 해석
통용성 - 범세계성
4
12절차 7원칙
객관적 규격
5
부가적 프로그램 필요
포괄적, 효율적
6
경직성
유연성, 개방성
7
구체적 접근 - How, 제품별
시스템적 접근 - What,목표
1 적용범위
2 인용규격
3 용어 및 정의
4 식품안전경영시스템
4.1 일반요구사항
4.2 문서화 요구사항
5 경영책임
5.1 경영의지
5.2 식품안전방침
5.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기획
5.4 책임과 권한
5.5 식품안전팀장
5.6 의사소통
5.7 비상시 대비 및 대응
5.8 경영검토
6. 자원관리
6.1 자원확보
6.2 인적자원
6.3 기반구조
6.4 업무환경
7. 안전한 제품의기획 및 실현
7.1 일반사항
7.2 선행요건 프로그램
7.3 위해분석을 위한 예비 단계
7.4 위해요소 분석
7.5 운영 PRPs 의 설계 및 재설계
7.6 HACCP 계획의 설계 및 재설계
7.7 예비정보 및 PRP(s)와 HACCP계획을 규정한 문서의 갱신
7.8 검증기획
7.9 식품안전경영시스템 운영
8.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검증, 유효성 확인 및 개선
8.1 일반사항
8.2 모니터링 및 측정
8.3 식품안전경영시스템 검증
8.4 관리수단 조합의 유효성 확인
8.5 개선1
최근 식품산업의 HACCP인증제도가 각나라별로 운영방법이 상이하고, 정부주도 방식으로 강제성을 띠고 있는 반면에 ISO22000은 민간주도형으로 자율성있게 고객만족을 중심으로 식품안전경영 시스템을 수립.운영할 수 있는 인증으로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한 식품안전 경영 시스템이며, 식품산업에 있어서 고객만족을 위한 국제적으로 필수적인 인증으로 요구되고 있음.
예) 국내의 경우 농림부에서 주관하고 있는 축산과 식약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품목(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으로 정해저 있고 이외의 품목에는 별도의 규제가 없음
우리나라에서는 ISO인증제도를 정부가 주도적으로 시행해오다 최근에야 민간에 넘겼다.(1998년 기준) 이와 달리 미국이나 영국 등에선 일찍부터 민간기구가 제도시행을 맡고 있다. 이 나라들에선 인증기관을 감독할 인정기관부터 민간주도로 세워졌다. 그 후 ISO인증이 국가경제에 큰 의미를 갖게 되면서 정부가 인정기관을 승인하는 순서를 밟았다. 우리 나라의 ISO인증제도는 정부주도로 운영된 덕에 짧은 기간에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국가간 상호인정문제 등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할 사안들이 늘어나면서 한계점도 드러나고 있다.세계적으로 ISO인증과 관련된 협약이나 협정이 이뤄질 경우 그 때마다 법률을 개정해야 하는 것이다. 또 정부가 ISO인증을 법률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무역장벽으로 비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깨닫고 우리 정부도 제도운영을 민간에 완전히 넘길 계획이다. 이 점을 감안해 영국 미국 일본 세나라의 ISO인증제도를 우리 것과 비교해본다.
◆ 영국
민간기구인 영국인정기구(UKAS)가 인증기관들을 지정하고 있다. 시험검사소 지정도 이 기관이 맡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증기관 지정은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KAB)가 맡고 있다. 처음엔 정부가 해오다 지난 96년에야 이 기관으로 넘겼다. 시험검사소 지정은 아직도 산업자원부 산하 국립 기술 품질원이 담당한다. 영국의 경우 인정기관은 크게 인정기관 지정 인증기관(NACCB)과 시험검사소지정 인정기관(NAMAS)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지난 96년 UKAS산하로 통합됐다.
영국에선 ISO인증을 받으려는 업체를 심사하는 인증심사원 인증을 별도의 민간기관이 하고 있다. ISO9000 심사원 인증은 IRCA가, ISO14000 심사원 인증은 EARA가 맡는다. 이들은 나름의 규정을 만들어 심사원 양성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심사원 인증은 한국품질환경인증협회가 전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KAB가 법률에 근거하고 있는 것과 달리 UKAS는 영국 상무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공신력을 확보하고 있다.
◆ 미국
민간기구인 미국인정기구(RAB)가 인정업무를 맡고 있다. 이 기관은 지난해초부터는 미국 국가규격을 제정하는 국립표준원(AMSI)과 업무협약을 맺고 공동명의로 ISO인증기관 인정업무를 하고 있다. RAB는 인증기관 지정업무외에도 연수과정 지정업무와 심사원 등록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법적으론 민간기구이면서 역할은 우리나라의 KAB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RAB는 간접적으로 공신력을 확보하고 있다. 협력기관인 AMSI가 표준화정책을 담당하는 정부기구인 국립표준기술원(NIST)과 양해각서를 체결한 것이다.
◆ 일본
일본인정기구(JAB)가 ISO인증제도의 운영을 맡고 있다. 이 기관도 영국의 UKAS와 마찬가지로 민간기구이다. JAB는 통상성 및 국립기술원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ISO심사원 인증은 ISO9000의 경우 JRCA가, ISO14000은 JEMI가 각각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