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적으로는 시범사업의 업종 및 참여자를 확대하고, 대외적으로는 ASEM, APEC 등 다자채널, 한영 전자상거래 정책협의회, 한독 및 한불 산업협력위원회 등의 양자채널을 적극 활용하여,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동북아 무역 중심지로서 우리나라를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위의 예로 보아, 또 하나 도출할 수 있는 전략 방향은 전 세계적으로 우위인 우리나라의 IT, BT, NT 사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려운 연구 환경 속에서도 쾌거를 이루었다고 대단하다 할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더 투자하면 투자할수록 더 큰 연구결과가 나올 것이고 이것이야말로 우리나라를 세계에서 차별화시키고 전략화 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가져다 줄 수단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KIET,「\"ASEM : 아시아유럽 새로운 협력시대“ 실물경제, 제69호」, 1996
동국대, 이원호,「ASEM, APEC과 한국의 대응」, 2000
외교통상부, 「ASEM 개황 / 2000」, 2000
KIEP, 이종화,「제3차 정상회의 : 경제협력분야의 성과와 발전전략」, 2000
KIEP, 박영곤,「세계경제 2000년 10월호, “제3차 ASEM 정상회의 주요 논의사항과 향후과제”」, 2000
KIEP, 박성훈,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경제협력의 현황과 비젼」, 2000
고려대, 천병만, 「EU의 동아시아 정책에 관한 연구 : ASEM을 중심으로」, 2000」
아시아-유럽 지역간 협력에 관한 연구 : ASEM의 동인과 가능성 = Inter-Regionalism in Asia and Europe and ASEM framework / 김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57p~61p
ASEM과 우리나라의 通商政策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ASEM and the commercial policy measures of Korea / 오호용,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00]
\'트랜스 유라시아 네트워크\' ASEM 신규사업으로 채택 / 2000.10.19, 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인용
ASEM 경제협력 평가와 향후 발전방향 / 신용대, 산업연구원(KIET), 2001
22p~26p
KIET, 신용대,「ASEM 경제협력의 평가와 향후 협력」, 2001
부산대, 김종연,「ASEM의 전략적 의의와 한국의 대응방안」, 2001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이상준, 「EU시장 확대방안 조사」, 2002.3
외교통상부, 「외교백서 2003」, 2004
외교통상부 통상기획홍보팀, 주요경제지표, 2004.5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주간무역리뷰-Trade Focus3」,2004.5.3.
외교통상부 지역협력과 (www.mofat.go.kr), 「2004년 회의일정 자료」2004.5.19
----------------- 「2005년 제5차 ASEM 정상회의 보고서」2004.12.22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유럽간 전자무역 채널 본격가동 / 2004.07.19,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인용
ASEM 개황(본문편과 부록편) / 외교통상부 보도자료 2004. 9월
부록편 167p~171p 그래프 인용, 본문편 79p~80p 그래프 인용
ASEM, 한국제안 `사이버보안 강화사업` 채택 / 2004.10.13, 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인용
e비지니스 협력 유럽지역으로 확대 / 2005.02.21,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인용
e-비즈니스 산업, 신 가치창출 핵심 키워드 [산자부 국정브리핑 2005-09-22 13:43]
유라시아 정보실크로드 열린다 / 김용석 기자 [전자신문 2005-09-23 17:35]
European Commission, 「Towards a New Asia strategy」, July 1994
ASEM,「Chairman\'s Statement of the Asia-Europe Meeting」, Bangkok, March 1996
ASEM,「Chairman\'s Statement of the Second Asia-Europe Meeting」, London, April
1998
Asia-Europe Vision Group,「For a Better Tomorrow: Asia-Europe Partnership in the 21st Century」, 1999 참조
ASEM,「Chairman\'s Statement of the Third Asia-Europe Meeting」, Seoul, October 2000
ASEM,「Asia-Europe Cooperation Framework 2000」, 2000
Yeo Lay Hwee, 「The Three Faces of ASEM」, Aug 2001
European Commission, 「Europe and Asia : A Stategic Framework for Enhanced Partnerships」, September 2001
ASEM,「Chairman\'s Statement of the Fourth AsiaEurope Meeting」, Copenhagen,September 2002
World Bank, 「ASEM Asian Financial Crisis Response Fund 1: Completion Report」,July 2003
WTO, 「WTO Int\'l Trade Stastics」, 2003
ASEM,「Chairmans\' Statement the sixth ASEM Foreign Minister\'s Meeting」, April 2004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Online」, 2004
European Commission, DG TRADE, April 2004
- URL-
ASEM INFOBOARD (www. aseminfoboard. org)
ASEM Connect (www.asemconnect.com.sg)
ASEM2(asem2.fco.gov.uk)
ASEM3(www.asem3.go.kr)
외교통상부(www.mofat.go.kr)
청와대(www.cwd.go.kr)
http://ilminkor.org/elibrary/intl_politics/eastasia/asem.pdf
위의 예로 보아, 또 하나 도출할 수 있는 전략 방향은 전 세계적으로 우위인 우리나라의 IT, BT, NT 사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려운 연구 환경 속에서도 쾌거를 이루었다고 대단하다 할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더 투자하면 투자할수록 더 큰 연구결과가 나올 것이고 이것이야말로 우리나라를 세계에서 차별화시키고 전략화 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가져다 줄 수단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KIET,「\"ASEM : 아시아유럽 새로운 협력시대“ 실물경제, 제69호」, 1996
동국대, 이원호,「ASEM, APEC과 한국의 대응」, 2000
외교통상부, 「ASEM 개황 / 2000」, 2000
KIEP, 이종화,「제3차 정상회의 : 경제협력분야의 성과와 발전전략」, 2000
KIEP, 박영곤,「세계경제 2000년 10월호, “제3차 ASEM 정상회의 주요 논의사항과 향후과제”」, 2000
KIEP, 박성훈,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경제협력의 현황과 비젼」, 2000
고려대, 천병만, 「EU의 동아시아 정책에 관한 연구 : ASEM을 중심으로」, 2000」
아시아-유럽 지역간 협력에 관한 연구 : ASEM의 동인과 가능성 = Inter-Regionalism in Asia and Europe and ASEM framework / 김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57p~61p
ASEM과 우리나라의 通商政策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ASEM and the commercial policy measures of Korea / 오호용,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00]
\'트랜스 유라시아 네트워크\' ASEM 신규사업으로 채택 / 2000.10.19, 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인용
ASEM 경제협력 평가와 향후 발전방향 / 신용대, 산업연구원(KIET), 2001
22p~26p
KIET, 신용대,「ASEM 경제협력의 평가와 향후 협력」, 2001
부산대, 김종연,「ASEM의 전략적 의의와 한국의 대응방안」, 2001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 이상준, 「EU시장 확대방안 조사」, 2002.3
외교통상부, 「외교백서 2003」, 2004
외교통상부 통상기획홍보팀, 주요경제지표, 2004.5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주간무역리뷰-Trade Focus3」,2004.5.3.
외교통상부 지역협력과 (www.mofat.go.kr), 「2004년 회의일정 자료」2004.5.19
----------------- 「2005년 제5차 ASEM 정상회의 보고서」2004.12.22
한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유럽간 전자무역 채널 본격가동 / 2004.07.19,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인용
ASEM 개황(본문편과 부록편) / 외교통상부 보도자료 2004. 9월
부록편 167p~171p 그래프 인용, 본문편 79p~80p 그래프 인용
ASEM, 한국제안 `사이버보안 강화사업` 채택 / 2004.10.13, 정보통신부 보도자료 인용
e비지니스 협력 유럽지역으로 확대 / 2005.02.21,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인용
e-비즈니스 산업, 신 가치창출 핵심 키워드 [산자부 국정브리핑 2005-09-22 13:43]
유라시아 정보실크로드 열린다 / 김용석 기자 [전자신문 2005-09-23 17:35]
European Commission, 「Towards a New Asia strategy」, July 1994
ASEM,「Chairman\'s Statement of the Asia-Europe Meeting」, Bangkok, March 1996
ASEM,「Chairman\'s Statement of the Second Asia-Europe Meeting」, London, April
1998
Asia-Europe Vision Group,「For a Better Tomorrow: Asia-Europe Partnership in the 21st Century」, 1999 참조
ASEM,「Chairman\'s Statement of the Third Asia-Europe Meeting」, Seoul, October 2000
ASEM,「Asia-Europe Cooperation Framework 2000」, 2000
Yeo Lay Hwee, 「The Three Faces of ASEM」, Aug 2001
European Commission, 「Europe and Asia : A Stategic Framework for Enhanced Partnerships」, September 2001
ASEM,「Chairman\'s Statement of the Fourth AsiaEurope Meeting」, Copenhagen,September 2002
World Bank, 「ASEM Asian Financial Crisis Response Fund 1: Completion Report」,July 2003
WTO, 「WTO Int\'l Trade Stastics」, 2003
ASEM,「Chairmans\' Statement the sixth ASEM Foreign Minister\'s Meeting」, April 2004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Online」, 2004
European Commission, DG TRADE, April 2004
- URL-
ASEM INFOBOARD (www. aseminfoboard. org)
ASEM Connect (www.asemconnect.com.sg)
ASEM2(asem2.fco.gov.uk)
ASEM3(www.asem3.go.kr)
외교통상부(www.mofat.go.kr)
청와대(www.cwd.go.kr)
http://ilminkor.org/elibrary/intl_politics/eastasia/asem.pd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