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1/1 러시아 개관
1.러시아의 위치와 시차
2.러시아의 크기와 지형
1/2 러시아 개관(2)
1. 러시아의 강
2. 러시아의 호수
3. 러시아의 기후
2/1 러시아 개관(1)
1. 러시아의 공식 명칭과 국기 및 국장
2. 러시아의 인구, 수도 및 주요 도시
.
.
.
.
1.러시아의 위치와 시차
2.러시아의 크기와 지형
1/2 러시아 개관(2)
1. 러시아의 강
2. 러시아의 호수
3. 러시아의 기후
2/1 러시아 개관(1)
1. 러시아의 공식 명칭과 국기 및 국장
2. 러시아의 인구, 수도 및 주요 도시
.
.
.
.
본문내용
지방(크라이)
49개 - 주(오블라스치)
1개 - 자치주
10개 - 자치구(오크루크)
2개 - 연방시(모스크바, 상트 - 페테르부르크)
*89개 주체로 구성
러시아의 주요 기관(2)
러시아 국회(국가 두마)의사당 - 입법부→ 양원제 → 상원 → 연방의회
하원 → 국가 두마
모스크바 시청 - 사법부 → 헌법재판소, 최고재판소, 최고중재재판소
행정부 → 대통령제, 총리
2. 자원 부국 러시아의 자원
1) 러시아의 자원 보유 정도
2003년 - 세계 최대의 산유국이 됨
2009년 9월경 - 제 1위의 석유 수출국이 됨 (소련붕괴 후)
→ 세계 최대의 자원 부국 러시아
천연가스→매장량 :세계 1위 철광석→매장량 :세계2위
생산량 :세계 1위 생산량 :세계4위
가스 →매장량 :세계 7위 니켈→ 매장량 :세계2위
생산량 :세계 2위 생산량 :세계1위
석탄 →매장량 :세계2위 백금→ 매장량 :세계2위
생산량 :세계6위 생산량 :세계2뤼
다이아몬드→매장량 :세계5위 금→ 매장량 :세계4위
생산량 :세계2위 생산량 :세계6위
2) 자원 외교의 강화
브릭스 국가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 에너지 부족 시대를 맞이하게 됨
→ 에너지 소비국들(미, 중, 일, 유럽연합, 한국 등)은 에너지 자원과 광물 자원 확보에 혈안
푸틴 전 러시아 대통령(현 총리) - 엄청난 양의 자원을 무기로→국제 정치의 장에서 공세적 외교를 펼침
3. 신흥 강대국 러시아의 위상과 전망
1) 체제의 변화와 혼란
사회주의 체제 → 자본주의 체제 (급격히 전환)
10여년 간 많은 시행 착오와 혼란을 겪음
1991년 말 소련의 갑작스런 붕괴
독립한 러시아(옐친 정부)는 혼란을 거듭
1998년 모라토리엄(채무지불유예)라는 불명예를 겪음
*푸틴 대통령이 취임한 2000년을 기점
- 혼란과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 세계 제 3위의 외환보유국이 됨
-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7년까지 연평균 약 7%의 경제 성장 기록
- 2006년 세계 10위의 경제 대국이 됨
2) 러시아의 경제 위상 및 전망
*러시아
- 세계 최대의 영토 소유
- 석유와 천연가스를 비롯한 풍부한 자원 보유
- 우주과학 등 첨단 과학 기술에 있어 세계 최고의 수준
- 브릭스의 일원
→ 골드만 삭스(미국의 세계적 투자전문회사): 러시아가 2050년에 세계 6위의 경제대국이 되리라 예측
3) 한반도와 러시아(1)
* 러시아는 한국의 황금시장이 되어 가고 있음
- 한반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나라
- 러시아가 중국과 경제와 군사,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중임
- 러시아 + 미국 . 중국 . 일본
→ 한반도의 운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대국
3) 한반도와 러시아(2)
* 한국
- 세계에서 네 번째의 원유 수입국
-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필수
- 자원의 대국 러시아가 한국에 매우 중요한 나라로 부각
→ 러시아에 대한 자원 외교의 강화 대두
→ 앞으로 한반도 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연결되면 물류혁명이 일어날 것임
<학습하기>
1. 러시아의 국기에 대한 설명이다 .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위에서부터 백색, 청색, 적색이다
(2) 위에서부터 백색, 청색, 녹색이다
(3) 위에서부터 청색, 적색, 백색이다
(4) 위에서부터 백색, 적색, 청색이다
정답→(1): 위에서부터 백색, 청색, 적색이다
2. 러시아의 인구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약 1억 2000만 명
(2) 약 1억 4000만 명
(3) 약 1억 6000만 명
(4) 약 1억 8000만 명
정답→(2): 약 1억 4000만 명
3. 러시아 수도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모스크비
(2) 샹르페테르부르크
(3) 예키테린부르크
(4) 니즈니 노브고로트)
정답→(1): 모스크바
<정리하기>
* 러시아 연방 공화국(Russian Federation)의 국기
- 위에서부터 차례로 백색, 청색, 적색이 그려진 삼색기
- 1991년 8월에 제정
- 러시아 국기는 1917년 10월 혁명 이전에 사용된 제정 러시아 시대의 국기를 부활시킨 것
* 러시아의 국장
- 쌍두 독수리, 3개의 왕관, 발톱의 홀과 구, 기사의 방패가 그려져 있음
* 러시아의 인구 및 민족: 약 1억 4000만명, 140여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국가, 러시아인 약 82%
* 러시아의 종교 : 주로 러시아 정교를 믿음
* 화폐 : 루블 사용
* 러시아의 주요 도시 및 구성
- 모스크바(수도, 약 870만명), 상트-페테르부르크(제2의 도시, 약 480만명)
니즈니 노브고로트(약140만명), 노보시비르스크(약140만명)
예카테린부르크(약140만명) 등
- 21개 공화국, 6개 지방, 49개 주, 1개 자치주, 10개 자치구
2개 연방시(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등 총 89개의 주체로 구성
* 러시아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자본주의 체제로, 공산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급격히 전환한 후 10여 년간 많은 시행착오와 혼란을 겪어야 했음
* 푸틴 대통령 취임 후의 변화
- 2000년을 기점으로 환란과 침체의 늪에서 벗어남
-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7년까지 연평균 약 7%의 경제 성장을 기록
- 2006년에는 이미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의 반열에 오르게 됨
* 자원부국 러시아
- 석유와 천연가스를 비롯한 엄청난 양의 에너지 자원과 광물 자원을 보유
- 2003년에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산유국이 됨
- 2009년에는 소련 붕괴 후 처음으로 세계 제1위의 석유 수출국이 됨
* 우주과학과 같은 첨단 과학 기술 수준에 있어서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는 신흥각국으로 부상
* 앞으로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철의 실크로드’로 불리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연결되면, 물류혁명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경제와 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 러시아 간의 관계가 확대 발전될 것으로 보임
3/1 고대 러시아 역사
1. 고대 러시아와 키예프 루시 시대
1)고대 러시아, 노브고로트-키예프 루시 시대(1)
\'러시아\'란 명칭은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16세기
\'루시 PyCb\' 사용함 - 고대 러시아를 뜻함
\'러시아\'라는
49개 - 주(오블라스치)
1개 - 자치주
10개 - 자치구(오크루크)
2개 - 연방시(모스크바, 상트 - 페테르부르크)
*89개 주체로 구성
러시아의 주요 기관(2)
러시아 국회(국가 두마)의사당 - 입법부→ 양원제 → 상원 → 연방의회
하원 → 국가 두마
모스크바 시청 - 사법부 → 헌법재판소, 최고재판소, 최고중재재판소
행정부 → 대통령제, 총리
2. 자원 부국 러시아의 자원
1) 러시아의 자원 보유 정도
2003년 - 세계 최대의 산유국이 됨
2009년 9월경 - 제 1위의 석유 수출국이 됨 (소련붕괴 후)
→ 세계 최대의 자원 부국 러시아
천연가스→매장량 :세계 1위 철광석→매장량 :세계2위
생산량 :세계 1위 생산량 :세계4위
가스 →매장량 :세계 7위 니켈→ 매장량 :세계2위
생산량 :세계 2위 생산량 :세계1위
석탄 →매장량 :세계2위 백금→ 매장량 :세계2위
생산량 :세계6위 생산량 :세계2뤼
다이아몬드→매장량 :세계5위 금→ 매장량 :세계4위
생산량 :세계2위 생산량 :세계6위
2) 자원 외교의 강화
브릭스 국가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 에너지 부족 시대를 맞이하게 됨
→ 에너지 소비국들(미, 중, 일, 유럽연합, 한국 등)은 에너지 자원과 광물 자원 확보에 혈안
푸틴 전 러시아 대통령(현 총리) - 엄청난 양의 자원을 무기로→국제 정치의 장에서 공세적 외교를 펼침
3. 신흥 강대국 러시아의 위상과 전망
1) 체제의 변화와 혼란
사회주의 체제 → 자본주의 체제 (급격히 전환)
10여년 간 많은 시행 착오와 혼란을 겪음
1991년 말 소련의 갑작스런 붕괴
독립한 러시아(옐친 정부)는 혼란을 거듭
1998년 모라토리엄(채무지불유예)라는 불명예를 겪음
*푸틴 대통령이 취임한 2000년을 기점
- 혼란과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 세계 제 3위의 외환보유국이 됨
-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7년까지 연평균 약 7%의 경제 성장 기록
- 2006년 세계 10위의 경제 대국이 됨
2) 러시아의 경제 위상 및 전망
*러시아
- 세계 최대의 영토 소유
- 석유와 천연가스를 비롯한 풍부한 자원 보유
- 우주과학 등 첨단 과학 기술에 있어 세계 최고의 수준
- 브릭스의 일원
→ 골드만 삭스(미국의 세계적 투자전문회사): 러시아가 2050년에 세계 6위의 경제대국이 되리라 예측
3) 한반도와 러시아(1)
* 러시아는 한국의 황금시장이 되어 가고 있음
- 한반도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나라
- 러시아가 중국과 경제와 군사,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중임
- 러시아 + 미국 . 중국 . 일본
→ 한반도의 운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대국
3) 한반도와 러시아(2)
* 한국
- 세계에서 네 번째의 원유 수입국
-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자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필수
- 자원의 대국 러시아가 한국에 매우 중요한 나라로 부각
→ 러시아에 대한 자원 외교의 강화 대두
→ 앞으로 한반도 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연결되면 물류혁명이 일어날 것임
<학습하기>
1. 러시아의 국기에 대한 설명이다 .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위에서부터 백색, 청색, 적색이다
(2) 위에서부터 백색, 청색, 녹색이다
(3) 위에서부터 청색, 적색, 백색이다
(4) 위에서부터 백색, 적색, 청색이다
정답→(1): 위에서부터 백색, 청색, 적색이다
2. 러시아의 인구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약 1억 2000만 명
(2) 약 1억 4000만 명
(3) 약 1억 6000만 명
(4) 약 1억 8000만 명
정답→(2): 약 1억 4000만 명
3. 러시아 수도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모스크비
(2) 샹르페테르부르크
(3) 예키테린부르크
(4) 니즈니 노브고로트)
정답→(1): 모스크바
<정리하기>
* 러시아 연방 공화국(Russian Federation)의 국기
- 위에서부터 차례로 백색, 청색, 적색이 그려진 삼색기
- 1991년 8월에 제정
- 러시아 국기는 1917년 10월 혁명 이전에 사용된 제정 러시아 시대의 국기를 부활시킨 것
* 러시아의 국장
- 쌍두 독수리, 3개의 왕관, 발톱의 홀과 구, 기사의 방패가 그려져 있음
* 러시아의 인구 및 민족: 약 1억 4000만명, 140여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국가, 러시아인 약 82%
* 러시아의 종교 : 주로 러시아 정교를 믿음
* 화폐 : 루블 사용
* 러시아의 주요 도시 및 구성
- 모스크바(수도, 약 870만명), 상트-페테르부르크(제2의 도시, 약 480만명)
니즈니 노브고로트(약140만명), 노보시비르스크(약140만명)
예카테린부르크(약140만명) 등
- 21개 공화국, 6개 지방, 49개 주, 1개 자치주, 10개 자치구
2개 연방시(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등 총 89개의 주체로 구성
* 러시아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자본주의 체제로, 공산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 급격히 전환한 후 10여 년간 많은 시행착오와 혼란을 겪어야 했음
* 푸틴 대통령 취임 후의 변화
- 2000년을 기점으로 환란과 침체의 늪에서 벗어남
- 미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7년까지 연평균 약 7%의 경제 성장을 기록
- 2006년에는 이미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의 반열에 오르게 됨
* 자원부국 러시아
- 석유와 천연가스를 비롯한 엄청난 양의 에너지 자원과 광물 자원을 보유
- 2003년에 러시아는 세계 최대의 산유국이 됨
- 2009년에는 소련 붕괴 후 처음으로 세계 제1위의 석유 수출국이 됨
* 우주과학과 같은 첨단 과학 기술 수준에 있어서 세계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는 신흥각국으로 부상
* 앞으로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철의 실크로드’로 불리는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연결되면, 물류혁명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경제와 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과 러시아 간의 관계가 확대 발전될 것으로 보임
3/1 고대 러시아 역사
1. 고대 러시아와 키예프 루시 시대
1)고대 러시아, 노브고로트-키예프 루시 시대(1)
\'러시아\'란 명칭은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16세기
\'루시 PyCb\' 사용함 - 고대 러시아를 뜻함
\'러시아\'라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