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간호사정
약물
lab검사지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및 평가
약물
lab검사지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및 평가
본문내용
려움증 :
선 택
대처
평상시 대상자의 대처방법 비효과적 개인대처기전:
적응장애
평상시 가족의 대처방법 방어적대처
부정
대상자의 정서상태 비효과적 가족대처 :
신체적 반응 타협
이용가능한지지 체계 대처불능
가족대처 :
성장잠재성
참여
과거 / 현재 건강섭생의 이행 건강추구행위
장래의 건강섭생 이행에 대한 자발성
판단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갈등
대상자의 관점
타인의 관점
예방접종 현황
<예방접종 주의 및 금기증>
접종 전에 의사와 상의한 후에 예방 접종하는 것이 좋다. 과거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던 일이 있는 백신은 다시 접종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하여 접종해야 한다.
→ 급성 열성질환(단, 열이 없는 감기와 같은 가벼운 감염증일 때에는 제외)이나 심장 혈관계, 신장, 간 등에 질환이 있을 때
→ 면역 억제 치료(스테로이드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포함)를 받고 있을 때
→ 최근 8주 이내에 감마글불린 또는 혈청 주사를 맞았거나 수혈을 받았을 때
→ 백혈병, 임파종, 그 밖의 악성 종양이 있는 어린이
→ 면역 결핍성 질환이 있는 어린이
→ 종류가 다른 생백신을 동시에 접종할 경우
· 알레르기 체질이 있는 경우는 그것을 알리고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 예방접종을 할 때 나이는 아기가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만으로 계산한다.
· 예방접종은 가능한 오전에 하는 것이 좋다.
· 아기의 몸상태가 가장 좋을 때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예방접종후>
· 예방접종 후 30분 동안은 병원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
· 접종약을 골고루 퍼뜨려 국소 알레르기 반응을 줄이기 위해서 접종 부위를 5분 이상 많이 문질러 주는 것이 좋다.
· 접종 당일과 다음날은 목욕을 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 예방 접종 후에는 주사를 맞은 부위가 빨갛게 되거나 통증을 느낄 만큼 아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두통, 발열, 오한 등을 일으키는 일도 있지만 이것은 주사의 부작용으로 2 3일 후에는 회복되므로 염려 없다. 그러나 고열, 구토, 설사, 발진, 림프절의 붓기 등의 증상이 하루 이상 계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증상을 자세히 알리고 진찰을 받아야 한다.
연 령
백 신 종 류
주의 및 금기증
기본접종
0-1주
0-4주
1개월
2개월
4개월
6개월
B형간염
BCG
B형간염
DTap, 폴리오, Hib, 단백결합폐구균백신, Rotavirus
DTap, 폴리오, Hib, 단백결합폐구균백신, Rotavirus
B형간염, DTap, 폴리오, Hib
추가접종
12-15개월
12-24개월
15-18개월
4-6세
6세
11-12세
12세
인플루엔자, 폐구균단백결합백신,Rotavirus, Hib, MMR, 수두
일본뇌염, A형간염
DTap
DTap, 폴리오, MMR
일본뇌염
Td, HPV
일본뇌염
기 타
진단검사 (임상병리 검사 및 특수검사) → 4/5일자
<혈액검사>
WBC
9.8(4.0-11.0 10³/ul)
RBC
4.71(3.80-6.50 10/ul)
Hb
12.3(11.5-18.0g/dl)
Hct
38.8(37.0-50.0%)
MCV
82.42(70-110리)
MCH
26.1(26-34pg)
MCHC
31.7(32-37%)
Plt
336(150-400 10³/ul)
Neutrophil
27.02(40-80%)
Lymph
59.91(15-45%)
Mono
13.1(4-12%)
Baso
0(0-2%)
Eos
0(0-7%)
ESR
6(0-15mm/hr)
Protein
7.00(5.7-8.2mg/dl)
Albumin
4.73(3.1-5.2g/L)
Bilirubin Total
0.34(0.2-1.2micro mol/L)
AST
42(5-35unit/L)
ALT
48(6-40unit/L)
Alk. phosphatase
r-GTP
LDH
BUN
7.2(4-24mmol/L)
Creatinine
0.6(0.6-1.1mg/dl)
Na
141(135-145)
K
5.0(3.5-5.0)
color
straw(70-110)
pH
5.5(4.5-7.5)
S.G
1.015(1.005-1.030)
Albuimin
Glucose
-(negative)
ketone
-(negative)
Occult Blood
-(negative)
Bilirubin
-(negative)
Nitrite
-(negative)
urobilinogen
-(negative)
Leucocyte
-(70-110)
Potavirus Ag
Stool Nucus
검사 (비정상치에 *로 표시하시오)
<약물 용량, 적용, 부작용, 금기>
약명
페니라민 정
분류
항히스타민제
용법 및 용량
성인 :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으로서 1회 2-6mg 1일 2-4회 경구투여한다.
1일 24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작용 및 효과
고초열,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습진피부염, 피부소양증, 약진), 알러지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코감기에 의핸 재채기콧물기침, 혈관운동성 부종, 곤충자상
부작용
shock 관찰, 경련, 착란유발가능, 순환기계, 비뇨기계, 정신신경계
금기
본제 또는 유사 화합물에 과민증 기왕력자, 녹내장, 하부요로폐색성 질환, 미숙아 및 신생아, MAO 저해제 투여자
주의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 운전 등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약명
이부서스펜 시럽(ibprofen)
분류
해열, 진통, 소염
용법 및 용량
소아는 다음 1회 용량을 1일 3~4회 : 11~14세 10~13ml, 7~8세 8~10ml, 3~6세 5~8ml, 1~2
체중 30kg 미만인 소아는 1일 최대 500mg, 공복시 투여 피함
작용 및 효과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규마티양 관절염, 연소성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두통, 치통, 근육통, 신경통, 급성 통풍,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연조직 손상(염좌, 좌상), 비관절 류마티스질환(건염, 건초염, 활액낭염)
경증 및 중등고의 동통, 감기
부작용
shock, 발열, 비출혈, 변비, 구토, 식욕부진, 혈액장애
금기
소화성 궤양, 심한 혈액이상간장애신장애심기능부전고혈압, 본제 과민증자, 기
선 택
대처
평상시 대상자의 대처방법 비효과적 개인대처기전:
적응장애
평상시 가족의 대처방법 방어적대처
부정
대상자의 정서상태 비효과적 가족대처 :
신체적 반응 타협
이용가능한지지 체계 대처불능
가족대처 :
성장잠재성
참여
과거 / 현재 건강섭생의 이행 건강추구행위
장래의 건강섭생 이행에 대한 자발성
판단
의사결정능력 의사결정갈등
대상자의 관점
타인의 관점
예방접종 현황
<예방접종 주의 및 금기증>
접종 전에 의사와 상의한 후에 예방 접종하는 것이 좋다. 과거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던 일이 있는 백신은 다시 접종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특히 주의하여 접종해야 한다.
→ 급성 열성질환(단, 열이 없는 감기와 같은 가벼운 감염증일 때에는 제외)이나 심장 혈관계, 신장, 간 등에 질환이 있을 때
→ 면역 억제 치료(스테로이드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포함)를 받고 있을 때
→ 최근 8주 이내에 감마글불린 또는 혈청 주사를 맞았거나 수혈을 받았을 때
→ 백혈병, 임파종, 그 밖의 악성 종양이 있는 어린이
→ 면역 결핍성 질환이 있는 어린이
→ 종류가 다른 생백신을 동시에 접종할 경우
· 알레르기 체질이 있는 경우는 그것을 알리고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 예방접종을 할 때 나이는 아기가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만으로 계산한다.
· 예방접종은 가능한 오전에 하는 것이 좋다.
· 아기의 몸상태가 가장 좋을 때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예방접종후>
· 예방접종 후 30분 동안은 병원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
· 접종약을 골고루 퍼뜨려 국소 알레르기 반응을 줄이기 위해서 접종 부위를 5분 이상 많이 문질러 주는 것이 좋다.
· 접종 당일과 다음날은 목욕을 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 예방 접종 후에는 주사를 맞은 부위가 빨갛게 되거나 통증을 느낄 만큼 아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두통, 발열, 오한 등을 일으키는 일도 있지만 이것은 주사의 부작용으로 2 3일 후에는 회복되므로 염려 없다. 그러나 고열, 구토, 설사, 발진, 림프절의 붓기 등의 증상이 하루 이상 계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증상을 자세히 알리고 진찰을 받아야 한다.
연 령
백 신 종 류
주의 및 금기증
기본접종
0-1주
0-4주
1개월
2개월
4개월
6개월
B형간염
BCG
B형간염
DTap, 폴리오, Hib, 단백결합폐구균백신, Rotavirus
DTap, 폴리오, Hib, 단백결합폐구균백신, Rotavirus
B형간염, DTap, 폴리오, Hib
추가접종
12-15개월
12-24개월
15-18개월
4-6세
6세
11-12세
12세
인플루엔자, 폐구균단백결합백신,Rotavirus, Hib, MMR, 수두
일본뇌염, A형간염
DTap
DTap, 폴리오, MMR
일본뇌염
Td, HPV
일본뇌염
기 타
진단검사 (임상병리 검사 및 특수검사) → 4/5일자
<혈액검사>
WBC
9.8(4.0-11.0 10³/ul)
RBC
4.71(3.80-6.50 10/ul)
Hb
12.3(11.5-18.0g/dl)
Hct
38.8(37.0-50.0%)
MCV
82.42(70-110리)
MCH
26.1(26-34pg)
MCHC
31.7(32-37%)
Plt
336(150-400 10³/ul)
Neutrophil
27.02(40-80%)
Lymph
59.91(15-45%)
Mono
13.1(4-12%)
Baso
0(0-2%)
Eos
0(0-7%)
ESR
6(0-15mm/hr)
Protein
7.00(5.7-8.2mg/dl)
Albumin
4.73(3.1-5.2g/L)
Bilirubin Total
0.34(0.2-1.2micro mol/L)
AST
42(5-35unit/L)
ALT
48(6-40unit/L)
Alk. phosphatase
r-GTP
LDH
BUN
7.2(4-24mmol/L)
Creatinine
0.6(0.6-1.1mg/dl)
Na
141(135-145)
K
5.0(3.5-5.0)
color
straw(70-110)
pH
5.5(4.5-7.5)
S.G
1.015(1.005-1.030)
Albuimin
Glucose
-(negative)
ketone
-(negative)
Occult Blood
-(negative)
Bilirubin
-(negative)
Nitrite
-(negative)
urobilinogen
-(negative)
Leucocyte
-(70-110)
Potavirus Ag
Stool Nucus
검사 (비정상치에 *로 표시하시오)
<약물 용량, 적용, 부작용, 금기>
약명
페니라민 정
분류
항히스타민제
용법 및 용량
성인 :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으로서 1회 2-6mg 1일 2-4회 경구투여한다.
1일 24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작용 및 효과
고초열,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습진피부염, 피부소양증, 약진), 알러지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코감기에 의핸 재채기콧물기침, 혈관운동성 부종, 곤충자상
부작용
shock 관찰, 경련, 착란유발가능, 순환기계, 비뇨기계, 정신신경계
금기
본제 또는 유사 화합물에 과민증 기왕력자, 녹내장, 하부요로폐색성 질환, 미숙아 및 신생아, MAO 저해제 투여자
주의
졸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 운전 등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약명
이부서스펜 시럽(ibprofen)
분류
해열, 진통, 소염
용법 및 용량
소아는 다음 1회 용량을 1일 3~4회 : 11~14세 10~13ml, 7~8세 8~10ml, 3~6세 5~8ml, 1~2
체중 30kg 미만인 소아는 1일 최대 500mg, 공복시 투여 피함
작용 및 효과
감기로 인한 발열 및 동통, 요통, 월경곤란증, 수술후 동통, 규마티양 관절염, 연소성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두통, 치통, 근육통, 신경통, 급성 통풍,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연조직 손상(염좌, 좌상), 비관절 류마티스질환(건염, 건초염, 활액낭염)
경증 및 중등고의 동통, 감기
부작용
shock, 발열, 비출혈, 변비, 구토, 식욕부진, 혈액장애
금기
소화성 궤양, 심한 혈액이상간장애신장애심기능부전고혈압, 본제 과민증자, 기
키워드
추천자료
세기관지염 broncholitis 케이스(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각론]] 27장 체액과 전해질장애아동
영아의 건강문제 (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케이스 스터디 -패혈증(sepsis)에 대하여
창신-아동간호학-아동정신건강의 개념 및 미치는 요인(리포트)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09-1_정규]_아동간호학_기말고사_예상문제
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
아동간호학 실습 과제 02 (신생아·아동의 심폐소생술, 아동의 활력징후 측정, 아동의 경구투...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뇌성마비(cerebral palsy) 아동의 특징과 관리(뇌성마비 아동의 정...
아동간호학- 발달장애(자폐증) 아동에 대한 교육 및 진로 ( 자폐의 개념 및 증상, 자폐증 아...
<아동간호학>아동학대 레포트
아동간호학 실습 - 아동 약물 계산법
아동간호학) 학령전기아동의 성장발달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