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1. 적응과 부적응의 의미
2. 기본적 욕구
3. 부적응 행동과 욕구불만
4. 적응의 기재
5. 자아개념과 적응 지도
6. 성격과 적응
7. 집단 상담과 적응
8. 의사소통 유형과 적응
9. 단짝친구관계와 적응
10. 학급환경, 학업성취, 학교생활 과 적응
위의 내용이 대단원이고 중단원 소단원은 지면관계상 생략했음을 알려드립니다.
2. 기본적 욕구
3. 부적응 행동과 욕구불만
4. 적응의 기재
5. 자아개념과 적응 지도
6. 성격과 적응
7. 집단 상담과 적응
8. 의사소통 유형과 적응
9. 단짝친구관계와 적응
10. 학급환경, 학업성취, 학교생활 과 적응
위의 내용이 대단원이고 중단원 소단원은 지면관계상 생략했음을 알려드립니다.
본문내용
일으키는 원인이 부적응 행동을 빚어내는 장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A. I. Gates 등은 일반적으로 욕구불만을 일으키는 요인, 즉 조건으로서 다음과 같은 점을 말해 주고 있다.
1) 외적 요인
① 환경의 물리적 요인(시간, 공간의 제한)
② 사회적 요인(관습, 통제, 금지, 법률, 등의 제한)
③ 경제적 요인(경제적 빈곤)
2) 내적 요인
① 개인적 결핍(지적 능력의 부족)
② 너무 높은 이상 또는 너무 높은 목표 설정
③ 개인의 도덕적 규준(규준)
개인의 욕구에 대한 태도가 접근적이냐 회피적이냐에 따라 그 갈등의 기본적 유형에 대하여 장(場)이론을 전개한 K. Lewin은 갈등의 유형을 적극적이고 유익한 자극에 대한 접근(approach)과 소극적이고 유해한 자극에 대한 회피(avoidance)의 두 경향성에 두고 유인가(valance)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접근-접근 갈등(approach-approach conflict)
접근-접근 갈등은 긍정적 유인가(plus valance)를 가진 두 개의 목표가 동시에 존재할 때 생기는 갈등이다. 일정한 금액으로 물건을 구입하려 할 때 어느 회사의 상품을 살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런 경우 결정을 내리기까지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은 부정적인 유인자극이 없으므로 가장 쉽게 해소 된다.
회피-회피 갈등(avoidance-avoidance conflict)
회피-회피 갈등은 부정적 유인가(minus valance)를 지닌 두 개의 상호 베타적인 행동목표가 존재할 때의 갈등이다. 두 가지 행동목표가 모두 하기 싫은 것인데도 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학교에는 가기 싫고 결석후 선생님께 야단맞는 것도 싫은 경우이다. 이러한 갈등의 해결은 그 개인의 성숙정도와 림접하게 관련되는데. 성숙한 개인일수록 자신이 내린 결정에 끝까지 책임을 지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갈등은 대체로 주저기간이 매우 길고 가능하면 선택과 결정을 기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접근-회피 갈등(approach-avoidance conflict)
동일한 목표가 한편으로는 긍정적 유인가를 지녔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정적 유인가를 지녔을 경우에 해당된다. 소위 양극성을 띠었다고 말하는 경우인데, 강의와 숙제 제출 및 시험 공부는 싫으면서 좋은 성적을 유지하여 좋은 직장을 가지고 싶은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갈들 장면에서는 도피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며 긴장상태가 비교적 오래 지속된다.
이중 접근-회피 갈등(double approach-avoidance conflict)
두 가지 행동목표가 각각 긍정적 및 부정적 유인가를 동시에 지니고 있을 때 일어나는 갈등이다. 두 사람의 결혼 대상자를 두고 그들이 지닌 장단점을 비교하며 선택을 망설이고 있는 경우가 바로 이에 해당된다. 유인가에 대한 가치 판단이 이워지지 않으면 부적응 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으며, 선택이 이루어진 후에도 계속해서 포기한 쪽에 미련을 가지게 된다.
(3) 갈등의 유형
1) 정신분석학적 갈등
갈등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건은 Freud이다. 그는 성격의 기본적인 활동영역을 원초자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나누고 정상인간은 이 삼자가 한 단위로서 작용하지만 신경증환자에게는 성격 영역간에 부조화가 발생하는데 이것을 갈등이라고 보았다.
Freud의 이론에 의하면 원초자아는 쾌락원리에 따르는 원망(원망)이라고 생각하며, 자아는 원초자아의 원망을 현실원리에 입각하여 충족시키는 기능을 갖는다고 본다. 따라서 성격이 통합된 성인에게 있어서 이양자는 일체화로서 작용하지만 원초자아의 충동적 표출에 대하여 자아가 충동을 조화 있게 억제하지 못할 때에는 갈등이 생긴다고 보는 것이다. 초자아는 성격형성에 있어서 사회적 규범을 투입하는 것으로서 양심과 이상아(이상아)를 포함한다. 자아가 초자아의 규칙을 파괴하였을 때 갈등이 생기지만 자아가 초자아에 대하여 복종적이고 원초자아와 조화가 이루어졌을 때는 갈등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은 Freud의 정신분석학적 이론은 그 후에 Lewin에 의해 계승되었다.
2) 장(場)이론적 갈등
여기에서의 갈등은 상호 동등한 세기()의 장(場)의 힘끼리 대립되었을 때 생기는 심리적 상태를 말한다. 즉, 유기체에 작용하는 동등한 힘이 동시에 대립적으로 지향되는 상태가 곧 갈등인 것이다. 이 갈등의 세기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목표가 정(正)의 유의성(+유의성)을 갖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갈등 상태를 결정하는 것으로 본다.
첫째, 2개의 목표가 다 같이 정의 유의성을 가질 때는 목표의 중간에 유기체가 있는 접근-접근 갈등이 된다.
둘째, 부의 유의성을 갖는 2개의 목표 중간에 유기체가 있을 때에는 회피-회피 갈등이 된다.
셋째, 1개의 목표가 동시에 정과 부의 유의성을 갖고 그 강도가 똑같이 존재할 때에는 접근-회피 갈등이 된다.
3) 행동 이론적 갈등
Hull과 Miller를 중심으로 한 이론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반응경향이 동시적으로 생기고 그것이 방향을 정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상태를 Miller의 목표 구분가설의 기본에 의하여 설명한다.
① 접근구분(approach-gradient)은 어떤 일정한 목표에 접근하려는 경향으로서 그 개체가 목표에 접근할수록 강하다.
② 회피구분(avoidance-gradient)은 어떤 일정한 목표를 두고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으로 그 유기체가 목표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강하다.
③ 회피의 경향은 접근의 경향에 비하여 보다 급격히 증대된다.
④ 접근 혹은 회피의 강도는 동인(동인)이 강할 때 증대한다.
4) 갈등에 의한 성격변화
갈등을 일으키면 인간의 심리적 안정을 기하기가 어렵고 오래 계속되면 이상행동을 초래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사실에 착안하여 Cattell과 Sweney는 갈등을 일으켰을 때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① 갈등이 높으면 과도하게 억압적으로 되던가 또는 과도하게 고양(고양)적으로 되는 경향이 강하다.
② 갈등이
A. I. Gates 등은 일반적으로 욕구불만을 일으키는 요인, 즉 조건으로서 다음과 같은 점을 말해 주고 있다.
1) 외적 요인
① 환경의 물리적 요인(시간, 공간의 제한)
② 사회적 요인(관습, 통제, 금지, 법률, 등의 제한)
③ 경제적 요인(경제적 빈곤)
2) 내적 요인
① 개인적 결핍(지적 능력의 부족)
② 너무 높은 이상 또는 너무 높은 목표 설정
③ 개인의 도덕적 규준(규준)
개인의 욕구에 대한 태도가 접근적이냐 회피적이냐에 따라 그 갈등의 기본적 유형에 대하여 장(場)이론을 전개한 K. Lewin은 갈등의 유형을 적극적이고 유익한 자극에 대한 접근(approach)과 소극적이고 유해한 자극에 대한 회피(avoidance)의 두 경향성에 두고 유인가(valance)에 따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접근-접근 갈등(approach-approach conflict)
접근-접근 갈등은 긍정적 유인가(plus valance)를 가진 두 개의 목표가 동시에 존재할 때 생기는 갈등이다. 일정한 금액으로 물건을 구입하려 할 때 어느 회사의 상품을 살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런 경우 결정을 내리기까지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은 부정적인 유인자극이 없으므로 가장 쉽게 해소 된다.
회피-회피 갈등(avoidance-avoidance conflict)
회피-회피 갈등은 부정적 유인가(minus valance)를 지닌 두 개의 상호 베타적인 행동목표가 존재할 때의 갈등이다. 두 가지 행동목표가 모두 하기 싫은 것인데도 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학교에는 가기 싫고 결석후 선생님께 야단맞는 것도 싫은 경우이다. 이러한 갈등의 해결은 그 개인의 성숙정도와 림접하게 관련되는데. 성숙한 개인일수록 자신이 내린 결정에 끝까지 책임을 지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갈등은 대체로 주저기간이 매우 길고 가능하면 선택과 결정을 기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접근-회피 갈등(approach-avoidance conflict)
동일한 목표가 한편으로는 긍정적 유인가를 지녔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정적 유인가를 지녔을 경우에 해당된다. 소위 양극성을 띠었다고 말하는 경우인데, 강의와 숙제 제출 및 시험 공부는 싫으면서 좋은 성적을 유지하여 좋은 직장을 가지고 싶은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갈들 장면에서는 도피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며 긴장상태가 비교적 오래 지속된다.
이중 접근-회피 갈등(double approach-avoidance conflict)
두 가지 행동목표가 각각 긍정적 및 부정적 유인가를 동시에 지니고 있을 때 일어나는 갈등이다. 두 사람의 결혼 대상자를 두고 그들이 지닌 장단점을 비교하며 선택을 망설이고 있는 경우가 바로 이에 해당된다. 유인가에 대한 가치 판단이 이워지지 않으면 부적응 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으며, 선택이 이루어진 후에도 계속해서 포기한 쪽에 미련을 가지게 된다.
(3) 갈등의 유형
1) 정신분석학적 갈등
갈등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건은 Freud이다. 그는 성격의 기본적인 활동영역을 원초자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나누고 정상인간은 이 삼자가 한 단위로서 작용하지만 신경증환자에게는 성격 영역간에 부조화가 발생하는데 이것을 갈등이라고 보았다.
Freud의 이론에 의하면 원초자아는 쾌락원리에 따르는 원망(원망)이라고 생각하며, 자아는 원초자아의 원망을 현실원리에 입각하여 충족시키는 기능을 갖는다고 본다. 따라서 성격이 통합된 성인에게 있어서 이양자는 일체화로서 작용하지만 원초자아의 충동적 표출에 대하여 자아가 충동을 조화 있게 억제하지 못할 때에는 갈등이 생긴다고 보는 것이다. 초자아는 성격형성에 있어서 사회적 규범을 투입하는 것으로서 양심과 이상아(이상아)를 포함한다. 자아가 초자아의 규칙을 파괴하였을 때 갈등이 생기지만 자아가 초자아에 대하여 복종적이고 원초자아와 조화가 이루어졌을 때는 갈등이 생기지 않는다. 이와 같은 Freud의 정신분석학적 이론은 그 후에 Lewin에 의해 계승되었다.
2) 장(場)이론적 갈등
여기에서의 갈등은 상호 동등한 세기()의 장(場)의 힘끼리 대립되었을 때 생기는 심리적 상태를 말한다. 즉, 유기체에 작용하는 동등한 힘이 동시에 대립적으로 지향되는 상태가 곧 갈등인 것이다. 이 갈등의 세기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목표가 정(正)의 유의성(+유의성)을 갖느냐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갈등 상태를 결정하는 것으로 본다.
첫째, 2개의 목표가 다 같이 정의 유의성을 가질 때는 목표의 중간에 유기체가 있는 접근-접근 갈등이 된다.
둘째, 부의 유의성을 갖는 2개의 목표 중간에 유기체가 있을 때에는 회피-회피 갈등이 된다.
셋째, 1개의 목표가 동시에 정과 부의 유의성을 갖고 그 강도가 똑같이 존재할 때에는 접근-회피 갈등이 된다.
3) 행동 이론적 갈등
Hull과 Miller를 중심으로 한 이론으로 2개 또는 그 이상의 반응경향이 동시적으로 생기고 그것이 방향을 정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상태를 Miller의 목표 구분가설의 기본에 의하여 설명한다.
① 접근구분(approach-gradient)은 어떤 일정한 목표에 접근하려는 경향으로서 그 개체가 목표에 접근할수록 강하다.
② 회피구분(avoidance-gradient)은 어떤 일정한 목표를 두고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으로 그 유기체가 목표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강하다.
③ 회피의 경향은 접근의 경향에 비하여 보다 급격히 증대된다.
④ 접근 혹은 회피의 강도는 동인(동인)이 강할 때 증대한다.
4) 갈등에 의한 성격변화
갈등을 일으키면 인간의 심리적 안정을 기하기가 어렵고 오래 계속되면 이상행동을 초래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사실에 착안하여 Cattell과 Sweney는 갈등을 일으켰을 때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① 갈등이 높으면 과도하게 억압적으로 되던가 또는 과도하게 고양(고양)적으로 되는 경향이 강하다.
② 갈등이
추천자료
[교육학]교육과 교육학이란? 교육과 교육학에 대한 정의, 의미, 비교, 분류, 이해, 교육학(교...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설명 및 교육적 시사점 2.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
교육심리학4공통)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am...
(교육심리학 2015)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에...
교육심리학4]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에...
[교육심리학]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am...
[교육심리학]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에릭...
유아교육개론_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교...
[영어영문학과]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slow...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 매슬로...
<교육심리학2017공통>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매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