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적 판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과정과 정확성
1. 해석
2. 이론적 구성
3. 샘플, 징후, 그리고 상관
4. 해석 수준
5. 이론과 해석
6. 양적 대 주관적 접근

Ⅱ. 임상적 판단과 해석의 개선
1. 정보 처리
2. 증후를 읽어내기
3. 확인과 기록
4. 모호한 보고, 개념, 준거
5. 예언의 효과
6. 잘 알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예언
7. 그릇된 예언 원리들
8. 고정관념의 영향
9. “왜 나는 사례 회의에 참석하지 않는가”

의사소통 : 임상적 보고

본문내용

고 해석하는 것에 대한 반대는 다음과 같은 주장에 의해 지지됨
“봐, 우리에게는 현실이 아니라 할지라도, 환자들에게는 그것이 현실이야!” 나아가, “사람이 지각하는 모든 것이 현실이야, 사실, 우리의 지각이 우리의 현실인거지.”
만약 이런 주장들이 지속적으로 옹호된다면, 병리적인 것이 없음
이해하면 정상이라는 오류(Understanding it make it normal fallacy)
환자의 믿음이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환자의 유의미한 증상(significance)을 제거한다는 생 각
심지어는 매우 이탈되고 기이한 행동마저도 우리가 그것들이 발생한 이유를 안다고 스스로가 확신하면 일단 수용가능한 것으로 보려함
의사소통 : 임상적 보고
- 보고서를 쓰는 것은 평가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단계에 해당됨
- Appelbaum은 평가자의 역할을 사회학자, 정치가, 외교가, 집단 역동가, 판매원, 예술가, 심리학 자로서 특징지워 설명함
사회학자로서의 평가자는 지역의 사회적 관습을 분석해야만 하는데, 이는 보고서가 받아들여 지도록 조력하고 가장 보고서대로 잘 시행되도록 지도하기 위해서임
이것은 보고서의 타당도를 확신시키고, 보고서대로 실행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병원 담당자와 직접적으로 교류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음
- 보고서에서 단일한 “최상의 형식”은 없음
- 임상적 보고서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몇몇의 고려점은 의뢰의 성격, 보고서를 읽는 사람, 사 용된 평가절차의 종류, 임상가의 이론적 설득임
▶ 의뢰원(The Referral Source)
- 보고서의 주요한 의무는 의뢰 질문을 기록하는 것임
- 종종 임상적 보고서를 읽는 이차적 독자들이 있음
ex) 일차적 보고서는 아마 의뢰한 사람(정신과 의사, 다른 임상가, 또는 정부기관)에게 보내지 겠지만, 이차적 독자는 기관의 행정관, 프로그램 평가자, 연구 심리학자일 것임
▶ 의사소통을 돕는 방법
- 보고서의 기능은 의사소통인데, 아래에는 이러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몇몇 제안들이 있음
1) 언어
- 전문용어를 사용하거나, 지루하고 자세하게 검사에서의 환자의 반응들을 다 기록해서는 안됨
- 대개는 가능한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와 양식으로 쓰는 것이 가장 좋음
- 기술적 언어로 중요한 결과를 적은 보고서가 전문적인 동료에게 보내질 때는 괜찮은 반면에, 환자의 부모에게 전문용어로 적혀진 보고서를 보여주는 것은 곤란함
2) 개인화된 보고서
- 특이성(현재의 성격, 발달, 학습력)이 일반성보다 우선적으로 보고되어야 함
3) 자세한 정도
- 일반적으로 발췌한 개요, 특정한 행동실례, 일부 검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 같음
- 검사를 하는 동안 관찰되어진 행동들 역시 꽤 도움이 됨
요약
- 연구는 임상적 예견보다 통계적 접근을 지지하지만, 객관적인 결정규칙과 통계적 연산법이 임 상가가 당면하는 예견과제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임상적 판단과 임상적 예견 이 자주 요구됨
- 임상적 판단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를 추천
가용할 모든 정보를 고려하고, 불일치한 자료라도 무시하지 말 것.
내담자나 환자의 감정, 자산 뿐 아니라 병리, 오기능을 고려할 것.
모든 예견을 문서화하고, 그 정확성을 평가하고, 그 정보를 피드백으로 사용할 것.
오로지 구조화된 면담, 구조화된 평가척도, 객관적 성격검사, 자료수집에 목적을 둔 행동평 가를 사용할 것.
예언을 내리기 전에 내담자의 상황과 환경을 고려할 것.
기저율과 회귀효과를 고려할 것.
연구자의 확신수준이 예언에 영향주지 않도록 할 것.
고정관념적 신념과 착오를 일으킬만한 상관관계를 인식하고 조심할 것.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01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