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사투리(방언)연구조사 자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도 사투리(방언)연구조사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제주도 방언권의 이해
1-1.제주도의 개관
1-2.제주도 방언권의 구획
2.제주도 방언의 특징
2-1.음운적 특징
2-2.문법적 특징
2-3.형태론적 특징
2-4.통사론적 특징
2-5.어휘법의 특징
3.제주도 방언 연구의 성과

Ⅲ.결론

참고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에 속해있다가 938년 고려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후 제주도는 역사 속에서 몇 번의 커다란 사건들을 겪게 된다. 1271년에는 몽고의 침입에 대항하여 삼별초가 97년간의 격전을 벌였고, 일제 식민지로 점령당하기도 했으며, 6.25 한국전쟁 당시에는 피난민들의 피난처의 역할도 하였다. 한국사의 굵직한 사건들 틈 속에서 커다란 인구이동을 겪은 제주도는 역사적인 사건들에 기인하여 언어도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특히나 삼별초의 항쟁이 있었던 고려 시대에는 몽고의 지배로 인하여, 몽고의 묵호들과 제주 주민들과의 혼인이 정책적으로 장려가 됨에 따라 그들의 언어도 자연스럽게 전해졌고, 이는 제주 방언의 독특한 어휘들로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일제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는 일본어의 영향으로 어휘들에서 일본어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1-2.제주도 방언권의 구획
제주도 방언은 국어의 대방언권으로서 제주도에서 쓰이는 방언을 가리킨다. 제주도 방언은 방언권 내의 ‘언어적 동질성’ 이 매우 강한 편이다.
제주도 방언의 하위 방언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몇 가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정희는 어휘와 억양의 측면에서 한라산을 중심으로 산북 방언과 산남 방언으로 하위 구분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 구분에 따라 살펴보면, 동쪽 산남 지역의 말은 억양이 부드럽고, 서쪽 산북 지역의 말은 억양이 거칠고 속도가 빠르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서쪽 산북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한반도의 전라도 지역과 가까워서 전라도 지역의 언어와 닮은 요소가 많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또한 성낙수는 69개의 어휘를 근거로 남/북의 차이보다는 동/서간의 차이가 더욱 높다고 하여 동/서 2개의 하위 방언 구획으로 나누었다.
정승철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한라산을 중심으로 산북 방언과 산남 방언으로 하위 구분을 해왔지만 두 방언이 보여주는 언어적인 차이가 다른 방언권의 경우와 비교를 해볼 때 하나의 소방언권을 하위 구획한 방언 정도의 차이에 불과하며, 음운론의 영역으로 한정을 하면 두 방언은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 있다.
2.제주도 방언의 특징
2-1.음운적 특징
1) 음운 체계
① 이미 육지에서는 사라져 버린, 15세기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모음인 \' \' 가 보존되어있다.
지금도 제주 사람들은 글자로 적을 적에는 이 모음을 쓰지 않으나 일상의 대화에서 자주 사용하는데, \' \'의 음가는 \'아\'도 아니고 \'오\'도 \'어\'도 아닌 그 중간 위치의 음가이다. 또 \' \' 음이 어두의
환경에서 \'여섯\', \'여덟\' 같은 것의 \'여\' 소리가 ‘ \'로 발음된다. 이 \' \'는 \'여\'도 아니고 \'요\'도 아닌 그 중간 음가이다.
② 모음 체계는 /i, e, , , , a, u, o, / 9개이다. //는 시차성이 약하며 //와 //는 어두에서 /we/, /wi/ 로 실현되며 자음 아래에서는 //는 /i/로 실현된다.
③ 자음 체계는 경기방언의 자음 19개에 / /를 포함한 20개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운소체계는 무성조 무음장 지역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2) 음운 현상
① 옛 문헌에 나오는 같은 어두 자음들이 육지의 현대말에서와 달리 \'\'이 \'튀-, 태, 착, 차-\'와 같이 유기음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들 수 있다. 제주방언은 육지와 달리 어두 자음들이 유기음화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② 어두경음화 현상으로 \'다시\'가 \' 시\'로, \'가격\'이 \'까격\'으로, \'시집\'이 \'씨집\'으로, \'본\'이 \'뽄\'으로 실현된다.
③ 어간말 자음을 \' \'로 재구할 수 있는 예들이 많이 있다. 곧 \'거끄-(折)\', \'무끄-(束)\', \'서끄-(混)\'와 같은 예들이 있다.
④ 구개음화 현상은 육지어와 다름없다. \'질다(長), 지레(身丈)\'나 \'세(舌), 숭(凶)\'처럼 k, h-구개음화 현상이 실현된다.
⑤ 어말자음군을 기피하는 경향을 보인다.
⑥ \'-르\'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 둘째 음절 앞에 \'ㄹ\'이 첨가된다. 이러한 현상은 경기도나 여러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이 섬에서 더 뚜렷하다.
합성명사에서도 이와 비슷한 음운 현상을 찾아 볼 수 있겠는데, \'몇 학년이지?\'하는 질문에 \'일학년\'이라고 하지 않고, \'일락년 이우다\' 라고 대답하여 앞말의 끝자음\'ㄹ\'을 명확히 설측음으로 발음한다. 또 옛 문헌에 나오는 \'불휘(뿌리)\'와 \'일홈(이름)\'을 노년층에서는 \'뿔리\', \'일룸\'으로 발음한다.
⑦ 제주방언의 용언어간의 음절구조는 CV구조를 유지하는\'
\' 와 같은 예들이 많다. 용언어간에 나타나는 모음음절 첨가 현상을 송상조(1989)는 고대어형인 개음절구조인 어간말 모음의 유지현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3) 모음 체계 연구 : 서울말과 다른 특징적인 부분. 자음체계의 경우에는 표준어와 커다란 차이를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따로 기재하지 않았다. 더불어 자모의 음소체계와 더불어 음운체계를 형성하는 운소체계의 경우, 제주도는 무성조무음장지역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높낮이에 관한 것은 2.6의 설명을 참고하자.
① 제주 방언의 단모음체계
현재 제주 방언의 노인층에서는 단모음체계로서 9모음체계를 가지는데 다음 <표1>과 같다.
ㅣ ㅡ ㅜ ㅣ ㅡ ㅜ
ㅔ ㅓ ㅗ ㅔ ㅓ ㅗ
ㅐ ㅏ ㆍ ㅏ
<표1> <표2>
노인층에서는 9모음체계로 나타나지만 젊은층에서는 ‘ㆍ>ㅗ’의 모음 상승화와 동시에 ‘ㅐ>ㅔ’의 모음 상승화를 겪어서 <표2>와 같은 7모음체계가 나타나고 있다. ‘ㆍ>ㅗ’의 모음 상승화는 ‘ㅐ>ㅔ’의 모음 상승화에 따른 균형 유지 차원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② 제주 방언의 이중모음체계
제주 방은 12개의 상향이중모음을 가지고 있다. 이른 단모음체계와 관련지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ㅣ ㅡ ㅜ ㅠ ㅟ
ㅔ ㅓ ㅗ ㅖ ㅕ ㅛ ㅞ ㅝ
ㅐ ㅏ ㆍ ㅒ ㅑ ㅙ ㅘ
<단모음> <‘’계 이중모음> <‘’계 이중모음>
자음을 두음으로 가지지 않은 음절에서 이중모음이 잘 실현된다. 한편 현대 제주 방언에서는 어두에서 이중모음 ‘’가 실현되는데 이는 제주 방언에서만 공시적으로 실현되는 특이한 ‘’계 이중모음이다. ‘’는 대체로 중세국어의 ‘ㅑ’에 대응되는 것으로 보인다.
(1)
답, 덥(여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5.01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