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기유학의 정의
2. 조기 유학의 현황
3. 조기 유학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
4. 조기 유학의 장단점
5. 조기 유학 사례 분석
6. 조기 유학의 개선 방안
7. 조기 유학에 대한 나의 생각
8. 참고 자료
2. 조기 유학의 현황
3. 조기 유학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
4. 조기 유학의 장단점
5. 조기 유학 사례 분석
6. 조기 유학의 개선 방안
7. 조기 유학에 대한 나의 생각
8. 참고 자료
본문내용
수조원에 이른다고 한다. 이런 상황 때문에 많은 부모들이 자식들을 유학을 보낸다. 사교육비나 유학비나 라는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사교육은 국어, 영어, 수학과 같은 학과 위주의 교육이기 때문에 문제점이 많은 것이다. 그러므로 미술이나 음악 등 예체능 위주의 사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
네 번째로 공교육 정상화는 교육과정의 정상화이다. 다시 말하자면 공교육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사회 전반적인 공감대가 확산되어져야 한다. 공교육은 입시를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품성, 건전한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 시험 잘보는 능력보다 중요한 사고력과 창의력을 개발하는 것이 공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입시위주 현실 때문에 많은 우수한 인재들이 해외로 유학을 간다. 이를 막기 위해서 교육과정의 정상화는 필요하다.
2) 학부모의 의식변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를 맞아 국제적 안목과 세계 공통어라고 할 수 있는 영어 구사능력을 갖추는 것이 성공의 필수적 요건으로 인식됨에 따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어상용 선진국에 자녀를 유학시키려는 학부모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시민단체가 학부모들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조기유학에 찬성하는 40%의 학부모들 중 63%가 자녀들에게 국제화 시대의 능력과 자질을 길러주는 것이 조기유학의 주목적이라고 답하고 있다. '60~'70년대 우리가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시절에도 소를 팔고 논을 팔아가면서 자녀들을 서울이나 대도시에 유학 보냈던 우리나라 부모들 특유의 교육열이 이제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조기유학으로 방향을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조기유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어린 나이에 부모님과 친구들을 떠나 낯선 외국에서 겪는 외로움과 여러 문화적 차이에서, 성공적으로 영어를 배우고 공부하는 것은 정말 어려우며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는 학생들도 극히 드물다. 그래도 우리 부모님들은 "영어 하나만 제대로 하면" 하고 조기유학을 찬성하시는 학부모들이 있으니 우리나라의 영어 열풍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로 잘못 생각하는 것이다. 실제로 다른 것을 다 잘하는 학생이 영어도 잘 하게 되고, 다른 것을 실패하면 영어도 실패하는 것이 보통이다. 조기유학은 한 사람의 인생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실패할 위험성이 있다.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교육열은 대단하다. 조기유학을 보내기 위해 집을 파는 학부모들도 있다. 그러나 부모들의 사고 방식에 있어 변화가 있어야 한다. 학부모들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사전 조사를 철저히 하고 깊이 생각해서 신중히 결정해야 할 것이다.
3) 학벌위주 사회구조 재개편
지나친 학벌 및 학력위주의 사회구조는 대학입시 경쟁을 과다하게 만든다. 학벌, 학력위주 사회에서는 좋은 대학을 나오고 유학을 갖다와야 만이 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공식이 사람들 뇌에 각인되어있다. 나날이 늘어가는 과외비와 조기유학생을 보면 우리나라가 얼마나 학벌, 학력위주 사회인가 알 수 있다. 공교육 정상화와 조기유학을 줄이기 위해서는 학벌사회를 개선해해야 한다.
이러한 학벌사회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학력 및 학벌위주의 가치관 형성을 조장하는 일체의 행위자체를 없애야 하며, 기업체의 직원 채용시 학력제한을 철폐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자격증 중시 풍토를 조성하여 대학졸업장을 요구하는 사회가 아니라 전문 자격증을 요구하는 사회로 전화시켜야 한다.
7. 조기 유학에 대한 나의 생각
세계화 국제화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해외유학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조기유학의 장점도 있다. 그러나 조기유학의 성과는 정확한 목표의식과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자녀의 올바른 성장은 부모의 보살핌 속에서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조기유학을 통해 얻을 것과 잃을 것을 미리 예상하고 신중한 판단을 하여야 할 것이다. 유학은 목적이 의식이 뚜렷하고 외국에 나가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이들이 간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이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들이 간다면 돈만 낭비하는 일이 된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질은 선진국과 비교해서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조기유학을 결심한다. 그렇다고 너도나도 조기유학을 가버린다면 우리나라 공교육은 더 황폐화 될 것이며 우리나라의 미래는 불투명 할 것이다.
가령 수조원의 조기유학비를 한국 공교육을 위해 투자한다고 생각해 보자. 이 돈을 한국교육을 위해서 투자한다면 우리나라도 곧 선진국의 교육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현실은 1년에 수천만원을 자식의 유학비로 외국에 쓰는 것은 아까워하지 않으면서 몇 만원씩 내는 학교 운영비는 아까워한다. 이런 상황에서 공교육은 정상화 될 수 없다.
공교육이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조기유학 증가를 막을 수 없을 것이다. 위기는 기회이다. 어느 나라에서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한국 교육의 자성을 통해 변화의 물결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것이다.
한국 교육의 자성과 더불어 성공하고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외국 유학 보내야만 한다는 국민들의 의식변화가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외국유학에서 성공하는 것은 극소수라는 것을 인정해야한다. 또한 공교육을 불신만 할 것이 아니라 먼저 나서서 바꾸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수요자에 맞게끔 수요자 자신이 바꾸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변화 노력을 국민 개개인 뿐만 아니라 정부가 먼저 앞장서서 실천해야 할 것이다.
8. 참고 자료
-박정, 『조기유학 보낼까 말까 갈까 말까』, 을유문화사, 2001
-김희경, 『죽도 밥도 안된 조기 유학』, 새로운사람들, 2004
-박정, 『조기유학 보낼까 말까 갈까 말까』, 을유문화사, 2001
-송순호, 『조기 유학, 절대로 보내지 마라!』 , 사회평론, 2001
-조기유학 성공과 실패사례 조사 및 학부모 계도를 위한 홍보방안 연구;, 배기주
-교육 인적 자원 부 <조기 유학 가이드>
-송병순외 5인, 『교육사회학』, 문음사, 2002
-미리 가보는 조기유학;, 저자: 전창훈, 역자: 유시민, 삶과꿈, (2004)
네 번째로 공교육 정상화는 교육과정의 정상화이다. 다시 말하자면 공교육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사회 전반적인 공감대가 확산되어져야 한다. 공교육은 입시를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품성, 건전한 경제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 시험 잘보는 능력보다 중요한 사고력과 창의력을 개발하는 것이 공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입시위주 현실 때문에 많은 우수한 인재들이 해외로 유학을 간다. 이를 막기 위해서 교육과정의 정상화는 필요하다.
2) 학부모의 의식변화
세계화, 개방화 시대를 맞아 국제적 안목과 세계 공통어라고 할 수 있는 영어 구사능력을 갖추는 것이 성공의 필수적 요건으로 인식됨에 따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어상용 선진국에 자녀를 유학시키려는 학부모들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시민단체가 학부모들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조기유학에 찬성하는 40%의 학부모들 중 63%가 자녀들에게 국제화 시대의 능력과 자질을 길러주는 것이 조기유학의 주목적이라고 답하고 있다. '60~'70년대 우리가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시절에도 소를 팔고 논을 팔아가면서 자녀들을 서울이나 대도시에 유학 보냈던 우리나라 부모들 특유의 교육열이 이제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조기유학으로 방향을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조기유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어린 나이에 부모님과 친구들을 떠나 낯선 외국에서 겪는 외로움과 여러 문화적 차이에서, 성공적으로 영어를 배우고 공부하는 것은 정말 어려우며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는 학생들도 극히 드물다. 그래도 우리 부모님들은 "영어 하나만 제대로 하면" 하고 조기유학을 찬성하시는 학부모들이 있으니 우리나라의 영어 열풍은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로 잘못 생각하는 것이다. 실제로 다른 것을 다 잘하는 학생이 영어도 잘 하게 되고, 다른 것을 실패하면 영어도 실패하는 것이 보통이다. 조기유학은 한 사람의 인생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실패할 위험성이 있다.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교육열은 대단하다. 조기유학을 보내기 위해 집을 파는 학부모들도 있다. 그러나 부모들의 사고 방식에 있어 변화가 있어야 한다. 학부모들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사전 조사를 철저히 하고 깊이 생각해서 신중히 결정해야 할 것이다.
3) 학벌위주 사회구조 재개편
지나친 학벌 및 학력위주의 사회구조는 대학입시 경쟁을 과다하게 만든다. 학벌, 학력위주 사회에서는 좋은 대학을 나오고 유학을 갖다와야 만이 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공식이 사람들 뇌에 각인되어있다. 나날이 늘어가는 과외비와 조기유학생을 보면 우리나라가 얼마나 학벌, 학력위주 사회인가 알 수 있다. 공교육 정상화와 조기유학을 줄이기 위해서는 학벌사회를 개선해해야 한다.
이러한 학벌사회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학력 및 학벌위주의 가치관 형성을 조장하는 일체의 행위자체를 없애야 하며, 기업체의 직원 채용시 학력제한을 철폐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자격증 중시 풍토를 조성하여 대학졸업장을 요구하는 사회가 아니라 전문 자격증을 요구하는 사회로 전화시켜야 한다.
7. 조기 유학에 대한 나의 생각
세계화 국제화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해외유학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조기유학의 장점도 있다. 그러나 조기유학의 성과는 정확한 목표의식과 철저한 사전준비를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자녀의 올바른 성장은 부모의 보살핌 속에서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조기유학을 통해 얻을 것과 잃을 것을 미리 예상하고 신중한 판단을 하여야 할 것이다. 유학은 목적이 의식이 뚜렷하고 외국에 나가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아이들이 간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이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들이 간다면 돈만 낭비하는 일이 된다.
우리나라 공교육의 질은 선진국과 비교해서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조기유학을 결심한다. 그렇다고 너도나도 조기유학을 가버린다면 우리나라 공교육은 더 황폐화 될 것이며 우리나라의 미래는 불투명 할 것이다.
가령 수조원의 조기유학비를 한국 공교육을 위해 투자한다고 생각해 보자. 이 돈을 한국교육을 위해서 투자한다면 우리나라도 곧 선진국의 교육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현실은 1년에 수천만원을 자식의 유학비로 외국에 쓰는 것은 아까워하지 않으면서 몇 만원씩 내는 학교 운영비는 아까워한다. 이런 상황에서 공교육은 정상화 될 수 없다.
공교육이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조기유학 증가를 막을 수 없을 것이다. 위기는 기회이다. 어느 나라에서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한국 교육의 자성을 통해 변화의 물결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것이다.
한국 교육의 자성과 더불어 성공하고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외국 유학 보내야만 한다는 국민들의 의식변화가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외국유학에서 성공하는 것은 극소수라는 것을 인정해야한다. 또한 공교육을 불신만 할 것이 아니라 먼저 나서서 바꾸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수요자에 맞게끔 수요자 자신이 바꾸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변화 노력을 국민 개개인 뿐만 아니라 정부가 먼저 앞장서서 실천해야 할 것이다.
8. 참고 자료
-박정, 『조기유학 보낼까 말까 갈까 말까』, 을유문화사, 2001
-김희경, 『죽도 밥도 안된 조기 유학』, 새로운사람들, 2004
-박정, 『조기유학 보낼까 말까 갈까 말까』, 을유문화사, 2001
-송순호, 『조기 유학, 절대로 보내지 마라!』 , 사회평론, 2001
-조기유학 성공과 실패사례 조사 및 학부모 계도를 위한 홍보방안 연구;, 배기주
-교육 인적 자원 부 <조기 유학 가이드>
-송병순외 5인, 『교육사회학』, 문음사, 2002
-미리 가보는 조기유학;, 저자: 전창훈, 역자: 유시민, 삶과꿈,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