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식의 특징 - 한국조리의 특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음식의 특징 - 한국조리의 특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음식문화
1) 자연 환경과 식생활 문화
2) 사회환경과 식생활 문화
2 한국음식의 특징
1) 한국음식의 구성과 이름
2) 한국음식의 특징과 우수성
3. 한국음식의 분류
1) 한국음식의 분류
(1) 주식류
(2) 부식류
(3) 떡과 과정류
(4) 차와 음청류
4 한국음식의 상차림 및 식사예절
1) 한국음식의 상차림
2) 상(床)의 종류
3) 한국의 식사예절
2) 한국의 절식과 시식
5. 한국음식의 계량과 썰기
1) 계량
2) 썰기
6. 한국음식의 양념과 고명
1) 양념
2) 고명
7. 한국의 향토음식
8. 한국의 궁중 음식
9. 한국의 발효음식
1) 발효
2) 발효의 원리
3) 우리나라의 발효음식
(1) 장류
(2) 침채류

Ⅲ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있다. 또한 죽을 주식으로서 뿐만 아니라 보양식, 환자식, 구황식, 별미음식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하여 왔으는데 노인이나 어린이의 보양을 위하거나 회복기 환자의 병인식 또는 회복식으로 좋으며 입맛이 없을 경우 식욕 증진식으로도 이용한다.
죽을 내는 상차림의 찬은 반상보다는 간단하다. 죽이나 미음, 응이를 주발이나 합에 담고 덜어 먹을 공기와 수저를 놓는다. 그리고 간을 맞출 간장, 소금, 꿀 등을 종지에 담으면 반찬으로 나박김치, 젓국조치, 마른반찬을 함께 놓는다
죽은 곡물로 만든 음식 가운데 가장 원초적이며 오래된 음식이다. 죽에는 사용재료에 따라 잣죽, 깨죽, 호두죽, 콩죽과 같은 곡물이나 견과류만으로 쑤는 죽과 표고버섯, 아욱 등의 채소류나 생선, 전복, 조개, 문어 같은 어패류, 닭고기, 쇠고기 등의 육류를 부재료로 끓이는 죽이 있다. 한국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죽의 종류는 흰죽, 콩죽, 녹두죽, 팥죽, 잦죽, 타락줄, 대추죽, 전복죽, 닭죽 등 40여종이 있다.
③ 국수
국수는 일상 식사보다는 잔치때에 손님 접대용으로 많이 차렸고 평상시에는 점심에 많이 먹는다. 한나라 때 중국으로부터 밀이 들어오면서 그 기원이 시작 되었고, 이 때 밀가루로 만든 음식을 ‘병’이라고 불렀다. 국수는 메밀가루나 밀가루 등을 넣어서 물과 반죽하여 국수반죽을 얇게 밀어서 가늘게 썰거나 국수틀에서 뽑아낸다.
국수는 삶아서 건진 다음 면이 불지 않도록 하여서 차가운 또는 뜨거운 장국에 말아서 먹는 냉면과 온면, 여러 가지 양념을 이용해서 비비는 국물이 없는 비빔국수 등이 있다. 주로 북쪽 지방 사람들이 추운 겨울에도 냉면을 주로 먹고 남쪽 지방 사람들이 더운 밀국수를 즐겨 먹는다
국수는 전분 재료에 따라 밀국수, 메밀국수, 녹말국수, 칡국수 등이 있다, 그리고 국수 장국에는 꿩고기를 쓰기도 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쇠고기의 양지머리나 사골등을 삶아 쓰고 칼국수는 닭 삶은 물을 쓴다.
④ 떡국과 만두
떡국과 만두는 국수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주식의 역할을 하며 떡국은 남쪽 지방 사람이 만두는 북쪽지방 사람이 더 즐겨 먹는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 어느 가정에서나 정월 초하루 설날의 세시음식으로 떡국으로 차례를 지냈고 새해 아침에도 첫 식사를 떡국으로 시작하였다. 떡국은 멥쌀로 흰 가래떡을 만들어 어슷한 타원형으로 얇게 썰어 육수에 넣어 끓인다
향토 음식으로 유명한 충청도 지방의 생떡국, 개성지방의 조랭이떡국등이 있다. 생떡국은 맵쌀 가루로 익반죽하여 썰어서 장국에 끓인 것이며 조랭이떡국은 떡을 누에고치 모양으로 만들어 떡국에 얹는 고기를 가늘게 찢어서 양념하거나 떡국과 같이 산적을 작게 만들어 지져서 얹는 떡국이다.
만두는 밀가루 반죽을 얇게 밀어서 소를 넣고 빚어 쪄내거나 맑은 장국에 삶은 음식이다. 만두는 만두피의 반죽재료와 소의 재료, 모양, 만두를 삶는 장국 등의 종류에 따라서 분류되고 조리방법에 따라 찐만두, 지진만두, 탕교자 등으로 나누어 진다.
궁중의 병시는 둥근 만두 껍질에 소를 넣어 주름은 잡지 않고 반달형으로 빚은 것이고 규아삼은 해삼 모양으로 빚는다. 편수는 만두피에 호박 숙주 쇠고기 등으로 만든 소를 넣고 네모지게 빚거나 찐다.
만두를 삶을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만두를 맑은 장국에 끓일 때 서로 붙지 않도록 삶아야 하며 만두가 뜨면 대체로 익은 것이므로 오래 끓이지 않도록 한다.
⑤ 수제비
수제비는 밀가루를 부드럽게 반죽하여 손으로 엷게 떼어 넣어서 구수하게 끓이는 음식이다. 밀가루 이외 다른 재료로는 메밀가루, 도토리가루, 보릿가루, 보리 속겨 등을 이용하기도 했다. 고기 맑은 장국, 멸치장국, 닭을 고아서 미역을 넣고 끓인 것 등이 있다.
(2) 부식류
① 국,탕
우리의 일상에서 주식인 밥에 국은 거의 빠지지 않고 끼내 때마다 밥상에 오르는 기본적인 부식이다. 국은 맑은 장국, 토장국, 곰국, 냉국으로 나눌 수 있다.
맑은 장국은 물이나 양지머리 국물에 국간장으로 간을 하여 건더기를 넣어 끓인 국이다. 무국, 대합국, 콩나물국, 조깃국, 준치국, 미역국 등이 있다.
토장국은 속뜨물에 된장을 풀어 간을 하고 고추장이나 고춧가루를 약간 넣어서 매운맛을 내기도 한다. 냉잇국, 아욱국, 배추속대국, 시금칫국, 솎음 배추국 등이 있다.
곰국은 쇠고기 살코기와 뼈나 내장 등을 오래 푹 고아서 우린 국이다. 설렁탕, 갈비탕, 꼬리곰탕, 도가니탕 등이 있고, 닭을 고아서 끓인 닭곰탕, 삼계탕, 영계백숙 등이 있다.
냉국은 끓여서 차게 식힌 국물에 미역이나 오이 등 날로 먹을 수 있는 재료를 넣고 식초를 넣어 여름철에 차게 먹는 국으로 오이 냉국, 미역냉국, 깻국탕, 임자수 탕 등이 있다.
② 찌개 ,지짐이, 조치
찌개는 국에 비하여 건더기가 많고 국물이 적으며 간이 세다. 궁중에서는 조치라 하였따. 간을 맞추는 재료에 따라 고추장찌개, 된장찌개, 젓국찌개로 나눌 수 있다. 섞는 주재료에 따라 생선찌개, 두부찌개, 젓국찌개 등으로 나누고 간을 한 조미료에 따라 된장찌개, 고추장찌개, 맑은찌개로 나눌 수 있다.
찌개보다 국물이 많고 조림보다는 많은 요리를 지짐이라고 한다. 조치란 궁중에서 찌개를 일컫는 말이고 감정은 고추장으로 조미한 찌개를 말한다. 호박감정, 게감정, 조기 감정 등이 있다.
③ 전골
전골은 다양한 재료를 전골냄비와 화로를 준비하여 즉석에서 끓여 먹는 요리로서 여러 가지 재료의 조화된 맛을 즐길 수 있는 음식이다. 전골 냄비중 쇠로 만든 벙거지골은 가운데에 국물이 모이도록 우묵하게 파여있어 국물을 먹을 수 있고 가장자리에는 넓은 전이 붙어 있어 여러 가지 재료를 얹어 볶으면서 먹을 수 있다.
전골은 안심, 곱창, 대합, 낙지 등을 가늘게 T썰어 양념을 하거나 전유어로 하고, 표고버섯, 당근, 미나리 등 채소의 색을 맞추어 골고루 담아 낸 다음 간을 한 맑은 육수로 국물을 부어 끓인다. 고기전골, 해물전골, 곱창전골, 버섯전골, 두부전골, 신선로, 도미면 등이 있다.
근래에는 전골의 의미가 바뀌어 여러 가지 재료에 국물을 넉넉하게 부어서 즉석에서 끓이는 찌개를 전골인 것처럼 혼동하여 쓰고 있다.
④ 찜, 선
찜은 반상, 교자상, 주안상에 내는 음식으로 국물과 함께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0.05.02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